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자풍서당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영동 자풍서당
  • 한자명永同 資風書堂
  • 영문명Japungseodang Confucian Village School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1980-11-13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유형 73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 자풍서당은 충북 영동군 양강면 두평리에 위치하며 18세기경의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 서당이다.
이 건물은 풍곡당(豊谷堂)으로 부르다가 1614년(광해군 6)에 한강 정구(寒岡 鄭逑, 1543~1620) 선생이 이곳에 머무르며 학문을 장려하는 뜻으로 ‘자법정풍(資法正風)’을 줄여 자풍당(資風堂)이라고 바꾸었다고 한다.
영동 자풍서당은 조선 초기 정종∼태종 연간(1398∼1418)에 건립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인 동천 이충범(東川 李忠範, 1520~1598)이 중수하고 강학하였다고 하며, 1626년(인조 4) 이후 1720년(숙종 46)까지 여러 차례의 보수공사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금강 변의 산 중턱에 자리하여 사주문에 면해서 막돌담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마당에는 담장 보수 시 발견된 두평리 석탑이 있다. 이 탑은 매몰되어 있던 것을 1989년에 발견한 것으로, 원래 이 자리는 고려시대에 풍곡사(豊谷寺)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라 전하며 조선 초기 폐사된 후 자풍서당이 들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영동 자풍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평면구성은 가운데 3칸의 대청마루를 두고 왼쪽과 오른쪽에 1칸씩의 방을 두고 있다. 왼쪽과 오른쪽의 방 앞에는 한 자 정도 높은 마루를 두고 하부에는 함실아궁이를 설치하고 있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과 탑 부재로 보이는 가공한 네모형의 초석을 혼용하였고 그 위에 정면 정칸은 두리기둥이며,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우고 있다. 가구형식은 5량가이고,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영동 자풍서당은 이 지역의 18개 문중에서 매년 음력 10월 19일을 계일(契日)로 정하여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이곳에서의 책 읽는 소리는 양산8경의 하나라고 한다. 영동 자풍서당은 이 지역의 특성과 18세기경의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 학술적인 가치가 있는 서당이다.
Japungseodang in Yeongdong was a Confucian village school, located in Dupyeong-ri of Yanggang-myeon, Yeongdong-gun, Chungbuk. The school, which retains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eighteenth century, was known as Punggokdang until 1614 (the 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of Joseon) when it was given its current name of Japung by Jeong Gu (a.k.a. Hangang, 1543~1620), who wanted it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learning. The school is a five-kan by two-kan wooden structure and contains an old stone pagoda called Dupyeongni Seoktap, which was discovered during recent repairs of the walls. This place had been regarded as one of the Eight Great Views of Yangsan, because of the view of seodang with the sound of reading books.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永同資風書堂は、忠清北道永同郡陽江面斗坪里にある書堂で、18世紀頃の建築様式をよく残している。永同資風書堂は、“豊谷堂”と呼ばれていたが、1614年(光海君6)に寒岡・鄭逑(チョン・グ、1543〜1620)先生がここに滞在していたときに、学問を奨励したいという思いから、「資法正風」からとった“資風堂”に名前を改めたと言われている。永同資風書堂は、正面5間、側面2間の「一」の字型の木造瓦屋で、庭には塀の補修の際に発見された斗坪里石塔が建っている。ここで本を読む音は、陽山八景の一つとされ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73 호
유형 73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당
주생활 > 건축물
조선시대
영동군
1980-11-13
-
건조물>목조건축물류/서당
-
목재
맞배지붕
가구식구조(5량가), 목구조
정면5칸, 측면 2칸
1동
714.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두평리 56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두평리 56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6,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