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국가지정 > 국보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 한자명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 영문명Twin Lion Stone Lantern of Beopjusa Temple, Boeun
  • 지정일/등록일1962-12-20
  • 관할시군보은군
  • 이칭/별칭국보 5

문화재 설명정보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법주사의 중심불전인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일반적으로 석등의 하대석과 중대석 사이에는 팔각의 간주석이 있는데, 이 석등은 간주석 대신 두 마리의 사자가 서로 가슴을 맞댄 채 뒷발로 하대석을 디디고 서서 앞발로 화사석을 받치고 있다. 사자는 허리가 잘록하고 발은 근육이 두드러지는데, 앞발과 뒷발을 곧게 쭉 펴고 서 있는 모습은 먹이를 잡기 위해 웅크린 채 기다리고 있다가 순식간에 먹잇감을 낚아채러 달려 나가는 듯이 역동적이면서 용맹스러운 모습이다. 상대석과 하대석에는 단판의 연화문을 새겼는데, 연화문 안에 둥근 화문을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하대석 밑에는 8각의 지대석이 있는데 하대석을 받치는 2단의 괴임석을 모각하였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팔각을 이루는데 번갈아가면서 네 곳에만 화창을 뚫었다. 화창의 테두리 부분에 작은 구멍이 뚫려있는 것은 아마도 등잔 등의 조명기구를 내부에 안치하고 얇은 천으로 화창을 가려서 불빛이 은은하게 새어나오도록 고안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석등은 단순하게 조명기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부처의 지혜와 광명이 온 세상에 두루 퍼져있다는 개념을 상징하는 것으로 종교적인 숭고함이나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는 불가(佛家)의 성보(聖寶)이기 때문에,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이 석등의 조명은 불가에서 석등이 갖는 종교적인 상징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을 것이다. 옥개석은 귀퉁이 부분이 위로 살짝 들려서 반전되어 있을 뿐 다른 장엄표현은 없고, 그 위에 상륜부에는 둥근 보주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 석등은 각 부재가 정교하게 조각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례가 적절하고 서로 조화롭게 연결되어 있어서 품격이 넘친다. 이러한 조각수법이나 비례감 등은 통일신라시대 불교미술의 전성기의 작품에서 간취되는 양식특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간주석을 팔각으로 표현하던 것이 두 마리의 사자로 대체하는 것은 8세기 후반의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국보 제35호)에서 상층 기단부에 네 마리의 사자상을 배치하는 것과 상통하는 변화양상이다. 따라서 전형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형양식을 추구하고 있는 점이나 조각수법, 비례감 등의 양식특징을 고려할 때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776년(혜공왕 12)에 진표(眞表)가 법주사를 중창할 즈음에 해당하는 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석등과 같은 형식은 경남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보물 제353호)과 중흥산성에서 국립광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되고 있는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국보 제103호)이 있다. 이상의 쌍사자 석등들은 통일신라시대 불교미술의 다채로운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이형석탑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되는데, 그 중에서도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귀꽃이나 안상 등의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면서도 장중한 품격을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며 일군의 쌍사자 석등 중에서도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는 양식특징을 보는 작품이므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Situated within the precincts of Beopjusa Temple in Boeun, this stone lantern dati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consists of two lions standing on the lower pedestal, with their chests touching and their legs raised to support the middle pedestal on which the octagonal lantern chamber rests. The use of a stem in the shape of an animal, rather than the typical octagonal pillar-shaped stone, was rare in the period, making it a valuable example of a Unified Silla stone lantern. Experts believe that the lantern was mad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eighth century, possibly around the time when the eminent monk Jinpyo had Beopjusa Temple renovated in 776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yegongwang). Besides the twin lions, the stone lantern features a delightfully simple but imposing structure entirely free of ornamental elements such as Gwikkot (“corner flowers”) or ansang (“elephant eyes.”) This particular stone lantern is generally held to be more valuable than other extant twin-lion stone lantern not only for its superior aesthetic value but also for its style which predates that of other such lanterns.
報恩・法住寺にある統一新羅時代の石灯籠である。一般的に石灯籠の基礎と中台の間には八角の竿柱石があるが、この石灯籠は、竿柱石の代わりに2頭の獅子が胸を突き合わせた状態で基礎の上に後ろ足で立ち、火袋を支えている異形の石灯籠である。この石灯籠は、真表(チンピョ)が法住寺を再建した776年(恵恭王12)頃の8世紀後半につくられたと考えられている。法住寺双獅子石燈は、隅花(花柄の蕨手)や眼象(格挟間)などの装飾的要素を排除した簡潔な表現でありながらも、重厚な品格を感じさせる作品になっており、他の双獅子石燈と比べて最も早い時期の様式的特徴を示していることからも、その価値は非常に高いといえ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05 호
국보 5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
종교신앙 > 불교 > 공양 > 석등
통일신라
보은군
1962-12-20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등
-
석재
-
-
3.3m
1기
30.2
대표 소재지 공개
28908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대표 보관장소 공개
28908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법주사)/(사내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문화재청, 2010,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정기조사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제2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