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국가지정 > 보물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淸州 飛中里 石造如來三尊像 및 石造如來立像
영문명 Stone Seated Buddha Triad in Bijung-ri, Cheongju
지정일/등록일 2017-06-23
관할시군 청주시
이칭/별칭 보물 1941, 청원 비중리 일광삼존불상, 淸原 飛中里 一光三尊佛像

문화재 설명정보

청주 비중리에서 전하는 삼국시대 석조삼존불좌상으로 1979년에 인근에서 파손된 채 석조여래입상, 석조광배 등과 더불어 발견되었다. 이 상들은 발견 당시부터 고구려 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중요한 자료로 주목되었다. 근래에 삼존상의 편들이 합체되어 동산 위에 봉안되었고 이어서 1987년에 보호각을 설치해 보존하고 있다. 당시 함께 발견되었던 석조여래입상과 석조광배는 보호각 앞에 따로 서 있다. 석조삼존불좌상의 규모는 높이 170㎝, 너비 206㎝이다.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은 석불로는 규모가 큰 상으로 좌협시보살상이 없는 상태이나 본존상과 우협시보살상, 그리고 광배, 대좌 등이 전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추정할 수 있다. 삼국시대 6세기에 유행하는 일광삼존불상(一光三尊佛像) 계통의 상으로, 커다란 주형(舟形)의 광배에 시무외(施無畏) 여원인(與願印)의 여래좌상을 본존상으로 하고 좌우에 보살입상이 협시하고 있다. 특히 대좌가 수미좌(須彌座)의 사자좌 형식이어서 더욱 고격(古格)을 반영하고 있으며 광배에는 화불이 있다.
본존불상은 머리 부분이 파손되었으나 좁고 긴 얼굴 윤곽을 보인다. 가슴 부분도 깨어져서 대의를 입은 방식은 알 수 없으나 결가부좌한 다리 위로 둥근 옷주름이 늘어지고 있다. 대좌는 윗 단이 사각인 수미좌의 사자좌여서 중국 5세기의 이른 형식이다. 이와 같은 대좌의 상은 5세기의 집안 장천리1호분 고분벽화의 예불도에서만 볼 수 있어서 비중리 삼존불상이 고구려 계통상임을 알려준다. 광배의 윗부분은 수평으로 다듬어져 있고 본존상을 감싸고 있는 두광과 신광은 아무런 문양 없는 둥근 동심원이어서 역시 고식 표현을 보인다. 또한 불상 좌우의 화불은 우측의 5구는 완전하나 좌측에는 1구만 남아 있다. 화불은 두 손을 앞에 모은 선정인 상으로 연화좌와 키모양 광배를 하고 있다.
우협시보살상의 얼굴 역시 마모되었지만 어깨에 붙은 둥근 장식이나 X자형 천의, 그리고 폭이 넓은 치마 등에서 6세기 보살상의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목걸이에 매달린 둥근 장식이나 왼손에 밑이 둥근 병을 지물로 들고 있는 표현은 그동안 주목되지 않았는데, 중국 북위 5〜6세기 보살상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비중리 삼존상의 조성시기가 매우 올라감을 알려준다.
이처럼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은 우리나라 불상 중에서 매우 희귀한 예인 5〜6세기의 고식 불상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상이다. 특히 고구려 불상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하는 상이라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고구려의 남하와 관련하여 이곳에서 조성된 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비중리 석불상들은 그 조성 국가와 관련하여 고구려 내지는 신라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 점은 삼국시대 5〜6세기에 이곳 충북지역에서 삼국이 국경을 접하였던 특수한 역사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식의 상을 조성한 국가는 고구려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남아있는 고구려 불상은 모두 소금동불상이므로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은 현존하는 고구려의 유일한 석조 불상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상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삼국시대의 대형 석조불상 중에서 조성시기가 가장 올라가는 불상이라는 것이다.
This Stone Seated Buddha Triad da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discovered in 1979 at a site in Bijung-ri, Cheongju together with a standing stone Buddha and halo. The relics were recently restored on a nearby hill. The triad consists of the principal Buddha in a seated position displaying the Abhaya and Varada mudras, flanked by two standing bodhisattvas, against a large single almond-shaped mandorla carved with miniature Buddha images, a style which enjoyed great popularity in the sixth century. The three statues stand on a lion-shaped pedestal. Opinions vary about the origin of the triad because the area around Chungbuk was under the influence of both Goguryeo and Sill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but it is generally regarded as an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清州市飛中里に伝わる三国時代の石造三尊仏坐像で、1979年に近隣で石造如来立像や石造光背などと一緒に破損した状態で発見された。これらの像は、発見当時から高句麗の様式が反映されたものと考えられ、重要な資料として注目された。近年になって三尊像の破片をつなぎ合わせて丘の上に奉安し、1987年に保護閣を設置して保存を図っている。当時一緒に発見された石造如来立像と石造光背は、保護閣の前に建てられている。石造三尊仏坐像の規模は、高さ170㎝、幅206㎝であ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1941 호
보물 1941, 청원 비중리 일광삼존불상, 淸原 飛中里 一光三尊佛像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삼국시대
청주시
2017-06-23
-
회화·조각>석불(동산)
-
석재
삼존불, 입상
-
석조여래삼존상 170×206 / 석조여래입상 높이144, 상높이150.5, 어깨48
2구
2,626.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 207-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 207-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녹건축사사무소, 2020, 『청주 비중리 석조애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제2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