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청주 상당산성
국가지정 > 사적 청주 상당산성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淸州 上黨山城
영문명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지정일/등록일 1970-10-01
관할시군 청주시
이칭/별칭 사적 212

문화재 설명정보

상당산성은 청주시 동쪽 상당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그 사이에 곡간부를 둘러쌓은 고로봉형(栲栳峰形) 석축산성으로 둘레가 약 4.2㎞이다. 성문은 진동문[鎭東門, 동문], 공남문[椌南門, 남문], 미호문[弭虎門, 서문] 등 3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성벽을 따라가면서 암문(暗門) 2곳, 치성(雉城) 3곳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성내에는 커다란 연못이 있다.
상당산성은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아직 근거로 찾을 수 없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신라 서원술성(西原述城)으로 비정된다. 『삼국사기』 「열전」에 김유신이 죽은 후에 구근(仇近)이 김유신의 셋째 아들인 원정(元貞)을 따라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에 근거하면 김유신은 673년 7월에 서거하였으므로 이 시기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조선 전기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상당성(古上黨城)이 율봉역의 북쪽산에 있고,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7,773척이며, 안에 12개의 우물이 있으며, 지금은 폐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인 1596~1597년(선조 29~30)에 충청병마절도사로 부임한 원균(元均)이 상당산성을 중요시하여 급히 개축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상당산성고금사적기(上黨山城古今事蹟記)』(1744)에는 이시발(李時發)을 찬획사(贊劃使)로 삼고 최립(崔岦)을 관성장(管城將)으로 삼아 성을 쌓았다고 기록되어있다.
1651년(효종 2)에 해미읍성에 있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忠淸道兵馬節度使營)이 청주로 옮겨오면서 상당산성은 청주읍성의 배후산성이 되었다. 그 후 충청병영 소속으로 병마우후(兵馬虞候)가 상당산성을 지켰다.
『숙종실록』에 의하면 상당산성의 개축공사는 1716년(숙종 42)에서 1720년(숙종 46) 사이에 대대적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영조·고종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개축되었으며, 1895년을 전후한 시기에 산성으로써의 기능이 상실되어 방치되어 있다가 해방 이후 정비·보수 하였다.
조선 후기 상당산성의 경영과 관련한 성내 건물의 규모와 배치는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충청도 병마절도영 성지(忠靑道 兵馬節度營 城池)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1764년(영조 40)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구례 운조루(雲鳥樓)에 소장된 《상당산성도》에 상세히 그려져 있다.
상당산성에 대한 학술조사는 1970연대부터 시작되었으며, 1982년에 지표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후 1995년부터 2013년까지 6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한편 2015년 상당산성 동문 복원을 위하여 남쪽 성벽을 해체할 때에 조선시대 쌓은 성벽 안에서 축조된 성벽이 확인되었다.
상당산성 안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이른 시기 것으로 7〜8세기경의 통일신라시대 기와편 등이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9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와편이 많이 출토되고 있는데, 이 시기는 나말여초의 호족과 관련한 시기로서 견훤과 궁예에 관한 전설이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기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상당산성은 중부내륙지역의 군사적 요충지에 축조되어 전체적인 규모와 현재까지 남아있는 현상이 다른 어느 산성보다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통일신라 이후 석축산성 문화의 기술적 총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당산성은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큰 유적으로 특별히 관리되어 오고 있으며, 2010년 1월 11일에 중부내륙산성군 가운데 하나로서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올랐다.
Sangdangsanseong is an imposing stone fortress built along the ridge of Sangdangsan Mountain in east Cheongju that once served as a military stronghol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untry. It has three main gates, Jingdongmun (East Gate), Gongnammun (South Gate) and Mihomun (West Gate), two small secret gates, and three bastions. There is also a large pond within its grounds. Researchers regard it as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diverse skills and techniques used to build stone fortresses after the Silla period (57 BC~ 935 AD).
清州市東部の上党山の稜線に位置しており、大きな谷間を取り囲むように築いた栲栳峰形の石築山城である。最近の研究結果に基づいて新羅の西原述城に比定されることもある。『粛宗実録』によると、上党山城の改築工事は1716年から1720年の間に大々的に行われたとされており、その後の英祖・高宗の時代にも改築が行われたという記録が残っている。1895年を前後する時期に山城としての機能を失い放置されていたが、独立以降に文化財として補修と整備が行われた。上党山城は、中部内陸地域の軍事的要衝に築造されており、その規模と残存状況において他のどの山城よりも優れている。また、新羅以降の石築山城文化の技術的総体を如実に示し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212 호
사적 212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조선시대
청주시
1970-10-01
-
궁터, 관아, 성터, 성터시설물, 병영, 전적지(戰蹟地) 등의 정치·국방에 관한 유적>성곽
-
석재
석축
포곡식
-
일곽
936,574.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담.명암.산성동 46-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담.명암.산성동 46-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북대박물관, 1982, 『상당산성 지표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00, 『상당산성 사적공원화사업 기본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학교중원문화연구소, 2002, 『한국의 근대산성 강화산성 상당산성 시굴조사보고서』, 학연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건설기술연구소, 2005, 『상당산성 정비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건설기술연구소, 2005, 『상당산성 정비계획 연구보고서(요약본)』.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성곽학회, 2008, 『상당산성』, 신아칼라.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청주 상당산성 -운주헌지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15, 『2015년도 상당산성 종합정비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6, 『청주 상당산성 북포루지 및 서벽 수구지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상당산성 -수문터 여장구간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21, 『상당산성 자연마당 조성부지 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