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국가지정 > 보물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 한자명永同 般若寺 三層石塔
  • 영문명Three-story Stone Pagoda of Banyasa Temple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2003-03-14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보물 1371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에 소재한 반야사 경내에 건립되어 있는 삼층석탑으로 본래 경내 북쪽의 석천계곡 탑벌에 있던 것을 1950년에 이전했다고 한다.
석탑은 단층기단을 구비한 평면 방형이며 높이는 3.4m이다. 길이 330×330㎝, 높이 30∼40㎝ 규모의 토단위에 건립되었으며 지대석부터 마지막 층의 부재까지 대체로 완전한 면을 보이고 있다. 지대석은 모두 6매의 판석으로 구성하였는데 먼저 네 모퉁이에 부재를 놓고, 동쪽과 서쪽 면에는 중간에 짧은 판석을 놓아 조립했다. 지대석 상면의 네 모서리에는 합각선이 돌출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깊이 3㎝ 가량의 홈을 파 기단면석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단층기단을 구성하는 기단면석은 모두 4매의 석재로 구성되었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었다. 상면의 갑석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하였으며 중앙에는 77×74㎝ 크기의 장방형 액(額)을 깊이 3㎝ 정도로 굴착해 초층 탑신이 꽂히도록 조성했다. 액의 주변에는 너비 7㎝ 가량의 액을 돌려 갑석의 상면과 구분하고 있으며, 갑석의 네 모퉁이에도 합각선이 조출되어 있다.
1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구성하였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를 조출했다. 4매의 면석 중 동·서쪽의 면은 본래의 부재이나, 남·북면의 것은 새로 끼워 넣었다. 2·3층탑신은 모두 하나의 석재를 사용하여 조성되었는데, 2층 탑신에 모각된 우주에서는 가운데가 불룩한 엔타시스 수법을 볼 수 있다. 3층 탑신은 새 부재를 끼운 것으로 판단된다. 옥개석은 1층에서 3층까지 모두 하나의 석재를 사용하여 조성되었다. 각 층을 구성하는 옥개받침은 1층으로부터 각각 5단, 4단, 4단을 이루고 있어 비교적 정형화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낙수면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해 둔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추녀는 비교적 두껍게 조성되었는데, 직선화되는 보편적인 수법과는 다르게 완만한 원호를 이루며 전각에 이르고 있어 합각부의 반전은 예리한 편이다. 옥개석의 상면에는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조출해 탑신을 받고 있다. 정상에는 찰주공이 관통된 노반과 복발이 남아있다
이 석탑은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결구수법에서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초층 탑신의 결구수법은 신라석탑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기단면석과 초층 탑신을 꽂히도록 하면에 홈을 판 형태는 충청도와 전라도 일원에 건립된 백제계석탑의 양식이라 하겠다. 비록 일부 부재가 결실되어 있지만 신라계와 백제계 석탑의 양식이 혼합되어 건립된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 전기에 건립된 삼층석탑으로 추정된다.
This stone pagoda originally located in Tapbeol, to the north of Banyasa Temple in Yeongdong,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950. The pagoda consist of a main three-story body placed on a single-tier base in the Baekje style, and a first story whose framework displays the influence of a Silla pagoda. The style of the entire structure suggests that it was built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918-1392).
永同・般若寺の北側に位置するタッポルにあった三層石塔で、1950年に現在の場所に移転・復元されたと言われている。単層の基壇の上に3層の塔身を乗せた、平面方形の一般型三層石塔であり、基壇には百済系の石塔様式が、初層塔身には新羅石塔の結構方式が見られる。全体的な様式から、高麗時代前期に建立されたと推定され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1371 호
보물 1371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탑
고려시대
영동군
2003-03-14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탑
-
석재
방형
상륜부/탑신부(3층)/기단부(단층기단)
3.35m
1기
5,259.0
대표 소재지 공개
29116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151-1
대표 보관장소 공개
29116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반야사)/(우매리)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151-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문화재청, 2010,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기조사 제3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국보·보물)정기조사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6,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누벨비에이엔씨, 2017,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태창건축사사무소, 2017,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보물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국보 보물 3』.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