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유산의 보존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문화유산의 보존
-All-
제목
작성자
Total
85
,
Page
3
/ 9
Page unit
10
20
30
50
apply
보은 법주사 자정국존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1
보은 법주사 자정국존비(法住寺 慈淨國尊碑)는 자정국존(慈淨國尊) 미수(彌授; 1240-1327)의 행장을 기록하여 1342년(충혜왕복위 3)에 조성한 비석이다.국존의 속성(俗姓)은 김씨(金氏), 법휘(法諱)는 자안(子安)미수(彌授), 법호(法號)는 보명(普明), 시호(諡號)는 자정국존(慈淨國尊)이다.13세에 원흥사(元興寺) 종연(宗然)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19세에 양주 국녕사(國寧寺)를 시작으로 웅신사(熊神寺), 장의사(莊義寺), 법주사(法住寺), 중흥사(重興寺), 유가사(瑜伽寺), 동화사(桐華寺) 등에 주석하였다. 92권의 경론 주해를 찬술하였으며, 왕명으로 『법화경(法華經)』 「신해품(信解品)」의 난해한 부분을 해석하였다. 1325년(충숙왕 2)에 참회부(懺悔府)를 설립하여 승정(僧政)을 담당하고 오교...
등록일
2024-12-09 17:22:58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3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法住寺 碧巖大師碑)는 벽암대사(碧巖大師; 1575-1660)의 행장을 기록한 비로, 1664년(현종 5)에 세워졌다.벽암대사의 속성(俗姓)은 김씨(金氏, 법휘(法諱)는 각성(覺性), 자(字)는 징원(澄圓), 법호(法號)는 벽암(碧岩)이다. 14세에 설묵(雪默)을 은사로 출가하여 부휴대사(浮休大師)의 제자가 되었다.1624년(인조 2) 남한산성 축조 때 팔방도총섭(八方都摠攝)을 지냈으며,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승(義僧) 3천을 모집하여 항마군(降魔軍)을 조직하였다. 저서로는 『도중결의(圖中決疑)』, 『참상선지(叅商禪旨)』 등이 있다. 1660년(현종 1) 세수 86세, 법납 72세로 화엄사에서 입적하였다.비문은 비신 전면과 후면에 새겨져 있다.비신 전면 상단에는 ...
등록일
2024-12-09 17:14:21
보은 법주사 팔상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3
보은 법주사 팔상전의 목부재 99점에 대한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류(63점, 63.6%)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외래산 소나무류(17점, 17.2%), 상수리나무절(14점, 14.2%), 졸참나무절(3점, 3.0%), 느티나무속(1점, 1.0%), 전나무속(1점, 1.0%) 순으로 모두 6수종이 식별되었다.법주사 팔상전의 기둥, 추녀, 도리, 보, 창방 등의 63점에 사용된 소나무류(적송류; red pine group)에는 소나무와 곰솔(해송), 중곰솔이 있다. 소나무는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수고 35m, 직경 1.8m까지 자라며, 북부의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해발 1300m 이하의 지역에 분포한다. 소나무는 기건 비중이 0.47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 압축강도는 450k...
등록일
2024-12-09 16:47:44
보은 법주사 팔상전 불단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8
팔상전 불단은 각 면마다 차이는 있으나 전체높이 121.0cm, 천판 너비 536.2-542.4cm이다. 천판은 새로 제작했으며, 본래 불단은 중대 2단 높이에 판재를 두어 오백불을 안치했으나 현재는 천판 위에 모두 안치했다.남면에는 석가모니불좌상과 제화갈라보살입상, 미륵보살입상을 봉안했으며, 불단 하대도 당초문을 화려하게 조각하여 전면임을 알 수 있다. 사천주의 팔상도는 두 번째 그림인 유성출가(逾城出家)・사문유관(四門遊觀)상이 걸려 있다. 동면에는 석가모니불좌상과 태자상, 호명보살육아백상상(護明菩薩六牙白象像)을 봉안했으며, 사천주에는 설산수도(雪山修道)・수하항마(樹下降魔)상이 걸려 있다. 서면에는 석가모니불좌상과 태자애마상, 태자삭발상을 봉안했으며, 도솔래의(兜率來儀)・비람강생(毘藍降生)상이 걸려 있다....
등록일
2024-12-09 16:39:07
충주 청녕헌 정밀실측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정밀실측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유산의 기록을 확보함으로서 향후 화재나 재해로 인해 문화유산이 멸실되었을 시 복원자료로 활용하고, 건물 관련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학술 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청령헌은 정면 7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평면구성은 중앙 3칸을 우물마루를 깔아 넓은 대청(大廳)마루로 구성하였으며, 서쪽 2칸에는 전후면(前後面)에 툇마루를 둔 온돌방을 두고, 동쪽 1칸에는 대청보다 조금 높혀 전후면(前後面)에 툇마루를 두고 전체적으로 문을 두른 5칸의 ㄱ자형 마루방으로 만들었다. 약간 낮은 중앙 대청을 중심으로 온돌방과 마루방이 들어 올려져있는 폐쇄형의 방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서쪽 끝머리 1칸에는 온돌방 아궁이를 만들기 위하여 하부(下部)는 함실로, 상부(上部)는 누...
