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보은 법주사
국가지정 > 사적 보은 법주사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報恩 法住寺
영문명 Beopjusa Temple, Boeun
지정일/등록일 2009-12-21
관할시군 보은군
이칭/별칭 사적 503

문화재 설명정보

보은 법주사는 553년(진흥왕 14)에 의신(義信)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관동풍악산발연수(關東楓岳鉢淵藪)」에 기록된 연기를 통해 볼 때 776년(혜공왕 12)에 진표(眞表)와 그의 제자인 영심(永深)이 창건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찰의 이름이 법주사인 이유는 의신이 인도에서 수집한 경전을 흰 나귀에 싣고 귀국하여 사찰을 창건할 곳을 찾았는데, 이곳에서 나귀가 더 이상 가지 않고 제자리를 맴돌아 이곳에 절을 지으며 부처의 법이 머무는 곳(법주, 法住)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이라 한다. 이후 720년(성덕왕 19)에 사찰을 중수하였다고 전해지나 현재 법주사에는 6세기 중반에서 8세기 전반까지의 것으로 보여지는 불교미술품은 없다. 따라서 사찰에 전해지는 이 창건연기는 그대로 믿기 어려우며, 법주사가 지금과 같은 대가람으로서의 위용을 갖추게 된 것은 진표의 제자인 영심이 주석하면서 부터라 추정된다.
금산사를 창건한 진표는 제자인 영심에게 속리산에 들어가 길상초가 피어 난 곳을 선택하여 사찰을 짓고 교화활동을 펼치라고 하였다. 영심은 스승의 분부에 맞는 입지를 찾아 절을 세우고 길상사(吉祥寺)라고 하였다고 한다. 진표가 창건한 금산사(金山寺)와 금강산 발연사(鉢淵寺), 그리고 진표의 제자인 영심이 주석했던 법주사와 영심에게서 진표의 의복과 법구를 전수받은 심지(心地)가 중창한 동화사(桐華寺)는 미륵을 주존으로 신앙했던 진표계 법상종의 근본도량으로 알려져 있다. 경내에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부재나 석등 등의 석조물들을 통해 진표와 그의 제자인 영심 등에 의해서 조성된 법주사의 규모나 위상을 가늠케 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도 법주사에는 대규모의 법회나 불사가 자주 이루어졌다. 1101년(숙종 6)에는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을 위하여 인왕경회(仁王經會)를 베풀었는데 3만 명의 승려들이 모여들었다고 한다. 1281년(충렬왕 7)에는 충렬왕이 행차하여 산호전(珊瑚殿)에 배향을 하였다. 1363년에는 공민왕이 통도사(通度寺)에 사신을 보내 부처님의 사리 1과를 법주사로 옮겨 봉안하게 하였다고 한다. 또 조선시대에도 태조가 상환암에서 기도를 한 바 있으며, 세조는 법주사의 말사인 복천암(福泉庵)으로 피접을 와 3일 동안 법회를 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오래도록 불사가 이루어지며 60여동의 건물과 70여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찰로 성장한 법주사는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발발하면서 충청도지역 승병의 본거지라는 이유로 왜군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1605년(선조 38)부터 1626년(인조 4)에 걸쳐 팔상전이 중건되었고, 1624년(인조 2)과 1851년(철종 2)에는 벽암(碧巖)과 권돈인(權敦仁) 등에 의해서 중건과 중수를 거듭하였지만 대웅보전과 용화보전을 중심으로 하여 수많은 불전이 늘어서 있던 법주사의 위용을 되찾을 수는 없었다.
1872년(고종 9)에는 대원군이 경복궁을 복원하고자 당백전 주조를 위해 전국 사찰의 불상들을 압수하라는 칙령을 내렸는데, 이 때 법주사의 중심불전인 용화보전(龍華寶殿, 산호전珊瑚殿 또는 산호보광명珊瑚普光明殿)에 봉안되어 있던 거대한 미륵삼존불상이 압수당하며 용화보전은 헐리게 되었다. 현재 금동미륵대불이 서 있는 곳이 용화보전 자리이며 미륵삼존불상의 좌대가 남아있다.
1964년에는 근대조각가인 김복진이 구상한 미륵불입상이 용화보전 자리에 세워졌으며, 1986년에는 이를 헐어버리고 160톤의 청동으로 높이 33m에 달하는 거대한 청동미륵대불을 봉안하였다. 2000년에는 불상의 부식이 진행되고 얼룩진 외관 때문에 품위유지가 어려워지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금박을 입히는 등 보존을 위한 개금불사 공사를 시작하여 2002년 금동대불로 변모하였다.
현재는 금동미륵대불을 비롯하여 대웅보전(大雄寶殿), 팔상전(捌相殿), 약사전(藥師殿), 원통보전(圓通寶殿), 명부전(冥府殿) 등의 불전에서 법등을 밝히면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로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2018년 6월에는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되어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았다.
While there is a record that Beopjusa Temple in Boeun was established in 553 by the monk named Uisin, a far more reliable historical source titled “Kwandongpungaksanbalyeonsu (Baryeonsa Temple of Pungaksan Mountain in Gwandong)”, contained in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1281), shows that the temple was established in 776 by Jinpyo and his pupil Yeongsim. The temple continued to prosper and hold large-scale religious events under the patronage of the rulers of subsequent dynasties, including King Taejo and King Sejo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burned down by Japanese troops in 1597 (the 3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of Joseon) during the second invasion of Korea (then Joseon) when they found out that the temple had been the headquarters of a volunteer army of warrior monks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earlier years of the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f 1592). After the war, the temple strove to recover the glory of earlier times with the construction of new prayer halls and objects of worship, including the Gilt-bronze Maitreya Buddha, Daeungbojeon Hall, Palsangjeon Wooden Pagoda, Yaksajeon, Wontongbojeon Hall and Myeongbujeon Hall. Today, the temple serves as the headquarters of the Fifth Dioces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503 호
사적 503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종교신앙 > 불교
삼국시대
보은군
2009-12-21
-
서원, 향교, 학교, 병원, 절터, 교회, 성당 등의 교육·의료·종교에 관한 유적>사찰
-
-
-
-
-
일원
125,625.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해동문화재, 2015, 『보은 법주사 흰개미 군체군 제거사업』.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해동문화재, 2015, 『보은 법주사 흰개미 군체군 제거사업 모니터링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의전통산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2016, 『법주사 사찰기록 자료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2016, 『법주사·마곡사 편』.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백제고도문화재단, 2016, 『한국의 전통산사 보존관리계획 -보은 법주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현석건축사사무소, 2018, 『보은 법주사 정비 기본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