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국가지정 > 천연기념물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 한자명槐山 沙潭里 망개나무 自生地
  • 영문명Natural Habitat of Korean Berchemias in Sadam-ri, Goesan
  • 지정일/등록일1980-09-29
  • 관할시군괴산군
  • 이칭/별칭천기 266

문화재 설명정보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Nakai)는 갈매나무목(Rhamnales) 갈매나무과(Rhamnaceae) 망개나무속(Berchemia)에 속하는 낙엽활엽수로 높이가 약 10~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교목이다. 망개나무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속리산, 월악산, 군자산, 내연산, 주왕산, 주흘산에 자생하고 있으며(생물자원관, 2015), 옛날에는 난방을 위한 땔감용으로 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밀원식물로, 그리고 의약품 개발을 위한 생명공학적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사담리 망개나무 군락은 속리산국립공원 내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일원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다. 망개나무 자생지는 그 희귀성과 중요성으로 인하여 1980년 천연기념물로, 그리고 그 중 일부가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2005년 지정되었고, 또한 일부 면적에 걸쳐 국립공원특별보호구로도 설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사담리 망개나무자생지는 해발 602m의 남산 사면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토양의 많은 부분이 작은 바위와 전석지로 되어 토심이 얕고 토양 발달이 나쁜 편이다. 망개나무는 종자로부터 줄기가 하나로 발달하는 개체도 있지만 그루터기에서 갈라져 나온 맹아(萌芽)로 인하여 여러 줄기의 개체로 자라기도 한다. 사담리 망개나무는 수고가 5m 정도에서부터 12m 정도이고, 가슴둘레 높이에서의 직경이 12~15㎝에서부터 28㎝ 정도의 개체가 섞여 있지만 대개는 수고가 그리 크지 않고, 직경도 많이 굵지 않은 편이다.
한편,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책은 사람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청천면 대방래길 입구에서 길을 따라 약 350m에 걸쳐 설치해 놓은 철조망으로 된 울타리이다. 그러나 철조망 울타리의 중간 중간에서 철조망이 넘어져 있어 누구나 쉽게 울타리를 넘어 보호구역 안으로 침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울타리도 약 300m 정도 길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끝이 열려있어 훼손의 위험성도 높은 편이다.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는 다양한 크기의 개체들로 구성된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어, 종보전을 고려할 때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Berchemia Tree is a deciduous, broad-leaved tree that belongs to Berchemia (Genus), Rhamnaceae (Family), Rhamnales (Order). It grows up to 10 to 15 meters tall. The Natural Habitat of Korean Berchemias in Sadam-ri is situat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where many smaller species mingle with each other.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eserve them.
ヨコグラノキは、韓国、中国、日本に分布しており、韓国では俗離山・月岳山・君子山・内延山・周王山・主屹山に自生している。沙潭里ヨコグラノキ群生地は、俗離山国立公園内の忠清北道槐山郡青川面沙潭里一帯に分布している。個体が混ざっているが、ほとんどの個体は樹高があまり高くなく、直径もあまり大きくない。さまざまな個体が混ざっており、今後保存すべき価値があ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266 호
천기 266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분포학
-
괴산군
1980-09-29
-
식물>문화·민속·관상·과학 등과 관련된 진귀한 식물로서 그 보존이 필요한 것 및 그 생육지·자생지
-
-
갈매나무목
-
-
군락
815,427.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산8-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산8-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