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李守一 振武功臣敎書 및 肖像
영문명 Portrait and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Yi Su-il
지정일/등록일 1995-06-30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유형 178, 이수일 진무공신녹권 및 영정, 李守一 振武功臣錄券 및 影幀

문화재 설명정보

조선 중기의 무관인 이수일(李守一, 1554~1632)의 진무공신교서와 초상이다.
이수일의 본관은 경주이며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庵)이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키고, 이후 북도병마절도사를 지내는 등 국경 지역 안정에 힘썼다. 1616년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으며,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난을 진압하였다. 이에 진무공신(振武功臣) 2등에 책록(策錄)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1628년에는 형조판서가 되었고 1631년 남한수어사(南漢守禦使)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이수일 진무공신교서는 38.6×202㎝ 크기의 두루마리로 일반적인 공신교서와 같은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교서의 마지막에 ‘천계오년 사월일(天啓五年 四月日)’이라 기록되어 있어 1625년 4월에 반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서의 표제는 ‘교 알성분위출기 진무공신 보국숭록대부 행경상우도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제사 계림부원군 이수일 서(敎 謁誠奮威出氣 振武功臣 輔國崇祿大夫 行慶尙右道水軍節度使 兼 三道統制使 鷄林府院君 李守一 書)’이며 이후 공적에 대한 내용과 함께 1등 장만 등 3인, 2등 이수일 등 9인, 3등 남이웅등 20인 총 32인의 이름을 담고 있다. 공신의 녹훈은 공신도감(功臣都監)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신교서, 공신녹권(功臣錄券), 공신화상(功臣畫像), 사패문서(賜牌文書), 회맹록(會盟錄) 등을 작성하여 공신에서 수여하였다.
이수일 초상은 99×184㎝크기로 비단에 채색되었다. 사모와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좌상으로 진무공신으로 책록된 후 제작된 공신초상으로 볼 수 있다.
인조 즉위 초기인 1620연대에는 정사공신(靖社功臣), 진무공신, 소무공신(昭武功臣), 영사공신(寧社功臣)으로 이어지는 총 4회의 공신 책록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각 공신도상들은 서로간의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이수일 초상은 함께 진무공신으로 책록된 장만(張晩) 초상(장만선생영정 및 공신록권, 경기도 유형문화재 142호)보다 정사공신도상인 이시방(李時昉) 초상(보물 제1482호)과 구성과 표현에서 많은 유사함을 보여 동일한 화원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검은색에 가까운 단령의 채색과 공수 자세에서 드러나는 손가리개의 표현, 직선으로 곧게 뻗은 단령의 옆트임, 단령 바깥으로 묘사된 의자의 손잡이, 사모의 모정부분 채색을 옅게 하여 구분한 점은 비슷한 시기 다른 공신 초상과는 다른 두 초상만의 특징이다.
얼굴 표현에서도 유사점이 두드러진다. 17세기 초 공신초상은 얼굴의 높은 부분에 붉은 선염을 가하여 전반적으로 붉은 기운이 높은 것이 특징이나, 이수일 초상과 이시방 초상은 붉은 선염보다 얼굴 윤곽과 주름이 더욱 강조되어 있다.
의복에서 보이는 해치흉배(獬豸胸背)와 서대(犀帶)의 구성은 초상이 제작된 17세기 초 공신초상의 특징을 보인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해치는 본래 문관인 종2품 대사헌의 흉배문양이며 서대는 1품관을 나타낸다. 하지만 17세기 초의 공신초상에서는 무관이 해치흉배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왔었던 명대 말기의 중국 무관들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서대는 그가 이괄의 난을 평정하고 계림부원군으로 봉해졌음을 잘 보여준다.
바탕의 비단은 올이 곱고 채색의 탈락도 적으나 한국전쟁 당시 초상을 접어서 이동한 탓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두 번 꺾인 상처가 있다.
함께 전하는 2점은 모두 초본으로 각각 이수일의 정면과 좌안7분면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전반적으로 전신상인 정본과 유사한 화법으로 제작되었으나, 정면상은 인물의 묘사력이 다소 떨어진다. 사모와 단령 등 얼굴 외적 요소는 간략히 묘사되어 초본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These two cultural relics are the portrait of Yi Su-il (1554~1632), a military official of the mid-Joseon period, and the royal certificate issued to him to certify that he had been honored with the title Jinmu Gongsin, or “Meritorious Subject of Extraordinary Military Might.”
The portrait measures 99㎝ by 184㎝, and is painted on silk. Yi Su-il is portrayed seated in a chair, wearing a round-collared robe with a black silk hat, suggesting that the painting was made to commemorate his reception of the honorary title. The royal certificate, measuring 202㎝ by 38.6㎝, is in the form of a handscroll and contains a record that it was issued in the fourth month of 1625.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78 호
유형 178, 이수일 진무공신녹권 및 영정, 李守一 振武功臣錄券 및 影幀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사회생활 > 사회제도 > 문서 > 관(공)문서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조선시대
충주시
1995-06-30
-
전적ㆍ서적ㆍ고문서, 회화·조각>전적ㆍ서적ㆍ고문서/전적류/교서, 회화·조각/초상화
-
섬유
-
-
교서 38.6×202㎝ 초상 90×184㎝
1건4점
-
대표 소재지 공개
27447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중앙탑길 112-28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47-5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447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중앙탑길 112-28(충주박물관)/(탑평리)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47-5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22, 『충청북도 지정문화재 정기조사 보고서 충주시편』.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