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금속활자장
국가지정 > 국가무형유산 금속활자장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金屬活字匠
영문명 Geumsok Hwaljajang, Master of Metal Movable Type Making
지정일/등록일 1996-02-02
관할시군 청주시
이칭/별칭 국무 101

문화재 설명정보

금속활자장은 금속으로 활자를 만들어서 각종 서적을 인쇄하는 장인이다. 금속활자는 글씨를 바탕으로 과학과 기술을 총망라하여 만들어낸 종합 예술품으로서 우리나라 민족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전통공예기술이다. 인쇄술은 활자를 만드는 방법뿐만 아니라 찍을 때 사용하는 먹과 종이가 발달해야하기 때문에 인쇄술의 발달은 한지와 먹의 우수성을 볼 수 있다.
금속활자 인쇄기술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고려시대에 창안되었다. 1232년(고종 19)에 개경의 서적점(書籍店)에서 찍은 금속활자 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가 전하며, 국가전례서인 『상정예문(詳定禮文)』을 금속활자로 찍은 것으로 보아 이 시기 이전부터 금속활자 인쇄가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주 흥덕사에서 1377년에 금속활자로 간행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의 하권1책이 남아 있어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으로 보존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관서를 중심으로 주조방법과 조판법을 단계적으로 발전시켰다. 1403년에 주조한 「계미자」를 시작으로 1420년 「경자자」, 1434년 「갑인자」 제작에서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 인쇄술이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주자소는 금속활자 제작을, 교서관은 금속활자 인쇄출판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장인 중에 금속활자장이 별도로 있었는지에 관하여는 특별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지 않다.
현재의 금속활자장인 임인호는 2008년에 타계한 기존의 금속활자장 오국진의 제자이다. 1997년 10월에 오국진의 문하로 들어가 금속활자 주조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여 2004년 전수교육조교가 되었고, 오국진이 타계한 1년 후 금속활자장이 되었다.
2007년부터 조선시대 주요 활자 복원에 나서 조선시대 첫 금속활자인 계미자 등을 복원했고 경자자, 병진자, 한구자, 율곡전서자 등 조선시대 금속활자 30종과 동국정운자, 인경목활자 등 목활자 8종을 복원하였다. 또한 직지심체요절 상·하권 3만 자 가운데 3만여 자를 복원하였다.
금속활자의 제작과정은 크게 글자본 만들기, 원형만들기, 주조작업, 마무리작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조기법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현재 청주시 금속활자주조 전수관을 운영하며 매주 금속활자 주조 시연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우리나라 금속활자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Geumsok Hwalja is a traditional Korean form of craftsmanship that represents the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It is a composite craft combining arts,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 Yim specializes in making metal movable types and the printing of books.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01 호
1996-02-02
개인
국무 101
무형유산 > 전통기술 > 공예
문화예술 > 공예
-
청주시

참고 문헌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