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국가지정 > 보물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 한자명永同 寧國寺 望塔峰 三層石塔
  • 영문명Three-story Stone Pagoda at Mangtapbong Peak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1971-07-07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보물 535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은 영국사에서 동쪽 약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속칭 망탑봉(望塔峰)이라는 작은 봉우리의 정상부 바위 위에 조성되어 있다. 바위를 깎아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탑신부와 상륜부를 올린 특수형 석탑으로 충청북도 지역에서는 잔존 사례가 희귀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다. 2층 탑신석 위로는 중심축에서 약간 벗어나 있어 석탑에 대한 해체복원작업이 이루어졌다.
석탑의 높이는 2.8m로, 바위 윗면을 중심부가 약간 낮도록 비스듬하게 다듬어 기단을 삼았다. 바위 중앙에 돌출된 형태의 방형 기단부를 마련하고 치석한 윗면에 2단의 높은 각형 받침을 각출하여 그 위로 기단면석을 조성하였다. 단층기단으로서 각 면에는 아랫면이 약간 넓은 모퉁이 기둥인 우주를 양쪽 가장자리에 양각하고 중앙에는 중간기둥인 탱주를 모각하였다. 우주와 탱주로 구획된 각 면에는 안상을 조각하였다. 상단의 갑석은 얇게 표현되었으나 파손이 심하고 받침 없이 그대로 탑신이 놓였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별개의 석재로 조성되었으나, 1층 옥개석의 4·5층 받침은 별석으로 조성된 점이 특징이다. 각 층의 탑신석에는 우주가 정연히 각출되었고, 특히 각 층마다 상단이 하단보다 약간씩 좁아지는 형태여서 경쾌한 느낌을 준다. 초층 탑신 하단에는 1단의 각형 받침이 조각되었는데, 이것은 기단부 갑석 상면에 탑신받침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대용으로서 모각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초층 탑신 네 면에는 동일한 규격으로 문비(門扉, 문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식)가 양각되었는데, 자물통과 문고리 장식도 없고, 상하부의 양 끝이 돌출된 액자형으로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있다.
1층 옥개석은 옥개받침이 5단이며 하부 4·5층은 별석으로 조성하였다. 처마가 직선적이고 낙수면 두께가 얇아 날렵하다. 전각에 약한 반전이 있으며 풍경 구멍은 없다. 상면에는 각형 1단의 탑신받침이 각출되었다. 2층 옥개석은 받침이 4단이며 상면에 옥신받침 1단이 각형으로 조각되었고, 그 위의 3층 탑신에는 양 우주 외에 아무런 조식이 없다. 3층 옥개석은 옥개받침이 4단이고 상면에 각형의 노반 받침 1단이 각출되었으며, 그 상면 중앙에는 지름 4.5㎝, 깊이 3㎝의 찰주공(擦柱孔)이 시공되었다.
이 탑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암반을 치석하여 기단부로 삼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석탑 조성의 사상적 근원은 9세기에 등장하여 고려시대에 성행했던 풍수도참설에 둘 수 있고, 불력에 의한 산천비보사상의 뜻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은 예는 9세기에 건립된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제186호)에서 양식적 근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경주 남산 동·서 삼층석탑(보물 제124호)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제65호)에 이르러 양식적 확립을 이루어 고려시대에는 안동, 서산, 홍천, 영암, 영양 등지에서 전국적인 건탑 양상이 나타난다.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은 각 층 옥개석의 낙수면이 날렵하면서 얇고 네 귀퉁이 전각에도 반전이 있어 경쾌한 느낌을 주며, 각 탑신의 상부가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안정감을 주어 단아한 형태이다. 그러나 자연암반을 이용한 단층기단이면서 갑석의 수법이 약화되고, 옥개받침과 탑신받침의 형태도 정연하지 않으며, 각 부재 조립 기법이 일반적인 양식에서 조금씩 벗어난 점을 보이고 있는 점을 통해 볼 때 탑의 건립시기는 고려시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stands on the rocky top of Mangtapbong, a small mountain peak approximately 500 meters east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The base, which was prepared by cutting the top of a large rock flat, on which the main body is placed with its finial on top, is a fine example of the kind of stone pagodas of Goryeo that were built on prominent natural sites, though few were built in the Chungcheongbuk-do area. The pagoda is also highly regarded for the excellent carving technique used to fashion the stone and its good state of preservation. The stylistic details suggest that it was built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寧国寺望塔峰三層石塔は、寧国寺東側の約500mにある通称“望塔峰”と呼ばれる小さな峰の頂上の岩の上に建てられている。この塔は、巨大な岩盤の上に置かれた岩を削って基壇とし、その上に塔身部と相輪部を乗せた高麗時代の特殊型石塔で、忠清北道では非常に僅かな数が残っていて、保存状態や製作技法に優れており、学術的価値が高い。その表現様式から、塔の建立時期は高麗時代初期と推定され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535 호
보물 535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탑
고려시대
영동군
1971-07-07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탑
-
석재
방형
상륜부/탑신부(3층)/기단부(단층기단;자연암반)
3m
1기
473.0
대표 소재지 공개
29160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동길 225-35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7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산139-1(영국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춘추건축사사무소, 2005,『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실측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춘추건축사사무소, 2007,『망탑봉3층석탑실측조사및수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청, 2010,『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정기조사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간향건축사사무소, 2018,『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제2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