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국가지정 > 사적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 한자명鎭川 金庾信 誕生址와 胎室
  • 영문명Birthplace and Placenta Chamber of Kim Yu-sin, Jincheon
  • 지정일/등록일1999-06-11
  • 관할시군진천군
  • 이칭/별칭사적 414

문화재 설명정보

진천읍 상계리에 있는 김유신의 탄생지와 태실이다. 김유신(金庾信, 595〜673)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후에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봉되었다.
김유신 탄생지가 위치한 진천읍 상계리 계양(桂陽)마을은 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金舒玄)이 만노군(萬弩郡) 태수로 있을 때 치소(治所)가 있었던 곳으로 전한다. 큰 담을 쳤다하여 담안밭[장군터·장수터]이라 불리고 있다. 또한 인근에 태실과 만노산성 등 신라시대의 유적이 있어 탄생지로 비정되는 곳이다.
태실은 태령산 정상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자연석으로 둥글게 기단을 쌓고 그 위에 흙을 덮은 봉분형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형식이다. 태실 바깥쪽 경사면을 에워싸며 석축을 쌓아 성지임을 표시한 태령산성이 있다. 태령산성은 삼국시대나 고대의 변방 산성지처럼 자연할석을 이용해 낮고 간략하게 축조하였다. 산성 길이 약 190m, 높이 1.2〜1.8m이며, 산성이라기보다는 태실을 둘러싼 돌담의 성격이 짙다. 경사가 급한 동쪽 외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부근에는 치소에서 사용하던 연보정(蓮寶井)이라는 우물이 있는데, 자연석으로 석축을 돌려 쌓았으며, 너비는 1.8m이다. 앞에는 석축을 정교하게 쌓은 약 4m의 수로가 있다. 서쪽 완만한 평탄대지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3〜5줄로 쌓은 석축이 남아 있는데,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김유신 태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실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탄생지 뒤편에 있는 태령산성은 태실을 둘러싼 돌담의 성격을 보여준다. 고대 신라의 산성 축조술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중요한 문화재이다.
The placenta of General Kim Yu-sin is kept in an earthen mound on the summit of Taeryeongsan Mountain. A round row of stone embankment was set up at the site to mark its sacred status. General Kim was born in Gyeyang Village, Sanggye-ri, Jincheon-eup, where the local administrator’s office was located, while his father Kim Seo-hyeon was the administrator of Manno-gun. This placenta chamber, which is said to be the oldest surviving one in the country, and Taeryeongsanseong Fortress around it are precious materials for research of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Silla period.
鎮川金庾信(キム・ユシン)誕生地と胎室は、新羅による三国統一において重要な役割を果たした金庾信(キム・ユシン)ゆかりの遺跡である。胎室は、胎霊山の頂上に位置しており、自然石で円形の基壇を築いてその上に土を盛った墳丘型である。胎室の外側には、斜面を取り囲むように石積を築いて聖地であることを示した胎霊山城がある。金庾信(キム・ユシン)の誕生地は鎮川邑上桂里の桂陽村で、ここは金庾信(キム・ユシン)の父・金舒玄(キム・ソヒョン)が萬弩郡太守に就いていたときに治所があった場所とされている。この胎室は、国内最古のもので、胎室を取り囲む山城とともに古代新羅の築造技術を研究する上で貴重な資料となっ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414 호
사적 414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탄생지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주생활 > 건축물 > 일반건축
사회생활 > 의례생활 > 출산 > 기타
삼국시대
진천군
1999-06-11
-
인물유적, 사건유적 등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기념과 관련된 유적>인물유적
-
석재/목조
-
-
-
일원
221,286.0
대표 소재지 공개
27825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김유신길 170-4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19-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18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현석건축사사무소, 1995, 『김유신장군 유허지 정화사업 기본계획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교육대학교박물관, 1999, 『진천 김유신 장군 사적 학술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태창건축사사무소, 2001, 『김유신 탄생지 및 태실 정화사업 기본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청, 2003,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보고서(사적 사적 및 명승)』.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청, 2009, 『사적 정기조사Ⅵ』.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진천향토사연구회, 2013, 『김유신 진천에서 낳으시다』.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Ⅱ』.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15,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종합정비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6,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