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국가지정 > 보물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 한자명槐山 覺淵寺 通一大師塔
  • 영문명Stupa of Buddhist Monk Tongil at Gagyeonsa Temple, Goesan
  • 지정일/등록일2003-03-14
  • 관할시군괴산군
  • 이칭/별칭보물 1370, 괴산각연사통일대사부도

문화재 설명정보

고려 전기 각연사에 주석(主席)했던 통일대사의 승탑이다.
각연사에서 완만하게 경사진 뒷산을 오르면 통일대사의 탑비가 있고, 그 탑비에서 산의 정상을 향해 오르다보면 7부 능선 즈음에 통일대사탑이 있다. 대부분의 승탑이 사찰 경내에 위치하는데 비해서, 통일대사탑은 사찰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원래 한 쌍을 이루면서 같은 자리에 안치되는 탑비와도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통일대사탑비에 새겨진 명문에 따르면, 이 승탑의 주인공인 통일대사는 당나라에 유학하였던 적이 있으며, 귀국한 다음 고려 태조 왕건을 만나서 교법활동을 펼쳤다고 한다. 또 통일대사탑비는 고려 958년(광종 9)에 제작되기 시작해서 960년(광종 11)에 완성되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통일대사탑비와 한 쌍을 이루는 이 통일대사탑도 그 때 같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통일대사탑은 상륜부의 노반(露盤)만이 남아있고 그 위에 놓이는 복발(覆鉢), 보륜(寶輪), 보개(寶蓋), 보주(寶珠)가 결실되었으며 옥개석의 처마 끝에 조각된 귀꽃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그러나 그 외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는 거의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다. 전체 평면은 팔각을 이루며 높이가 2.3m에 달한다.
기단부를 살펴보면, 지대석과 하대석은 1매의 석재로 제작하였으며 중대괴임석과 중대석, 상대석을 각 1매의 석재로 제작하여 결구하였다. 중대괴임석과 상대석에는 겹으로 된 연꽃을 조각하였고 중대석의 모서리를 기둥형태로 표현했을 뿐, 그 외에는 별다른 장식을 하지 않았다. 탑신부를 살펴보면, 탑신석과 옥개석을 각각 1매의 석재로 제작하여 결구하였다. 탑신석 모서리도 기둥형태로 표현하였고, 전면과 후면에는 문비(門扉)를 새겼다. 옥개석의 아랫면에는 3단의 받침을 표현하였다. 탑신석에 비해서 옥개석이 큰 편이며,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처마가 두껍다. 처마 끝마다 귀꽃을 장식하였는데 현재 4개는 떨어져 나가고 나머지 4개만 남아있다. 탑신석의 가장 윗면에는 16잎으로 된 연꽃을 둘렀다. 상륜부의 노반은 연꽃으로 된 발우(鉢盂) 형태이며, 그 가운데에는 찰주를 꽂았던 구멍이 있다.
이와 같이 전반적으로 각연사 통일대사탑은 신라하대에 완성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승탑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표면을 화려하게 장엄하지 않고 문비와 연꽃 등 간단한 문양만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어서 신라하대에서 고려전기로 이행되는 양식특징이 드러난다.
This stupa erected to honor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Priest Tongil, who headed the community of monks based in Gagyeonsa Temple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was built between 958 and 960. The stupa has retained its original structure except for the roof stone, one corner of which has lost its floral ornament, and the finial, of which only the finial base (noban) remains. Although the stupa exhibits the octagonal structure establish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 use of a simple lotus motif for decoration shows that it was built during the late Silla or early Goryeo period.
高麗前期に覚淵寺の主席であった通一(トンイル)大師の僧塔である。通一大師塔碑について高麗時代の958年に建て始め、960年に完成したという記録が残っているが、その通一大師塔碑と一対になっているこの通一大師塔も同時期につくられたと考えられる。相輪部は露盤を残すのみであり、屋蓋石の軒先に彫られている隅花が欠けていることを除いては原型を留めている。新羅下代に完成した八角円堂型の僧塔様式を継承しているが、表面においては蓮華などの簡単な文様のみで簡潔に表現されているなど、新羅下代から高麗前期に移行する時期の様式的特徴を示し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1370 호
보물 1370, 괴산각연사통일대사부도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부도
고려시대
괴산군
2003-03-14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승탑
-
석재
팔각원당형
-
2.3m
1기
3,075.0
대표 소재지 공개
28018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38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산7-1(각연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문화재청, 2010,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정기조사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