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曾坪 南下里寺址 磨崖佛像群
영문명 Rock-carved Buddhas at Temple Site in Namha-ri, Jeungpyeong
지정일/등록일 1998-12-31
관할시군 증평군
이칭/별칭 유형 197

문화재 설명정보

남하리사지는 증평읍 남하3리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 잡은 옛 절터이다. 커다란 자연 암반으로 이루어진 석실형태의 바위면 3곳에 불상이 5구 새겨져 있고, 앞쪽에 왼쪽 옆으로 삼층석탑이 서 있다. 본존상의 높이가 약 3m 정도인 비교적 큰 마애불이다.
바위의 넓은 앞면에 삼존상이 새겨져 있으며, 본존상 대좌 바로 아래에는 특이하게도 물이 고이는 샘이 만들어져 있다. 바위 면을 약간 감처럼 파고 삼존상의 외곽을 비교적 고부조(高浮彫)로 새겼으나 세부는 선각(線刻)이고 표현이 다소 불분명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삼국시대 불, 보살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본존상의 머리는 소발(素髮)이고 육계(肉髻)가 동그랗게 솟아 있다. 얼굴은 둥근데 귀의 표현이 없고, 눈과 입은 작고 마모되었으며 코만 큼직하게 보인다. 목의 표현이 거의 없이 넓은 어깨가 이어져 신체는 장대해 보인다. 대의는 통견(通肩)인데 옷주름선을 깊은 음각선으로 표현하여 약간의 부피감을 주고 있다. 또한 둥글게 늘어진 앞자락과 내의의 선은 이중으로 표현하여 입체감을 시도하고 있으나, 두 손 아래로 길게 늘어진 옷자락은 모두 단선의 음각선이다. 두 손은 시무외(施無畏) 여원인(與願印)으로 크고 가슴까지 높이 올리고 있어서 고식의 특징을 보인다. 치마 밑으로 양발이 표현되고 있으나 대좌 부분이 파손되어 세부적 묘사는 불분명하다.
양 옆의 협시보살상들은 세부 표현이 더욱 안 보이는데, 서로 조금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우협시보살상은 머리에 둥근 두광(頭光)이 있고 얼굴은 갸름한데 상호(相好)가 희미하다. 양 어깨와 몸 옆으로 뻗치고 있는 천의자락 표현이 있어 6세기 보살상의 특징을 보이는 점이 주목된다. 수인(手印)이나 허리 아래로는 마모되어 형태를 이해하기 어렵다. 좌협시 보살상도 둥근 두광이 있고 얼굴은 갸름한데 상호나 보관의 표현은 희미하다. 양 어깨에서 뻗치는 천의자락은 볼 수 없고 다리의 윤곽만 둥글게 보인다. 치마 밑으로 여래상의 경우처럼 양 발이 표현되고 있으나 역시 대좌 부분이 파손되어 세부는 알 수 없다.
암반의 왼쪽 측면에는 편단우견(偏袒右肩)의 착의법을 한 독존의 여래입상이 부조되어 있다. 상 높이가 2.53m이어서 비교적 큰 상이다. 얼굴이 둥근 편이나 상호는 마모되어 불분명하다. 편단우견의 대의는 본존상의 경우처럼 가슴의 선만 이중으로 표현하고 나머지 치켜올라간 옷주름선은 모두 단선의 음각선이다. 수인은 오른팔은 내려서 배 부분에 대고 왼손은 가슴 부근에서 들고 있다. 이러한 편단우견의 여래입상은 고신라 7세기대에 유행한 형식이어서 매우 주목된다.
암반의 뒷면은 좁은 공간을 두고 석벽이 잇대어서 있어서 마치 석실처럼 보이는데, 암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우선 확인되는 글자는 ‘인(人)’, ‘성(誠)’ 등인데, 전체 내용과 새긴 시기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필요할 듯하다.
한편 삼존불이 새겨진 정면의 오른쪽으로는 또 다른 바위가 인접해 있는데, 불상을 바라보는 면에 선각으로 조각된 독존 반가사유상이 희미하게 보인다. 몸을 약간 오른쪽으로 틀고 앉은 반가상으로 세부가 많이 마모되었으나 전체적인 윤곽은 확인된다. 반가사유상의 전체 높이는 2.53m로 비교적 큰 상이다. 머리 위에 나뭇잎이 늘어진 듯 하고, 반가상의 머리는 보관을 쓴 옆얼굴이 보인다. 아래쪽으로 반가한 무릎이 커다랗게 표현되고 그 위에 사유하고 있는 오른팔을 괴고 있다. 무릎 이하 대좌의 표현은 불분명하고 단지 아래쪽에 넓은 대좌의 연판이 6엽 확인된다.
남하리사지에 조성된 마애불상들은 이처럼 조각수법은 다소 치졸한 면이 있으나, 도상면에서는 특히 삼국시대 7세기 신라지역에서 유행한 상들이 모두 표현되고 있어서 매우 주목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보면 이 마애불상의 조성시기는 7세기 전반 정도로 올라갈 수도 있으며, 아마도 삼국시대 이 지역에 진출한 신라세력에 의해 조성된 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앞으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새겨진 글자에 대해서도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유적이다. 1993년에 충청대학 박물관에서 이 절터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기와, 토기, 자기편이 출토되었다 한다. 고려시대에 이곳에 철을 생산했던 염곡소가 있었다고 하는 점과 더불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절이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se five Buddhist images carved on the faces of three rocks are located at an old temple site on the mid-slope of a mountain behind Namha 3-ri, Jeungpyeong-eup. The rock at the center is carved with three standing Buddhas, with a well under the base of the principal Buddha. The triad is flanked by two more Buddhas, one (on the left) carved in low relief, wearing a robe draped over the left shoulder and leaving the right shoulder bare, the other (on the right) depicted in a posture of meditation. The details of the images show the influence of the style of Buddhist images favored by Silla in the seventh century, suggesting that they were made by Silla Buddhists following Silla’s exploration of the area.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97 호
유형 197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삼국시대
증평군
1998-12-31
-
회화·조각>석불(부동산)
-
석재
입상
-
1.14~2.98m
5구
595.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청전문대학박물관, 1994, 『증평 남하리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학연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서진문화유산, 2006,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보수공사(보존처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비전문화유산, 2015, 『증평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 보존처리 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