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보은향교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보은향교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報恩鄕校
영문명 Boeu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지정일/등록일 1981-12-26
관할시군 보은군
이칭/별칭 유형 95

문화재 설명정보

보은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에 제사지내고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교사리에 세운 조선시대 관학교육기관이다.
보은향교의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세종실록』에 “세종 5년(1423)에 보은현에 교도(敎導)를 파견했다.”는 기록이 있어 태종말에서 세종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처음에는 보은현 서쪽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발간된 『여지도서』의 기록을 통해 현(縣)의 북쪽인 현재의 자리로 이전한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시기는 알 수 없다. 창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가 있었는데 1678년(숙종 4) 대성전을 중수하였으며, 1871년(고종 8)에 서원 훼철령에 의하여 철폐된 상현서원(象賢書院)의 강당을 옮겨 명륜당을 세웠다. 1907년 의병들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일본군에 의해 불타 없어진 것을 1908년에 당시 군수 신태완이 중건하고, 위패를 다시 만들어 봉안하였다. 그 후 1931년과 1957년에 중수하고 1983년에 해체 보수하였으며, 2015년에 명륜당을, 2017년에 대성전을 해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보은향교는 경사지에 남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현재 일곽은 대성전, 내삼문, 명륜당, 외삼문, 홍살문, 고직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배치되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배치되는 ‘전학후묘(前學後廟)’식 배치로 되어있다.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지붕은 전면은 겹처마, 후면은 홑처마로 하였으며 좌우에 풍판을 달았다. 평면은 가운데 3칸은 정전(正殿)으로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동서 각 1칸은 비어있는데 옛날 동서무(東西廡)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대성전의 전면 열은 제사의식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툇칸으로 만드는데, 이 건물은 전면 열에 툇칸을 두지 않고 모두 내부공간으로 꾸몄다. 건물구조는 두벌대로 쌓은 장대석 기단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공포형식은 전면에 초익공을 두었으나 후면은 공포를 두지 않았다. 전면 초익공 위의 보머리에는 봉두를 초각하여 끼웠다. 가구형식은 5량가이며,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하였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 성현 19인과 한국 성현 18인의 위패를 모셨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평면은 좌우 양측에 정면 1칸, 측면 2칸의 온돌방을 두고 중앙 3칸은 대청으로 구성하였다. 건물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다만 가운데 열에 사용한 기둥은 네모기둥이다. 어칸의 전·후면 기둥 위에는 초익공의 공포를 설치하였으며, 가구는 5량가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내·외삼문은 솟을삼문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일곽은 전체적으로 담장을 둘렀다.
Boeunhyanggyo is a Confucian shrine-school established by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n Gyosa-ri, Boeun, Chungbuk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local Confucian followers and holding seasonal ceremonies to honor great Confucian thinkers. Few records remain about its origins but, according to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it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etween the reigns of King Taejong (r. 1400-1418) and King Sejong (r. 1418-1450). The shrine-school consists of Daeseongjeon Hall, Naesammun (“inner-triple gate”),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esammun (“outer-triple gate”), hongsalmun (red arrow gate), and a Gojiksa (caretaker’s lodge). The institution is laid out with the school facilities, represented by Myeongnyundang Hall, at the front and the religious facilities, represented by Daeseongjeon Hall, at the rear. The main shrine hall stores the spirit tablets of nineteen Chinese Confucian saints including Confucius himself and eighteen Korean Confucian saints.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95 호
유형 95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주생활 > 건축물 > 향교건축
조선시대
보은군
1981-12-26
-
건조물>목조건축물류/향교
-
목재
팔작지붕, 맞배지붕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공간구조(대성전, 명륜당, 고직사)
대성전(5X2), 명륜당(5X2)
4동
3,413.2
대표 소재지 공개
28933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향교2길 21-6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교사리 283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교사리 283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