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증평 광덕사 석조여래입상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증평 광덕사 석조여래입상
  • 한자명曾坪 光德寺 石造如來立像
  • 영문명Stone Standing Buddha of Gwangdeoksa Temple, Jeungpyeong
  • 지정일/등록일1980-11-13
  • 관할시군증평군
  • 이칭/별칭유형 75, 광덕사 석불, 光德寺 石佛

문화재 설명정보

광덕사 경내 보호각 안에 위치하고 있는 석조여래입상은 대좌 포함 전체 높이가 4.8m에 이르는 거불이다.
불신(佛身)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으며, 머리가 크고 어깨가 좁아 커다란 기둥처럼 보인다. 얼굴 부분이 머리에서 떨어진 것을 붙인 흔적이 보이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 머리 둘레에 쇠줄을 돌려 묶었다. 머리는 소발(素髮)이고 커다란 육계(肉髻)가 있으며 얼굴이 몹시 크다. 상호(相好)는 코만 우뚝하고 눈과 입은 마멸된 듯 불분명하다. 양 귀가 크게 조각되었는데, 왼쪽 귀와 머리 뒷부분에도 약간 파손이 있다.
굵고 길쭉한 목에는 삼도(三道)가 보이며, 양 어깨는 몹시 좁다. 대의는 통견(通肩)으로 옷주름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 전기에 걸쳐서 조성된 여래입상의 도식화된 표현을 보인다. 가슴이 깊게 벌어져 속에 내의가 보이고, 허리 아래로는 둥근 옷주름이 도식적으로 양다리를 감아 흘러내리고 있다. 손은 몸에 비해 작은 편인데, 오른손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허리부분에서 수평으로 들어서 시무외(施無畏) 여원인(與願印)을 표현하고 있는 듯하다. 불신의 뒷면은 편평하고 조각이 전혀 없다.
치마 밑으로는 발의 표현이 없고 직접 대좌 위에 놓여 있다. 대좌 역시 한 돌로 된 거대한 반구형으로 옆면에 돌아가면서 연판이 장식되어 있다. 아래 연판은 장식 없는 커다란 단판이고 윗 연판은 보상화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머리가 크고 어깨가 좁아서 긴 기둥 같이 보이는 신체 비례나 손이 작게 표현된 점, 그리고 뒷면에 조각이 없는 점 등을 통해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 전반 정도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 증평지역에서도 이와 같은 거대한 석불이 조성된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예로 생각된다.
Now standing inside a protective building within the precincts of Gwangdeoksa Temple in Jeungpyeong, this large Buddha statue hewn from a single stone block is characterized by a columnar shape with a disproportionately large head and narrow shoulders. The Buddha is wearing a robe covering both shoulders, and seems to be making the Abhaya and Varada mudras. He is set on a semispherical pedestal which is also made of a single block of stone decorated with a lotus band around it. The proportions of the body and the stylized depiction of the robe’s folds suggest that it is a work of early Goryeo (918~1392). The statue is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asset as it is a rare example of a large stone Buddha statue in the Jeungpyeong area.
光徳寺境内の保護閣の中にある巨仏である。仏身は1つの石でつくられており、頭部が大きく肩幅が狭いため、大きな柱のように見える。大衣を通肩にまとい、手印は施無畏与願印を結んでいるように見える。1つの石でつくられた半球型の台座には、側面の周りに蓮弁の装飾が施されている。仏像の身体比例や図式化された衣文表現から、制作時期は高麗時代前半頃と推定され、この時期に曽坪地域でも巨大な石仏がつくられていたことを示す例として価値が高い。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75 호
유형 75, 광덕사 석불, 光德寺 石佛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고려시대
증평군
1980-11-13
-
회화·조각>석불(동산)
-
석재
입상
-
4.8m
1기
100.0
대표 소재지 공개
27904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상그린로 239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 301-3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 산21-2(광덕사)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