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진천향교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진천향교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鎭川鄕校
영문명 Jin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지정일/등록일 1981-12-26
관할시군 진천군
이칭/별칭 유형 101

문화재 설명정보

진천현의 강학과 제향 공간인 진천향교는 조선 초에 창건하여 조선 말에 크게 중수했다.
진천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좌우로 배치한 특징이 있으며, 입구의 풍화루(風化樓)는 외삼문과 누각을 겸하는 독특한 구조이다. 1804년(순조 4) 현감 홍이구가 명륜당을 중수하고 같은 해 최흡이 사재로 풍화루를 세웠다. 1816년(순조 16) 현감 조원영이 대성전을 중수하고, 1851년(철종 2) 현감 허석노가 새로이 중수하고, 1873년(고종 10) 현감 신호영이 중수하였다. 1935년 군수 이범관이 다시 중수하였다.
진천향교는 급경사면에 건축하면서 지형에 따라 위계에 맞추어 건물을 배치했다. 향교 일곽은 대성전과 동·서무, 명륜당, 풍화루 등을 갖추었다. 강학공간과 제향영역을 구분하여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하였다. 풍화루를 지나 정면에 보이는 대성전은 동쪽을 바라보고, 오른쪽 명륜당은 남쪽을 향하고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입구 오른쪽에 하마비가 있다. 제일 앞쪽에 있는 대문인 풍화루의 가운데 3칸은 외삼문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측 2칸의 온돌방은 동재와 서재로 사용되었다. 상부의 누각은 여름에 글을 읽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고 회합의 장소로 활용된다. 명륜당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서쪽은 온돌방, 동쪽 2칸은 마루방이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기와집으로 앞면 한 칸은 외진 칸이다. 앞쪽에 높은 축대를 쌓아 평탄면을 확보하였다. 대성전 좌우에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동·서무가 있다. 주위는 돌담장을 둘렀다.
진천향교는 충청북도의 다른 지역 향교와 달리 좌학우묘(左學右廟)의 평면 구조를 가진다. 대성전과 명륜당을 나란히 배치하고 입구인 풍화루는 외삼문과 누각을 겸하는 독특한 구조이다.
This Confucian school was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renovated toward the late Joseon period. Its overall layout consists of school buildings on the left and ritual buildings on the right,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schools in the province. It also shows the unique role of Punghwaru Pavilion as an outer entrance comprising a set of three gates.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01 호
유형 101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주생활 > 건축물 > 향교건축
조선시대
진천군
1981-12-26
-
건조물>목조건축물류/향교
-
목재
팔작지붕, 맞배지붕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공간구조(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풍화루)
대성전(3X3), 동무(3X1), 서무(3X1), 명륜당(3X2)
6동
3,051.0
대표 소재지 공개
27841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5길 30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416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841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5길 30(교성리)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416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진천군사우보존회, 2007, 『홀기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