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증평 남하리사지 삼층석탑
  • 한자명曾坪 南下里寺址 三層石塔
  • 영문명Three-story Stone Pagoda at Temple Site in Namha-ri, Jeungpyeong
  • 지정일/등록일1984-12-31
  • 관할시군증평군
  • 이칭/별칭유형 141, 남하리 삼층석탑, 南下里 三層石塔

문화재 설명정보

증평 남하리사지는 증평읍 남하3리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 잡은 옛 절터이다. 커다란 자연 암반으로 이루어진 석실 형태의 바위 면에 불상이 새겨져 있고, 전면 왼쪽 옆으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이 서 있다.
자연 암반을 기단으로 하여 윗면에 단층의 네모난 받침돌만 놓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단순한 형태의 석탑이다. 탑신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옥개석은 지붕선이 경사지게 내려오고 끝이 약간 반전되어서 경쾌함이 있다. 이에 비해 3단의 층급받침은 투박한 감이 있다. 이러한 조형성으로 보건대 조성시기는 고려시대이고, 산간에 위치한 사찰에서 간소하게 조성된 석탑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사지에 함께 있는 마애불의 조성시기는 삼국시대 말 정도로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어서 함께 조성된 석탑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남하리사지에 대한 문헌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 인근에 철을 생산했던 염곡소(念谷所)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 때 염곡소에서 불을 다루면서 청안 남쪽의 높아지는 화기를 누르는 한편 마을의 화재와 주민들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세웠던 비보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마도 당시 절이 다시 중창되면서 조성한 탑이 아닌가 한다. 한편 1993년에 충청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조사 때에 고려시대 이후로 추정되는 기와, 토기, 자기편들이 출토되었다고 하니, 이는 석탑과 연관되는 자료들이고 또한 이후에도 사찰이 지속적으로 존속했던 것을 알려준다.
The Namha-ri Temple Site is the site of an old Buddhist temple located on the mid-slope of a mountain behind Namha 3-ri, Jeungpyeong-eup, where a three-story stone pagoda still stands together with a rock-carved Buddha triad. The pagoda, built on natural rock, features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square single-tier base and a three-story body. The architectural style and an old record of the pagoda reveal that it was built as part of a Buddhist temple which was intend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ungsu (or Feng Shui), to suppress the element of fire emanating from the nearby Yeomgokso where iron weapons and tools were forged during the Goryeo period.
南下里寺址は、南下3里村の裏山の中腹にある寺院跡で、現在は磨崖仏と三層石塔が残っている。石塔は、天然の岩を基壇とし、その上面に単層方形の台石を置き、その上に3層の塔身を乗せた単純な形である。塔の様式のほか、南下里寺址に関する文献に、高麗時代に近くで鉄を製造していた念谷所の火気を抑えるために裨補寺院を建立したとあることから、そのときに建てられた石塔と推定され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41 호
유형 141, 남하리 삼층석탑, 南下里 三層石塔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탑
고려시대
증평군
1984-12-31
-
건조물>석조건축물류/석탑
-
석재
방형
상륜부, 탑신부(3층), 기단부(자연암반)
2.9m
1기
595.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청전문대학박물관, 1994, 『증평 남하리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Ⅱ』.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