등록일
2024-12-09 16:18:14
충주 이상급 신도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6
충주 이상급 신도비(李尙伋 神道碑)는 이상급李尙伋; 1572-1637)의 행적을 기록한 비로, 1714년(숙종 40)에 세워졌다.이상급의 본관(本貫)은 벽진(碧珍), 자(字)는 사언(思彦), 호(號)는 습재(習齋)졸부(拙夫), 시호(諡號)는 충강(忠剛)이다. 1606년(선조 39) 문과에 급제한 후 형조좌랑(刑曹佐郎), 평안도도사(平安道都事)를 지냈다. 풍기군수(豐基郡守)로 있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를 주창했던 정조(鄭造; 1559-1623)가 관찰사로 부임하자 그 속관(屬官)이 될 수 없다고 사직한 뒤 향리로 돌아왔다.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다시 단천군수(端川郡守)연안부사(延安府使) 등을 역임하고 병조참지(兵曹參知)가 되어 국가방위와 군비확장에 공헌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
등록일
2024-12-09 14:57:35
영동 영국사 대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0
영동 영국사 대웅전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현 건물 부재에 쓰인 나무의 종류와 연대 그리고 건물 아래에서 발견된 탄화부재의 연대와 보존처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의하면 목조문화재 해체 공사시 부재의 종류, 크기, 중요도에 관계없이 모든 부재에 대하여 수종을 조사하도록 하고 있다. 문화재 수리의 원칙은 원형복원원칙에 의하면 같은 재질의 동일 수종으로 수리나 교체를 해야 히기 때문에 수종조사는 필수적이다. 또한 국산 수종을 사용하게 되어 있는데 근래에 수입된 외래 수종으로 잘못 수리된 것은 국산 수종으로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축조시기가 불확실하거나 양식적으로 중요한 부재인 경우에는 필요시 연륜연대를 조사한다라고 규정해 놓고 있다. 이는 원형복원의 기준 시점을 정하는데...
등록일
2024-12-09 14:32:28
청주 최명길 신도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1
청주 최명길 신도비(崔鳴吉 神道碑)는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생애와 가계를 기록한 비로, 1702년(숙종 28)에 세워졌다. 최명길의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자(字)는 자겸(子謙), 호(號)는 지천(遲川), 시호(諡號)는 문충(文忠)이다. 1605년(선조 38)에 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들어갔다. 1623년(인조 원년)에는 인조반정에 가담하였고,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어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일어나자, 대다수 관료들은 청과 군신의 의리를 맺을 수 없다는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을 때, 최명길은 현실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하여 청과 강화(講和)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후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
등록일
2024-12-09 14:17:04
청주 월리사 대웅전 불단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0
불단은 대웅전 내부 어칸 고주 사이에 벽체를 두고 그 앞으로 제작했다. 고주는 장귀틀과 동귀틀이 교차하는 위치에 세워 대들보를 받고 있으며 후불벽은 판벽이다. 후불벽 앞에 불단을 조성하여 중앙에 석가모니불상과 우측에 아미타불좌상, 좌측에 관음보살좌상을 봉안했다. 불상 크기는 본존 높이 130.0cm, 무릎폭 73.0cm, 아미타불좌상 115.0cm, 무릎폭 66.0cm, 관음보살상 115.0cm, 무릎폭 68.0cm이며, 모두 최근에 조성한 불상이다. 후불벽에도 최근에 조성한 석가모니후불도가 있는데 크기는 세로 500.0cm, 가로 220.0cm이다. 본래 1897년(光武 1年) 금호 약효(錦湖若效, 1864-1928)가 조성한 아미타후불도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고 있다.8 주불단 좌・우 양 협칸에...
등록일
2024-12-09 14:04:29
청주 월리사 대웅전 사찰벽화 기록화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7
성보문화재연구원이 문화재청의 국비지원으로 2006년부터 2010년경까지 실시하는 사찰건축물벽화조사의 결과물로서 2007년 충청남도충청북도 소재 사찰건축물에 대한 벽화를 조사하였다.월리사(月裡寺)는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구룡산(九龍山) 서쪽에 자리한 사찰로,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신라시대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이에 관한 명확한 문헌기록은 없으며, 1530년(중종 25)에 편찬된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월리사에 대한 언급이 없다.그러나 1632년(인조 10)경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서승람(湖西勝覽)』 불우편에월리초막(月裡草幕)이 등장하는 것을 시작으로 『여지도서(輿地圖書)』『충청도읍지』등 조선후기의 각종 지리서에 월리사에 대한...
등록일
2024-12-09 13:51:28
1
2
3
4
5
6
7
8
9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