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국가지정 > 보물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文籍
영문명 Royal Certificate of Cheongnan Meritorious Subject Issued to Sin Gyeong-haeng and Related Documents
지정일/등록일 2003-08-21
관할시군 괴산군
이칭/별칭 보물 1380

문화재 설명정보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은 1596년(선조 29) 7월 이몽학(李夢鶴)이 충청도 홍산에서 난을 일으켰을 때 이를 토벌하는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청난공신교서(淸難功臣敎書)와 함께 1608년(선조 41) 6월 신경행을 수충청도병마절도사(守忠淸道兵馬節度使)로 임명하면서 내린 유서(諭書)와 신경행에게 충익(忠翼)이란 시호(諡號)를 내리는 시호교지(贈諡敎旨) 등 8종 9점의 유물이다.
신경행(辛景行, 1547∼?)의 본관은 영산(靈山), 자는 백도(伯道), 호는 조은(釣隱)이며 자전(自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주(世胄)이고, 아버지는 질(垤)이다.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57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년에 한산군수가 되었고, 1596년에 충청도순찰사의 종사관이 되었다. 이 때 관내 홍주에서 이몽학의 난이 일어나자 난의 진압에 공을 세웠다. 다음 해에 군자감정(軍資監正)이 되었고, 1604년에 청난공신 삼등에 책록되고 영성군에 봉해졌다.
1608년에 충청도병사가 되었으나 시정이 바르지 못하다는 암행어사의 지적을 받았다. 뒤에 예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신경행 청난공신교서는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선무공신 및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호성공신과 함께 1604년(선조 37)에 발급되었다. 이 교서는 녹훈 사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청난공신 포상 규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교서의 양식과 문체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신경행과 관련된 문적으로 「신경행 청난공신교서」를 비롯하여 「유서」, 「시호서경(諡號署經)」 2점, 「증시교지(贈諡敎旨)」, 「조은신공시장(釣隱辛公諡狀)」, 「청난원종공신록권(淸難原從功臣錄券)」,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이십일공신회맹록(二十一功臣會盟錄)』 등이 있다.
유서는 1608년(선조 41) 6월 16일에 신경행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제1부의 밀부를 내린 유서이다. 유서 가운데 제1부를 내린 것은 매우 희귀한 것으로 가치가 있다.
「시호서경」(2점)·「증시교지」·「조은신공시장」 등은 신경행이 ‘충익’이란 시호를 받는 과정을 알 수 있는 문서들이다. 「시호서경」은 사헌부 시호서경과 사간원 시호서경이 있는데, 1811년(순조 11) 6월에 증예조판서 신경행의 시호를 충익으로 정하는 것에 대하여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동의한 문서이다. 「증시교지」는 1812년(순조 12) 1월에 신경행에게 충익의 시호를 내리는 교지이다. 「조은신공시장」은 신경행이 시호를 받기 위하여 그가 살았을 때의 한 일을 가선대부 김이영(金履永)이 지은 글이다.
「청난원종공신록권」은 이몽학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1605년(선조 38) 4월 16일에 공신도감에서 신경행의 아들인 주부(主簿)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녹권(錄券)이다. 이 녹권은 공신에 대한 대우와 포상규정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원종공신관계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그밖에 『이십공신회맹록』 및 『이십일공신회맹록』은 신경행과 관련 있는 자료들로, 당시 이십공신·이십일공신과 그 자손들의 동향 및 당시의 정치상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십공신회맹록』은 1680년(숙종 6) 남인이 대거 실각하여 정권에서 물러난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보사공신이 복훈되어 추록한 것을 계기로 숙종 20년 6월 20일 보사공신을 중심으로 역대의 공신 및 그 적장자들이 모여서 회맹제를 행하고 참여인을 수록한 명단이다. 이 회맹록에는 신경행의 4세손인 신득중이 기록되어 있다. 『이십일공신회맹록』은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분무공신의 녹훈을 계기로 1728년(영조 4) 7월 18일에 개국공신 이하 각 공신의 적장손들이 모여서 회맹제를 행하고 그 참여자를 수록한 명단이다. 이 회맹록에는 신경행의 6세손인 신광우(辛光禹)가 기록되어 있다.
The Royal Certificate of Cheongnan Meritorious Subject Issued to Sin Gyeong-haeng and Related Documents consist of 9 items of 8 kinds including the following: the royal certificate issued to those who performed meritorious deeds suppressing the riot instigated by Yi Mong-hak in Hongsan, Chungcheong-do Province; the order issued when the king appointed Sin Gyeong-haeng as army commander-in-chief of Chungcheong-do Province; and a royal edict to grant Sin Gyeong-haeng the posthumous title Chungik. In 1604, this Royal Certificate of Cheongnan Meritorious Subject was issued, together with the Royal Certificate of Seonmu Meritorious Subject for those who performed meritorious deed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Royal Certificate of Hoseong Meritorious Subject for those who escorted King Seonjo (r. 1567~1608) to Uiju. This certificate details his accomplishments, making it a very important historical record. Details of the award regulations of Cheongnan Meritorious Subject als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format and writing style of royal edicts of the time.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1380 호
보물 1380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사회생활 > 사회제도 > 문서 > 관(공)문서
조선시대
괴산군
2003-08-21
-
전적·서적·문서>문서류
-
지류
권자장(卷子裝)
-
37.0×291.2cm
8종9점
-
대표 소재지 공개
28313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명암동)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
대표 보관장소 공개
28313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국립청주박물관)/(명암동) (명암동)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해동문화유산, 2015, 『신경행 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보존처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