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유산별 고시정보
유산별 보수정비
유산별 현상변경
유산별 학술자료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충북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유산별 고시정보
유산별 보수정비
유산별 현상변경
유산별 학술자료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충북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그때, 그 시절의 충북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충북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그때, 그 시절의 충북
-All-
제목
작성자
Total
13
,
Page
1
/ 2
Page unit
10
20
30
50
apply
유서 깊은 온천, 수안보온천과 초정약수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생성연도
온천(溫泉)은 화산활동 또는 높은 지열의 영향으로 데워진 고온의 지하수가 지표으로 표출된 것을 의미합니다.충청북도에는 수안보온천과 초정약수가 유명합니다.수안보온천은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자연적으로 용출된 온천으로『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청구도(靑邱圖)』 등 30여 종의 역사책에 기록되어 있는 유서 깊은 온천입니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태조 이성계가 욕창을 치료하기 위해 수안보온천을 자주 찾았다고 합니다.초정약수는 600여 년 전부터 유래하는 초정영천(椒井靈泉)에서 솟아나는 세계 3대 광천수로써 그 명성이 오래 전부터 알려졌고,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던 1444년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121일 동안 초정행궁에 머물며 초정약수로 질...
선성선현(先聖先賢)에게 제사지내는 의식 석전대제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생성연도
1970s
석전대제란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에서 지내는 제사의식으로, 문묘대제 또는 석전제(고기를 올리고 음악을 연주하는 의식)이라고도 합니다. 유교가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태학(유교 교육을 위한 국립대학)을 설립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고대 중국의 제사 관례에 따라 의식을 행하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석전대제는 매년 2월과 8월 정해 놓은 날에 공자를 비롯한 옛 성인들의 학덕을 추모하며 지냈습니다. 절차는 영신례, 전폐례, 초헌례, 공악, 아헌례, 종헌례, 음복례, 철변두, 송신례, 망료의 순서로 진행되며, 연주 음악은 문묘제례악이라 하는데, 기악과 성악, 춤을 총칭하는 대성아악으로, 여덟 개의 아악기만 사용하고, 등가와 헌가 두 개의 악단이 절차에 따라...
화전정리사업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0
생성연도
1976
화전 정리사업이란? 국토의 황폐화 방지산림 자원 조성화전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정부가 실시한 사업으로 1966년에 화전 정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1975년에 화전 정리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화전을 정리하였습니다. 충북 화전민은 1939년 5천4백여 가구에서 1979년 5만1천가구로 증가하였으며, 화전 면적은 더 많은 비율로 늘어나 1939년 1천9백町(1정=0.99㏊)에서 2만7천2백㏊로 급증했다고 합니다.
홍수와 가뭄 그리고 대청댐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9
생성연도
1975
대청댐은 1960년대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을 방지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검토되다가 1975년 3월에 공사를 착수하여 1980년 12월 준공된 콘크리트 중력식 및 사력(砂礫)식 복합형 댐입니다. 댐의 명칭에서 알수 있듯이 당시 충남 대덕군과 충북 청원군의 각각 앞글자에서 따와 대청댐으로 정해졌으며, 현재 충남 대덕군은 대전광역시로, 충북 청원군은 청주시로 편입되었습니다.대청댐은 총 저수용량이 14억9천만 톤이며, 대전과 청주를 비롯한 충청 지역은 물론 군산, 전주, 익산 등 전북지역에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150년만의 대홍수 1972년의 단양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3
생성연도
1972
1972년 8월 19일 중국 양자강 유역에서 접근한 저기압과 태풍 '베티'의 영향으로 쏟아진 집중호우로 당시 단양지역은 최악의 상황을 맞았습니다. 당시 150년 만의 대홍수로 기록된 집중호우는 이재민이 1만366명에 달하였으며, 95명의 사상자와 실종자를 냈습니다. 단양지역의 거의 모든 도로와 하천이 유실된 당시의 참상은 기억하기조차 두려운 물난리였습니다. 단양군청 소재지가 있던 단양읍(현재 단성면) 시가지는 물속에 파묻혀 아예 흔적도 없었고 매포읍 시내 역시 물 위로 집채가 둥둥 떠다닐 정도였다고 합니다.
국가경제 재건 중심 충주 비료공장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6
생성연도
1967
충주 비료공장은 1959년에 미국 원조 자금(미국 국제협력처)을 이용하여 충북 충주에 요소 비료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된 공장입니다. 한국 정부는 비료 공장 건설사로 결정된 MHC와 1955년에 비료 공장 건설 계약을 체결했고, 비료 공장은 1959년 10월에 준공되었습니다. 1977년 전라남도 여천시에 남해화학이 건설되면서 1983년 충주 제1비료공장, 호남 제2비료공장, 충주 암모니아센터가 생산을 중단하고 1985년 새한미디어에 인수되었습니다. 현재 충주 비료공장은 2011년 3월 코스모신소재로 사명이 변경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청풍문화유산단지의 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1
생성연도
1984
1980년에 착공해 1986년 완공 예정으로 진행된 충주댐 건설로 청풍면과 인근 4면(금성면,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한수면)의 61리가 수몰되는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당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일부가 수몰되었는데, 제천시 수몰 면적이 가장 넓었기에 많은 실향민이 발생하였고, 문화유적이 수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이에 충북에서는 제천의 수몰 지역 문화재를 원형대로 이전, 복원하고 수몰 마을의 유적, 유물들을 전시하는 청풍문화재단지를 조성하였습니다. 2024년 5월 62년 만에 문화재라는 명칭이 사라지고 유산으로 변경됨에 따라 2024년 12월 청풍문화유산단지로 변경되었습니다.
송강 정철 성역화사업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1
생성연도
1979
송강 정철 성역화사업은 1979년부터 1981년에 걸쳐 정송강사 주변을 정비하고 관련 시설을 중건하는 정화사업이었습니다. 당시 송강 정철 성역화사업 대상지에 자리한 은골마을은 1979년에 20여 호 가구가 동구 밖에 새 터전을 마련하고 문화주택을 건설하여 이주하였습니다. 현재 경내의 건물은 사당내삼문외삼문홍살문으로 되어 있으며, 내삼문과 외삼문 사이의 좌측에는 송강기념관이 있습니다. 사당내삼문외삼문에는 각각 석조계단이 설치되어 위계를 형성하고 있다. 평면은 전퇴를 두었고, 사당 내부는 우물마루로 되어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옛 청주 연초제조창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52
생성연도
1966
옛 청주 연초제조창은 1946년 청주연초공장이 개설되어 충북지역의 고용증대와 지역경제에 큰 기여를 하였으나, 1990년대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연초제조창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청주 연초제조창을 폐쇄하였습니다. 2021년 연초제조창은 문화제조창으로 변모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청주 섬유공장 (주)대농 철거 현장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8
생성연도
2005
1970년대 청주를 대표하는 면방공장으로 충청북도의 수출을 견인하였으나, 1997년 회사정리절차 개시, 2004년 신영산은캐피털 컨소시엄에 매각됨으로써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갔습니다.
1
2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