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보은 삼년산성
국가지정 > 사적 보은 삼년산성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報恩 三年山城
영문명 Samnyeonsanseong Fortress in Boeun
지정일/등록일 1973-05-25
관할시군 보은군
이칭/별칭 사적 235

문화재 설명정보

보은 삼년산성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1번지 일대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성이다.
해발 326.2m의 오정산(烏頂山) 정상부와 주변의 봉우리를 감싸고 서쪽의 골짜기까지 에워싸서 축조한 포곡식(包谷式) 석축산성이다. 성의 서쪽 방면에는 금강의 지류인 보청천이 남쪽으로 흐르고, 동북쪽 방면에는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이 지나간다. 또한 경상도 상주 일대에서 청주 및 한강유역으로 이어지는 남북교통로와 공주 및 부여 방면으로 향하는 동서교통로가 교차하고 있어, 이곳은 전통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져 왔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新羅本紀)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13년(470)조에는 “삼년(三年)이라는 것은 공사를 시작한 지 3년 만에 완공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라고 하여 구체적인 축성 시기와 성 이름의 유래가 전해진다. 486년(소지마립간 8)에 3천명을 동원하여 대대적으로 성을 개축(改築)하였고, 660년(태종무열왕 7)에는 왕이 이곳에 주둔하면서 당(唐) 황제의 조서를 받는 등 신라의 북진 및 삼국통일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곳이다. 또한 김헌창(金憲昌)의 난과 후삼국통일전쟁 당시 격전이 벌어졌던 무대이기도 하다. 고려·조선시대에는 이 일대의 중요한 산성이자 군창(軍倉)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었는데, 조선시대 지리지에는 오정산성 혹은 오정산고성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문헌기록상 축조시기와 운영과정이 분명히 드러나는 만큼, 삼년산성은 우리나라 성곽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이에 따라 삼년산성에 대한 학술조사는 일찍부터 여러 차례 이루어져 왔다. 1979년 기초조사부터 2011년 동문지 조사까지 각 문지(門址)·연못·수구(水口) 등을 대상으로 약 10여 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적의 보존과 복원을 위해 문지 및 주변 성벽·수구·연못·곡성(曲城) 등에 대한 종합정비도 이루어졌다.
삼년산성의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네모꼴에 가까운 부정형이다. 성 내부의 지형은 주위가 높고 중앙이 오목한 지세를 보인다. 성의 전체 둘레는 약 1.7㎞에 이른다. 성벽은 일정한 크기의 세장방형 성돌로 정연하게 축조되었는데, 내벽과 외벽을 함께 축조하는 내외협축(內外夾築)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성벽 바깥 하부에는 기초 보강을 위해 만든 기단보축성벽이 전체구간에 걸쳐 확인된다. 외벽의 높이는 약 13~14m, 하부의 기단보축성벽을 포함한 성벽의 총 높이는 약 20m에 달하며, 성벽의 기울기는 대체로 80~87°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삼년산성에서는 둥글게 성벽을 돌출시킨 반원형의 곡성이 총 10개소 이상 확인된다. 이들 곡성은 대부분 방어에 취약한 지점인 능선과 성문 주위에 배치되는 특징을 보인다. 곡성의 높이는 약 15m 내외, 상면 둘레는 약 20m 내외의 규모로 추정된다. 그 밖에 동문지 주변에서는 성벽을 통과하는 방식의 수구가 확인되며, 수구 및 남문지 주변의 성벽 상부에서는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숨길 수 있는 여장(女墻)이 너비 105~100㎝, 높이 70~80㎝ 규모로 남아있다.
성문은 성의 네 방향 모두에서 확인되며, 북문을 제외한 서문·동문·남문은 초축 당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 중 남문지와 동문지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다락문 형태의 현문식(懸門式) 구조이다. 삼년산성의 대문인 서문은 초석 상태로 볼 때 성문을 밖으로 열고 닫는 외개형(外開形) 구조로 여겨지는데, 다른 산성에서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것이다.
성 내부에서는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시기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 신라의 유물로는 확쇠와 철정이 주목된다. 확쇠는 성문의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남문지에서 암수 확쇠가 결합된 채로 수습되었다. 또한 성문에 부착되는 철판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철정도 발견되어, 당시 성문의 두께를 가늠해볼 수 있게 되었다. 성 내부에 있는 저수시설인 아미지(蛾眉池) 및 그 주변 저수지 등에서는 신라 이후의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된 바 있어, 삼년산성이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도 군사적으로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Located near Eoam-ri in Boeun, Chungcheongbuk-do, Samnyeonsanseong Fortress consists largely of stone walls (approx. 1.7 kilometers in length) that enclose a valley between two mountain peaks. The fortress walls were built with long, roughly hewn rectangular stones and include a variety of defense facilities such as a sluice, battlements, and a gate guard. The fortress also keeps historic records on the background to its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king it an important source of knowledge regarding ancient Korean fortifications and the advancement of Silla to the area around the Han River.
報恩三年山城は、忠清北道報恩郡報恩邑漁岩里山1-1番地一帯に位置する包谷式の石築山城である。総延長は約1.7kmで、城壁は細長方形の石で整然と築かれており、水口・女牆・曲城などのさまざまな城郭施設が良好に残っている。特に、文献に築造や運営過程に関する記録が残っており、新羅の漢江流域進出と関連のある最も代表的な山城であると同時に、韓国の城郭研究において重要な遺跡として挙げられ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235 호
사적 235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삼국시대
보은군
1973-05-25
-
궁터, 관아, 성터, 성터시설물, 병영, 전적지(戰蹟地) 등의 정치·국방에 관한 유적>성곽
-
석재
석축
포곡식
-
일곽
232,654.8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산1-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한국문화재연구원, 1979, 『보은 삼년산성 기초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보은군, 1981, 『1980년도 삼년산성 서문지 조사개보』.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학교박물관, 1983, 『삼년산성 추정연못터 및 수구지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박물관, 1987, 『삼년산성 성벽구조 및 서북치 조사개보』.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2001, 『기본 자료 및 종합 보존·정비계획 안』.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01, 『삼년산성 보존관리 종합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5, 『보은 삼년산성 2003년도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WIPCO, 2006, 『삼년산성 정밀실측』.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06, 『보은 삼년산성 2004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06, 『보은 삼년산성 발굴정비 기초설계 보고서, 학연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07, 『보은 삼년산성 2005년도 아미지 정비구역 내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08, 『보은 삼년산성 2006년도 내측 성벽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성곽학회, 2008, 『삼년산성』, 신아칼라.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보은 삼년산성 남문지 내측 서남곡성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2, 『보은 삼년산성 고분군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보은 삼년산성 -동문지 2차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