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국가지정 >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沃川 龍岩寺 東·西 三層石塔
영문명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of Yongamsa Temple in Okcheon
지정일/등록일 2002-03-12
관할시군 옥천군
이칭/별칭 보물 1338, 옥천용암사쌍삼층석탑

문화재 설명정보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은 옥천군 옥천읍 산청리에 소재한 용암사의 북쪽에 형성된 낮은 봉우리에 위치한 쌍탑으로 2층 기단 위에 삼층 탑신을 올린 일반형 삼층석탑이다.
동 삼층석탑은 높이 4.3m의 규모이며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지대석을 구축한 후 2층 기단을 구축했다. 하층기단은 4매의 장대석으로 구축했는데, 우주와 탱주는 생략했다. 기단 갑석은 두꺼운 4매의 판석으로 결구했지만, 상·하면을 모두 편평하게 치석했다. 상층기단은 남북 방향으로 판석을 놓고 동서 방향에 판석을 끼워 조립했다, 면석에는 양 우주만 모각되어 있다. 갑석은 2매의 판석으로 조립했지만, 상·하면 모두 편평하게 치석했다. 하면에는 부연이 생략되었고, 상면 중앙에는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조출해 초층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서로 다른 석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탑신석은 1층 탑신이 다른 층에 비해 높게 조성되었고, 매 층 탑신에는 양 우주가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3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었다. 낙수면은 길이가 짧고 경사 또한 급하게 조성되었다.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 전각에 이르러 둔중한 반전을 보이고 있다. 동·서탑 모두 추녀 부분에 풍탁공이 있다. 정상에는 부연이 있는 노반석과 하나의 석재로 제작된 복발과 보주가 놓여있다.
서 삼층석탑은 높이 4.1m의 규모인데,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지대석을 구축한 후 2층 기단을 구비한 3층 석탑을 건립했다. 전체적으로 동 삼층석탑과 같은 양식을 유지하고 있는데, 2층과 3층 탑신석은 새로운 석재로 보수되었다. 하층기단은 높직한 장대석을 남북방향으로 놓고, 동서 방향에 소형의 판석을 막은 형식을 보이고 있는데 우주와 탱주는 모두 생략되었다. 하층기단 갑석은 높게 조성한 2매의 판석으로 결구했으며, 상면은 편평하게 치석했다. 상층기단은 동 삼층석탑과 같은 방식으로 결구했는데 갑석을 1매의 판석으로 놓은 점이 다르다. 정상에는 방형으로 치석한 석재와 보주가 놓여있는데 모두 새로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이 지닌 특성은 양식적인 부분보다 건탑의 목적과 위치 선정에서의 특수성이 주목된다. 즉, 석탑의 건립위치가 일반적인 사찰에서와 같이 대웅전의 전면이 아니라 사찰의 북쪽에 형성된 낮은 봉우리라는 점이다. 이 곳에서는 용암사의 경내는 물론 옥천 시가지까지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이처럼 가람배치의 정형에서 벗어나 조망권이 확보되는 지점에 석탑을 건립하는 것은 9세기에 건립된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제186호)에서 시작된 것으로서 이는 산천비보 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용암사 삼층석탑 역시 건립된 위치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 성행했던 산천비보 사상에 의해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파악된 산천비보사상에 의해 건립된 석탑은 대부분 단탑임에 비해 이 석탑은 쌍탑으로 건립되어 매우 특수한 일례로 판단된다. 더불어 산천비보 사상에 의해 건립된 석탑은 대체로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은 까닭에 기단부가 생략되어 있지만, 이 탑은 자연암반 위에 건립되었음에 불구하고 2층 기단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석탑과 차별성이 확인된다.
이 석탑은 각부의 양식과 석재의 결구수법에서 간략화 및 생략된 양식을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These twin stone pagodas standing on a low mountain peak north of Yongamsa Temple in Okcheon feature a three-story body placed on a double-tier base. The details of the framework and the simple structural style suggest that the pagoda was built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918-1392). The location of the pagoda also suggests that it was set up according to the Pungsu (or Feng Shui) principles about nature that gained great popularity during the Goryeo dynasty.
沃川・龍岩寺の北側にある低い峰に建てられている双塔で、2層の基壇の上に3層の塔身を乗せた一般型石塔である。石材の結構方式や様式的に簡略化されていることから、高麗時代後期に建てられたと推定される。また、石塔が建てられている場所から、高麗時代に流行した山川裨補思想に基づいて建立された石塔であることがわか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1338 호
보물 1338, 옥천용암사쌍삼층석탑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탑
고려시대
옥천군
2002-03-12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탑
-
석재
방형
상륜부)/탑신부(3층)/기단부(이층기단)
4.1~4.3m
2기
82,909.0
대표 소재지 공개
29053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2길 400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4
대표 보관장소 공개
29053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51-1(용암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비산문화재, 2006, 『옥천 용암사 쌍삼층석탑 보수공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아트텍보존연구소, 2010, 『옥천 욕암사 쌍삼층석탑 보수공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보림문화재, 2014~2015,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보존처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건양기술공사, 2017,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구조안전진단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17, 『옥천 용암사 동서삼층석탑 정밀실측조사 보고서』, 하늘기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