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충주 최응성 고가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충주 최응성 고가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忠州 崔應聖 古家
영문명 Choe Eung-seong’s Historic House, Chungju
지정일/등록일 1981-05-01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유형 87, 최함월고가, 崔涵月古家, 최함월고택

문화재 설명정보

충주 최응성 고가는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에 있는 조선 숙종 때의 문장가 함월 최응성(涵月 崔應聖, 1655∼1727)이 거주하던 전통주거건축이다.
본래 살미면 무릉리에 소재하고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1983년 이건·복원되었다. 1720년경 집 앞에 정자를 지었는데 권상하(權尙夏)가 그의 호를 따서 ‘함월정(涵月亭)’이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최응성은 조선 중기 학자로 자는 인보(仁甫), 호는 함월이며, 본관은 강릉이다. 아우 최응건과 함께 수암 권상하(遂菴 權尙夏, 1641~1721)에게 배워 학문이 뛰어났다.
건물의 배치는 ㄱ자 형의 안채를 중심으로 전면에 一자 형의 행랑채가 있고, 좌측으로는 최응성이 서재로 사용하던 염선재(念善齋)가 직교하여 있으며, 우측으로는 ㄱ자 형의 광채가 안채와 면해서 토석혼축 담장으로 일곽을 두른 안쪽에 함께 배치되어 있다. 안채와 동측 담을 사이에 두고 통로 너머에 무릉사(武陵祠)가 있으며 이 고택 앞으로는 함월정이 있다.
안채의 평면은 ㄱ자형의 목조기와집이다. ㄱ자형은 중부지방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형식으로 남쪽부터 부엌, 안방, 웃방 왼쪽으로 꺾어져서 대청 2칸, 건넌방, 부엌, 광, 고방으로 구성된다. 건넌방에는 반 칸의 벽장은 서재로 사용하던 공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넌방은 난방을 위한 부엌이 제대로 마련되고 살창이 2단으로 설치된 고방이 자리하고 있어 특이하다. 가구는 납도리 3량가의 간결한 구조이고,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염선재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평면은 북쪽부터 아랫열에는 부엌, 아랫사랑방, 윗사랑방, 대청이고 윗열에는 고방, 골방, 마루, 대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 앞에는 전퇴에는 툇마루를 설치하고 후면의 마루에서 고방까지 돌아가며 쪽마루를 설치하고 있다. 퇴칸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田자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공간구성이 드러나는 실용적인 가옥이다. 가구는 납도리 2고주5량가이고,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무릉사는 최응성과 권상하를 배향(配享)하는 사당으로, 정면 1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一자형 목조기와집이다. 광채는 몸채의 정면 3칸, 측면 1칸의 통칸을 곳간이고, 날개채는 정면 1칸, 측면 2칸을 곳간으로 구성된 ㄱ자형 목조기와집이다. 가구는 3량가이고, 날개채는 우진각지붕이며 몸채는 맞배지붕이다.
함월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목조기와집이다. 건물 내부 가운데 칸에 정면과 측면 1칸씩의 온돌방을 만들고, 각 사면에 반 칸씩의 툇간을 두었다. 뒷면 퇴칸 하부에는 온돌 아궁이의 함실을 만들고 높은 마루를 설치하였다. 가구는 1고주5량가이고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정자는 연지(蓮池)와 가운데 섬을 놓고 자연과 어우러지도록 하고 있다.
충주 최응성 가옥은 안채, 염선재, 무릉사, 함월정 등이 각각의 영역을 유기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가옥은 중부지방 내륙지역에 보이는 간결한 형식이지만 고식이 보이는 안채, 퇴칸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구성이 드러나는 실용적인 염선재, 자귀질한 나무널을 끼워 판벽으로 된 광채 등이 특징이다. 학자의 품격과 같이 검소함과 실용성이 잘 드러나는 이 지역의 전통주거건축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This is the house of Choe Eung-seong, a famous wri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r. 1674~1720), located in Yongcheon-ri, Salmi-myeon, Chungju-si, Chungcheongbuk-do. It is composed of the anchae (women’s quarters), Yeomseonjae Pavilion, a barn, a pond, Hamwoljeong Pavilion, and Mureungsa Shrine. The anchae displays a simple style similar to that found in central inland areas of the country. The sarangchae (men’s quarters) is designed for practicality and allows full use of the outside spaces. Overall, the house display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rivate houses in this part of the country, including the practical design, and exudes an atmosphere of frugality as befits a scholar.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87 호
유형 87, 최함월고가, 崔涵月古家, 최함월고택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주생활 > 건축물 > 일반건축
조선시대
충주시
1981-05-01
-
건조물>목조건축물류/고가
-
목재
우진각지붕, 맞배지붕, 팔작지붕
가구식구조, 목구조, 공간구조(안채, 서재(염선재), 사당(무릉사), 광채, 날개채, 함월정)
염선재(4X3), 무릉사(1X1 1/2), 함월정(3X3)
6동
3,049.0
대표 소재지 공개
27492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중원대로 2220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 481-1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492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중원대로 2220(용천리)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용천리 481-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上』.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