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제천 박용원 고택
국가지정 > 국가민속문화유산 제천 박용원 고택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堤川 朴用元 古宅
영문명 Bak Yong-won’s Historic House, Jecheon
지정일/등록일 1984-01-10
관할시군 제천시
이칭/별칭 국민 137, 제원 박도수 가옥, 提原 朴道秀 家屋

문화재 설명정보

제천 박용원 고택은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구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이다. 안채 종도리 받침장여에 ‘동치삼년 갑자오월초삼일 인시입주 이일미시상량(同治三年 甲子五月初三日 寅時立柱 二日未時上樑)’이라고 기록된 상량문으로 미루어 안채는 1864년(고종 원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랑채와 아래채는 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제천 박용원 고택은 기와지붕인 안채와 초가지붕인 사랑채, 아래채, 광채 등의 부속채로 구성되어 있다. 남쪽에 一자형 사랑채를 두고 그 뒤에 서쪽으로 굽어 있는 ㄱ자형 안채가 있으며, 동쪽에 남·북으로 긴 一자형 아래채가 안마당을 둘러싸고 있는 튼ㅁ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안방을 중심으로 남쪽에 부엌을 두고, 동쪽으로 2칸의 대청과 고방이 있고 동쪽 끝에 건넌방이 있다. 고방과 건넌방 앞에는 툇간을 마루로 구성하였다. 건넌방 앞 툇마루는 높은 누마루로 만들고 앞에는 간결하면서도 투박한 난간을 설치하였다. 특이한 것은 대청과 건넌방 사이에 고방을 두었는데, 전면의 살창, 대청 쪽의 판장문 등이 모두 광에 쓰이는 시설이라는 점이다. 또한 대청 배면 상부에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는 감실을 두어 사당이 없는 대신 대청마루를 제청(祭廳)으로 사용하고 있다. 건넌방은 동쪽에 별도의 출입문을 달아 독립적인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구 형식은 대청마루 칸에서는 대량을 전후 처마 기둥 칸에 장통보로 걸고 대공을 첨차 형태로 받친 3량가로 짜여 있으며, 방 부분에서는 툇간 내진주를 평주로 세우고 대량과 전면 퇴량을 맞보 형식으로 연결한 3평주3량으로 되어 있다.
제천 박용원 고택의 가장 큰 특징은 안대청에 포대공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대공을 첨차와 소로 등의 부재를 사용해 공포형식으로 만든 포대공은 일반 민가나 반가에서는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것이다. 이런 형식은 서까래의 낮은 물매를 처리할 수 있고, 도리 이음부의 결구를 견고히 할 수 있는 구조적 강점이 있다. 가까운 청풍문화재단지 내에 있는 제천 후산리 고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5호)에서도 이러한 형식이 나타나고 있어 두 건물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문간이 붙어 있는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의 초가집이다. 평면은 서쪽부터 광, 대문, 사랑방, 외양간으로 구성하였다. 건물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방형 기둥을 세웠다. 가구 형식은 3량가이다. 광과 외양간의 벽체는 판벽으로 되어 있으며 방 벽은 재사벽(再沙壁)으로 되어 있다. 아래채는 2칸 방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부엌과 2칸 광을 두었다.
제천 박용원 고택은 배치 형식, 평면 형식, 가구 형식 등에서 부농주거(富農住居)의 전통적 건축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특히 안채 대청 상부 대들보 위에 종도리를 받치는 포대공은 우리나라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것이다. 또한 안채 대청 우측에 고방을 둔 것과 대청 배면 상부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감실을 둔 것이 이 가옥의 특징이며, 이러한 공간구성 방식은 잘 보존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raditional Korean house dates back to the late Joseon period. Its main parts were built in 1864, but it appears that the sarangchae (men’s quarters) and the quarters in the lower section were built at a later date. It exhibits the characteristic overall layout, plan type, and structural pattern of the houses of rich farming families in that period. Notably, the short transverse column supporting the ridge on the main cross beam of the daecheong (central large wooden-floored hall) in the anchae (women’s quarters) is of a unique type rarely seen elsewhere in the country. Also, the kitchen situated to the right of the daecheong, and the niche for keeping the mortuary tablets of ancestors i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daecheong are special features that deserve to be preserved for posterity.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37 호
국민 137, 제원 박도수 가옥, 提原 朴道秀 家屋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주생활 > 건축물 > 일반건축
조선시대
제천시
1984-01-10
-
의·식·주에 관한 것>주거
-
목재
팔작지붕, 초가지붕
가구식구조, 목구조, 공간구조(안채, 사랑채, 아래채, 광채)
안채(ㄱ자형), 사랑채(5X1), 아래채(ㅡ자형)
일곽
2,249.0
대표 소재지 공개
27207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국사봉로23길 25-12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구룡리 305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207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국사봉로23길 25-12(구룡리)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구룡리 305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길건축사사무소, 2012,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건축문화정책연구원, 2022, 『국가민속문화재(건조물) 정기조사 연구보고서 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