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영국사 승탑
국가지정 > 보물 영동 영국사 승탑
  • 한자명永同 寧國寺 僧塔
  • 영문명Stupa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1971-07-07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보물 532, 영국사부도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 영국사 승탑은 크기가 작은 팔각원당형승탑(八角圓堂型僧塔)으로 영국사 원각국사비 동쪽 약 80m 되는 곳에 북동방향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둔덕 끝에 조성되어 있다.
승탑의 높이는 1.74m이며 지대석부터 상륜부의 보주까지 각 부재가 완전하다. 8각의 지대석과 하대석이 하나의 석재로 제작되었고, 지대석 위에 높은 괴임대 1단을 두었다. 그 위에 낮은 각형의 2단 받침을 각출하여 하대면석을 받치고 있다. 각 면에는 1좌(座)씩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그 위에는 한 돌로 제작된 하대갑석과 중대석 괴임대가 놓여 있다. 갑석 하단에는 각형의 부연이 1단으로 각출되어 있다. 상면에 3단의 중대석받침을 각형으로 낮게 각출하여 중대면석을 받치고 있다. 중대면석은 1석의 팔각형으로 각 면에는 1좌씩의 안상을 장식하였는데 정연하다.
상대석은 하면에 팔각의 각형 2단 괴임대를 각출하여 중대석 위에 맞게 놓이도록 하였으며, 상단에는 단엽 24엽의 앙련(仰蓮)을 중판(重辦)으로 조식하여 화려한 연화문양대를 이루고 있다. 상면에는 1조의 원문을 넓게 각출하였고, 중심부에 낮은 각형-원호-낮은 각형 순으로 3단 받침을 조출하여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은 8각이고 각 면 모서리에 우주가 정연히 각출되었다. 탑신석 한 면에 장방형의 문비(門扉, 문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식)를 마련하고 그 내면 상부에 자물통을 양각하였다. 팔각 옥개석의 하면에는 낮은 각형-원호형-낮은 각형 순으로 3단의 옥개석 괴임대가 돋을새김 되어 있다. 낙수면은 유려한 곡선을 이루면서 전각까지 흘렀고 각 면마다 기와골이 정연하게 조각되었다. 상륜부는 북을 눕힌 형태의 복발과 보주가 조성되어 있다. 복발의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양각선이 2조로 돌려졌고 지름 12㎝의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연봉형의 보주는 하면에 얕은 2단의 괴임이 마련되어 있다.
영국사 승탑은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고 단아한 형태의 승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옥개석 낙수면에 기와골을 모각하여 처마에 서까래를 표시하고 있는 유례는 신라 말-고려 초기 석조부도에서 볼 수 있는 것인데, 안상의 형태와 중판앙련의 상대석 양식은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제104호)과 흡사하다. 그러나 옥개석 각 변의 반전이 심한 부분은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에 비해 시대적 하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승탑의 조성연대는 12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이 승탑의 주인공은 영국사를 하산처로 삼고, 1174년에 입적한 후 1180년에 탑비가 세워진 원각국사(圓覺國師) 덕소(德素)일 것으로 추정된다.
The Stupa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stands on the ridge to the south of the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ak. The small stupa has a traditional octagonal body, and its entire structure has been preserved in perfect condition from the base to the pearl of the finial. It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lfth century - probably to enshrine the relics of State Preceptor Wongak (a.k.a. Deokso), who spent his last days at Yeongguksa Temple.
永同・寧国寺にある僧塔で、円覚国師碑の南側に面する稜線の頂上に建てられている。小柄で上品な趣があり、洗練された彫刻技法が見られる八角円堂型僧塔で、地台石から相輪部の宝珠までの各部材は完全である。僧塔の建立時期は12世紀後半頃と推定されており、僧塔の主は寧国寺を下山先に1174年に入寂した円覚(ウォンガク)国師・徳素(トクソ)であると推定され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532 호
보물 532, 영국사부도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부도
고려시대
영동군
1971-07-07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승탑
-
석재
팔각원당형
-
전체높이176cm, 신높이28cm
1기
483.0
대표 소재지 공개
29160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동길 225-35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7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산138-1(영국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현석종합건축사사무소, 2000,『영국사부도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청, 2010,『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2』.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간향건축사사무소, 2018,『영국사 승탑 정밀실측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 보물 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