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충주 고구려비
국가지정 > 국보 충주 고구려비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忠州 高句麗碑
영문명 Goguryeo Monument, Chungju
지정일/등록일 1981-03-18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국보 205, 중원고구려비

문화재 설명정보

충주 고구려비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고구려 석비로 현재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에 위치한 충주고구려비전시관 내에 전시되어 있다.
충주 고구려비는 1979년 충주 예성동호회에서 발견하고 단국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고구려비로 확인되었다. 사료가 영세한 고대사 분야와, 비문에 나타난 고구려·백제·신라의 상호관계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귀중한 금석문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발견 당시 비문의 첫 머리에 보이는 ‘오월중고려대왕(五月中高麗大王)’이라는 글귀를 ‘진흥대왕(眞興大王)’으로 판독할 정도로 자획이 심하게 마멸되었고, 이로 인해 현재까지 완전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충주 고구려비는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여 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글자가 가장 많이 보이는 면을 전면(前面)으로 볼 때에 해당 면과 좌측면에 가장 글자가 많고 우측면에도 ‘임자(壬子)’, ‘벌(伐)’, ‘불(不)’, ‘소(小)’, ‘중(衆)’, ‘공(公)’, ‘사(使)’, ‘이(以)’ 등의 몇 자를 확인할 수 있으나 후면(後面)에는 전혀 글자가 확인되지 않아 3면비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3면비였다면 넓은 면을 두고 폭이 좁은 좌우면에 굳이 각자(刻字) 할 이유가 없으며 원래 비가 위치하던 장소에서 가해진 인공적인 훼손과 풍우 등의 자연적 영향을 고려했을 때 4면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충주 고구려비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신라를 동이(東夷)라고 표현한 것과 신라왕을 ‘매금(寐錦)’이라 하여 하위개념으로 표기한 것이다. 5세기 고구려의 천하관(天下觀)은 고구려를 천하의 중심으로 설정하여 백제를 ‘백잔(百殘)’으로 비하하여 부르는 등 주변국과의 외교관계를 조공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이미 광개토대왕비에도 잘 나타난다. 충주 고구려비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여형여제(如兄如弟)’라 한 것과 신라 매금에게 의복 등을 사물(賜物)했다는 사실을 표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고구려와 신라가 고구려 우위의 입장에서 우호관계가 유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로, 신라 내에 고구려의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신라토내당주(新羅土內幢主)’는 신라에 파견된 고구려의 당주(幢主)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광개토대왕비에 의하면 고구려군의 신라 진출은 영락 10년(400)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고구려의 군대가 모두 철수한 것이 아니라 일부는 신라 영토 내에 주둔하며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던 듯 하며 이 같은 상황은 충주 고구려비의 건립 전후시기에도 지속되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전부대사자(前部大使者)’, ‘제위(諸位)’, ‘사자(使者)’ 등을 통해 고구려의 관직명과, 직명-부명-관등명-인명 순으로 인명 표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셋째로, 고구려 문화가 신라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이다. 이 같은 점은 불교의 전파 과정에서도 알 수 있으나 사물관계(賜物關係)의 문구 가운데 사용된 ‘절사(節賜)’, ‘절교사(節敎賜)’ 등의 이두(吏讀)를 볼 때, 신라의 이두가 고구려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추정도 주목되는 점이다.
충주 고구려비는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고 한반도 중부지역까지 장악하여 충주지역까지 세력이 확장되었음을 말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비문에 나타나는 여러 기록을 통해 밝혀진 고구려사 및 당시 백제와 신라와의 관계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라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The Goguryeo Monument of Chungju, located at the entrance to Ipseok Village of Yongjeon-ri, Jungangtap-myeon, Chungju-si, was discovered in 1979 by a local archaeology society called Yeseong Donghohoe and identified as a commemorative stele of Goguryeo by a team from Dankook University Museum.
The monument contains the crucial piece of information that Goguryeo once conquered the capital of Baekje and expanded its borders to include much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present-day Chungju. The record engraved on the monument also contains valuable clues about relations between the three ancient Korean kingdoms, Goguryeo, Baekje and Silla. The monument ha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only Goguryeo monument to have been discove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o date.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205 호
국보 205, 중원고구려비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사회생활 > 기념 > 비
삼국시대
충주시
1981-03-18
-
건조물>석조건축물류/비석
-
석재
금석문 판독 어려움
-
203㎝
1기
592.0
대표 소재지 공개
27448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감노로 2319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280-17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448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감노로 2319(충주고구려비전시관)/(용전리)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280-17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불교중앙박물관, 2019,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강원도Ⅱ 충청북도』, 도반미디어.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충주시 국가지정문화재 허용기준 재조정 연구』. [아카이브 > 기타자료 수록]
동북아역사재단, 2021, 『충주고구려비』.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