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택견
국가지정 > 국가무형유산 택견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韩式脚功
영문명 Taekkyeon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
지정일/등록일 1983-06-01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국무 76

문화재 설명정보

택견은 고구려시대부터 전승되고 있는 한국 무술로서 택견·탁견(托肩)·수박(手搏)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른 무술과 달리 유연함을 근간으로 하는 우리나라 전통고유무술이다. 2011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현재는 정경화(鄭景和)가 충주시 택견전국총전수관에서 기능보유자로 활동하고 있다.
택견은 내면의 기(氣)를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나타내 자기를 방어하고 상대방을 제압하는 전통무술로, 연원은 삼국시대이거나 그 이전으로 추정되며 고구려 고분 벽화에 택견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택견의 수련 단계는 ‘혼자익히기’, ‘마주메기기’, ‘견주기’로 구분된다. 혼자익히기는 기본자세와 품을 익힌 후 서서익히기와 나가며 익히기를 혼자 수련한다. 서서익히기는 품밟기, 활개짓, 발질과 손질을 익히며, ‘나가며 익히기’는 활개짓, 손질, 발질 등을 수련한다. 혼자익히기 수련 후에 마주메기기, 견주기(대걸이, 겨눔수)로 수련 단계를 높인다. 마주메기기는 상대와 반 약속 하에 혼자익히기에서 배운 기술들을 주고받는 연습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인 견주기는 상대와 실력 겨루기에 목적을 두기보다 상대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데 목적을 둔다. 견주기는 발차기 없이 걸어 넘어뜨리는 기술로 승부를 결정짓는 대걸이와 대걸이 형태에 발차기까지 구사하여 승부를 내는 맞서기로 구분된다.
택견의 구성요소는 품밟기, 활갯짓, 발질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무술이 공격기술과 방어술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택견은 품밟기라는 독특한 3박자의 보법(步法)을 제일순위의 구성요소로 친다. 활갯짓은 독특한 곡선적인 몸놀림으로 택견의 예술성을 나타낸다. 공격기술인 발질은 말 그대로 발로 하는 모든 기술을 뜻한다.
택견의 동작은 인체의 근육 움직임을 그대로 본떠 그 움직임을 곡선으로 나타내 움직임이 끊이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유려한 움직임은 마치 무용처럼 리듬을 지니고 있어 높은 예술성을 지닌다. 또한 모든 동작은 수비에 치중하고 그러기 위해 손보다는 발을 많이 움직이는 특징을 지닌다.
택견은 동작이 유연하고 자연스러워서 남녀노소 누구나 신체단련을 위한 보건체조나 스포츠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Taekkyeon, also known as takkyeon or subak, is a Korean martial art that originated in the Goguryeo period (circa 37 BC~668 AD). Unlike other martial arts, takkyeon is characterized by flexible body movements. Jeong Gyeong-hwa engages in activities at the Taekkyeon National Training Center in Chungju as a leading holder of the skill.
Each takkyeon movement is based on a basic human body movement, and displays soft curves continued without stopping. It can be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as a form of health gymnastics and exercise, and is ideal for training the body.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76 호
1983-06-01
개인
국무 76
무형유산 > 전통놀이/무예 > 무예
문화예술
-
충주시

참고 문헌

문화재관리국, 1971-1973,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4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문화재관리국, 1982-1984,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7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택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2, 『택견발전5개년 및 중장기 계획』.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