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국가지정 > 보물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 한자명永同 寧國寺 三層石塔
  • 영문명Three-story Stone Pagoda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1971-07-07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보물 533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은 9세기의 일반형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석탑으로, 충청북도 지역에 잔존 사례가 희소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다. 현재 영국사 대웅전 앞에 위치하며, 상륜부의 일부 훼손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영국사 삼층석탑은 높이 3.41m로, 원래 옛 절터에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34년에 주봉조사(朱奉祖師)가 영국사를 중창할 때 옮겨와서 조성되었다고 추정되며, 이는 2005년 해체복원 당시 석탑 기단부가 조선시대 유구층을 훼손하고 조성된 상황에서도 확인되었다. 석탑은 대웅전과의 중심 축선이 맞지 않게 건립되어 있는데, 좁은 마당 규모 때문에 출입 계단을 막는 듯한 상황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봉조사가 복원한 이후 2003년도까지 상층기단 면석의 상하가 뒤집혀 있었으나 2005년 5월 보존처리 및 해체복원을 하면서 원 상태로 바로잡았다.
석탑의 하층기단 면석은 각 면이 1매씩이나 서쪽 면만 2매이다.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3구씩 조각되었다. 하층기단 갑석은 4매의 판석으로 맞추었는데 중앙부는 강회다짐으로 채웠고 하층 면석의 채움 부분과 연결된다. 윗면에는 2단의 상층기단 받침을 두었는데 1단은 원호형이고 2단은 각형이다. 상층기단 면석은 각 면 1매 씩 모두 4매로 이루어졌다. 남쪽과 북쪽 면의 면석이 측면의 우주까지 새겨질 정도로 크고, 동쪽과 서쪽 면에는 안상의 하단부가 새겨진 작은 면석을 끼워 넣었다. 각 면마다 우주까지 꽉 차도록 전면에 1구씩 큼직한 안상을 음각하였다. 상층기단 갑석은 1매로 조성되었는데 상면에 원호형 받침과 각형 받침을 2단으로 조각하여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기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고, 각 탑신석은 우주가 정연하게 조각되었다. 1층의 동쪽 면에는 문비(門扉, 문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식)가 양각되었다. 문비의 내면은 중앙에 1조의 종선을 음각하여 양쪽의 문짝을 표현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양면에 걸쳐 큼직한 자물통 한 개가 양각되었다. 자물통의 양쪽 상단에 원형의 자물통 고정쇠가 표현되었고, 자물통의 밑으로 양쪽에 한 개씩의 원형 문고리가 조각되어 있다. 탑신석 상면 모퉁이에는 철편 4개를 끼워 수평을 맞추었다.
각 층의 옥개석은 받침이 모두 4단이고 처마에는 낙수홈이 정연하게 음각되었다. 상면에는 1단의 각형 받침으로 탑신을 받치고 있다. 낙수면은 얇고 4면의 합각이 뚜렷한데 각 모서리 부분이 곡선적이어서 융기된 인상을 준다. 네 모퉁이의 전각에는 반전을 심하게 나타내고 있다. 전각에는 중심부와 좌우 양면에 각 1공(孔) 씩 도합 3개의 풍경 구멍이 마련되었다. 2층 옥개석 상면에는 가로·세로 15㎝, 깊이 8㎝의 사리공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에서는 1972년에 주조된 10원짜리 동전 2점과 1974년 주조 100원짜리 동전 1개가 비닐에 싸인 채로 발견되었다. 2층 옥개석 상면 모퉁이에도 수평을 맞추기 위한 철편 1점과 인위적으로 끼워 넣은 1995년도 10원짜리 동전 1점이 확인되어 2005년 이전에 이미 해체복원작업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3층 옥개석 상면에는 각형 1단의 노반 받침이 각출되었고 그 중심에 지름 8㎝, 깊이 8.5㎝의 찰주 구멍이 있다. 노반 위에는 보주형의 상륜부재가 놓여 있는데 아랫부분이 파손된 상태이다.
영국사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2층 기단을 갖추고 있어 안정감이 있으면서도 각 층 탑신석이 옥개석에 비해 작은 편이라 다소 불안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옥개석이 두께가 얇고 전각의 반전으로 인해 경쾌하고 균형 잡힌 구조를 보이고 있다.
영국사 삼층석탑처럼 하층기단의 각 면에 우주를 모각하지 않고 안상을 3좌씩 조각한 것과, 상층기단면석에 1좌의 큼직한 안상이 조각된 예로는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보물 제510호),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제250호), 국립경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위치한 경주 남산 승소곡 삼층석탑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석탑 각 면에 안상을 조식하는 형식은 통일신라시대 하대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영국사의 석탑도 당시의 일반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영국사 삼층석탑은 기단 우주 표현이 생략되고, 각 안상의 수법도 다소 세련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므로 석탑의 조성연대는 통일신라시대 하대인 9세기경으로 추정된다.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Yeongguksa Temple belongs to a common type of stone pagoda of Unified Silla (676-935) rarely seen in the Chungcheongbuk-do area, and has accordingly highly academic value. The pagoda is preserved well except for the finial which has some damaged parts. It was discovered at a ruined temple site by the monk Jubong in 1934 and moved to the precincts of Yeongguksa Temple while he was renovating it. The pagoda’s stylistic details show that it was produced by Unified Silla artisans in the ninth century.
寧国寺三層石塔は、忠清北道に数少ない統一新羅時代の一般型石塔で、学術的価値が非常に高い。相輪部が一部欠損しているものの、保存状態は概ね良好である。元々寺院跡に崩れていたものを、1934年に朱奉(チュボン)祖師が寧国寺を再建した際に現在の場所に移転・建立されたものである。その表現様式から、石塔の建立年代は統一新羅時代の下代に当たる9世紀頃と推定され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533 호
보물 533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탑
통일신라
영동군
1971-07-07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탑
-
석재
방형
상륜부/탑신부(3층)/기단부(이중기단)
전체높이315cm, 하기장186cm
1기
2,123.0
대표 소재지 공개
29160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동길 225-35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7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6(영국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청대학박물관, 2003,『영동 영국사 시굴 및 발굴조사 완료 약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종합건축사사무소, 2004,『영국사 삼층석탑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대학박물관, 2006,『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주변(2차) 발굴조사 완료 약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청, 2010,『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정기조사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간향건축사사무소, 2018,『영국사 삼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 보물 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