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증평 추성산성
국가지정 > 사적 증평 추성산성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曾坪 杻城山城
영문명 Chuseongsanseong Fortress, Jeungpyeong
지정일/등록일 2014-01-23
관할시군 증평군
이칭/별칭 사적 527, 충청북도 기념물 제138호 증평 이성산성, 증평 이성산성, 曾坪 二城山城

문화재 설명정보

증평 추성산성은 증평읍 미암리와 도안면 노암리 일원에 위치한 토축산성으로 북성과 남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성은 사모봉형(紗帽峰形)의 형태로 남쪽 계곡을 감싸고 축조되어 내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는데 규모는 내성 741m, 외성 1,052m이며, 내·외성의 공유벽 191m를 뺀 전체 둘레는 약1,411m이다. 북성은 이성산 정상부의 마안봉형(馬鞍峰形) 지세를 둘러쌓은 형태이며, 내성(內城)·외성(外城)·자성(子城)의 복잡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규모는 내성 219m, 외성 310m이며, 내외성의 공유벽 100m를 뺀 전체 둘레는 약 429m이다.
추성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6차례에 걸쳐 실시되어 남성 외성 남문지, 남성 내성 북동문지, 남성 외성 평탄지, 북성 내성 남문지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16년 현재 7차 발굴이 진행되었다. 추성산성 성벽 축조공법은 초기 단계의 판축기법(版築技法)과 성토다짐이 함께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남성 남문터가 이례적으로 계곡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 확인되어 한성백제시기의 성문과 수문의 발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남성 내에서는 토성 축조 이전의 원삼국시대(기원전 1세기〜3세기)의 주거지와 토성 축조 이후 4〜5세기경의 한성백제기 주거지가 발견되었으며, 통일신라〜고려시대에 개축되면서 조성된 망대(望臺)터 등도 발견됐다. 성내에서는 이 지역 고유양식 유물과 4〜5세기 가야 양식, 영산강 유역 양식의 토기류 등이 함께 출토되어 당시의 국제정세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되었다.
추성산성은 4세기경에 한성백제가 미호천 유역으로 진출하면서 구축한 최대 규모의 토축 산성으로서 2개의 산성과 각 산성의 중첩구조는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산성을 통해 한성백제의 영역 확대와 지방 통치 등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earthen-walled fortification is composed of two fortresses, one in the north, which surrounds the saddle-shaped terrain of the summit of Iseongsan Mountain, and the other in the south, which encircles the southern valley. The site of the south gate was confirmed in the center of the valley, a peculiar location for a castle gate, enabling researchers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castle gates and water holes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The techniques of soil heaping and soil embankment compacting were used to build the fortress. This fortress was built at the time of Hanseong Baekje’s advance to the estuary of Mihocheon River sometime in the fourth century, and is the largest of the soil-heaped fortresses built at that time. It is a valuable monument that sheds light on Hanseong Baekje’s territorial expansion and governance of its provinces.
北城と南城の2つの城からなる土築山城である。北城は尼城山頂上部の馬鞍峰形の地形を取り囲むように築かれており、南城は紗帽峰形の形状で、南側の渓谷を取り囲んでいる。南城の南門跡が異例的に渓谷の中央部に形成され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ており、漢城百済時代の城門や水門の発展の様子がうかがえる。築造工法においては、初期段階の版築技法と盛土の締固めが併用されている。杻城山城は、4世紀頃に漢城百済が美湖江流域に進出して築造した最大規模の土築山城であり、漢城百済の勢力拡大や地方統治を知る資料として価値が高い。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527 호
사적 527, 충청북도 기념물 제138호 증평 이성산성, 증평 이성산성, 曾坪 二城山城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삼국시대
증평군
2014-01-23
-
궁터, 관아, 성터, 성터시설물, 병영, 전적지(戰蹟地) 등의 정치·국방에 관한 유적>성곽
-
토축
테뫼식, 포곡식
-
일곽
98,501.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 산74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 산74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청전문대학박물관, 1997, 『증평 이성산성』.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증평 이성산성 Ⅰ 남성 남수문지』.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증평 이성산성 종합정비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증평 이성산성 정비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학술 세미나』.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2, 『증평 이성산성2-남성 북동문지-』.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증평 이성산성3-남성1,2,3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증평 이성산성 보존 정비 및 활용 기본계획』, 가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4, 『증평 추성산성 4차(북성 1차)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4, 『증평 추성산성 5차(북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5, 『증평 추성산성 6차(남성 4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6, 『증평 추성산성 5차(북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증평 추성산성 종합정비사업 학술연구』, 돋움.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중원문화재연구원, 2017, 『증평 추성산성 6차(남성 4차)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7, 『증평 추성산성 7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9, 『증평 추성산성 7차발굴조사 보고서』, 일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미래문화재연구원, 2021, 『증평 추성산성 8차 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