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허한·허적 초상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허한·허적 초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許僩·許積 肖像
영문명 Portraits of Heo Han and Heo Jeok
지정일/등록일 2000-10-27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유형 201, 향오공 허한 부자 영정, 香塢公 許僩 父子 影幀

문화재 설명정보

조선시대 문신이었던 허한(許僩, 1574~1642)과 허적(許積, 1610~1680)의 초상이다.
허한은 조선의 문신으로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의보(毅甫)이며, 호는 행오(杏塢)로, 함께 초상이 전하는 허적의 아버지이다.
허한 초상은 63×147㎝ 크기로 사모와 단령을 입고 공수한 자세로 의자에 앉은 전신좌상이다. 화면 좌·우측에는 후대에 기록된 것으로 보이는 화기가 각각 “광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행오공허한(廣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杏㮧公許僴)”과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행통정대부이천도호부사(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行通政大夫利川都護府使)”라 적혀있어 허한의 품계를 알 수 있지만, 초상이 제작된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전통화법과는 다른 자세와 배경 묘사를 통해 이 초상이 근대 이후에 제작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초상 속 허한은 몸은 정면을 향하면서도 얼굴은 좌안7분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는 얼굴묘사는 전통적 구도를 따르면서도 몸은 근대기 사진식 구도를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단령은 문양 없이 청색으로만 채색되었고, 흉배 또한 정밀하게 그려지지 않았다. 의자와 바닥의 화문석도 조선 후기의 초상 양식에 비해 간략화 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얼굴부분은 보다 세밀한 음영처리가 주목되며 얼굴바탕이 배채 없이 상당히 두텁게 채색되었다. 화면 전체적으로 결손부위가 많다.
허적의 본관은 양천, 자는 여차(汝車), 호는 묵재(默齋)·휴옹(休翁),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조선 후기 온건파 남인이었던 탁남의 영수로 호조판서·형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총 3번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허적 초상은 83.5×162㎝의 크기로 사모에 단령을 입은 전신좌상이다. 화면 우측에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세자사허적진(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許積眞)”, “효묘계사평안도관찰사시사십사세본(孝廟癸巳平安道觀察使時四十四歲本)”, “당저이십년병진칠월중모(當宁二十年丙辰七月中摹)”란 화기(畵記)가 남아 있어, 이 초상이 그가 44세 때인 1653년(효종 4)에 제작되었고, 그가 최종적으로 복관된 이듬해인 1796년(정조 20)에 모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허적은 1653년에 사문사(査問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종2품인 평안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가, 이듬해인 1654년 특별히 정2품으로 승진되어 원접사(遠接使)로 청에 다녀오게 된다. 초상 속 허적은 당상관임을 알리는 운학흉배와 2품임을 보여주는 학정금대를 하고 있어 1653~1654년 즈음의 모습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 초상은 이모될 당시인 18세기 후반의 양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여러 부분에서 초상이 제작되었던 17세기 중반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채전(彩氈)은 카펫의 일종으로 조선에서는 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초상의 주요 배경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문양과 색상으로 그림의 화려함을 더하였다. 이 초상의 채전은 화려한 문양 대신 붉은 단색으로 간략하게 묘사되었고, 배경과의 구분을 위해 오색의 띠만을 두르고 있어 18세기 후반 이모될 당시 남겨놓은 원작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초상은 여러 부분에서 18세기 중반과 19세기의 초상 양식을 고루 담고 있다. 먼저 모정이 높고 날개가 짧은 사모와 단령의 문양, 목에 가까운 단령의 옷깃, 얼굴과 발이 표현된 표피(豹皮), 족좌대의 형태는 1751년에 제작된 분무공신 초상의 구성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흉배표현에 있어서는 19세기에 유행한 복잡한 구성과 화려한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여의문으로 상단을 구성하고 작은 구름으로 동물의 주변을 채우며, 하단에 괴석과 파도문양을 배치한 것은 19세기 초상에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 초상은 17세기 초상 양식의 흔적과 18세기와 19세기의 초상양식을 이어주는 독특한 사례로 볼 수 있다.
These two paintings are the portraits of Heo Han (1574~1642), a Confucian scholar-official of mid Joseon, and his son Heo Jeok (1610~1680), who was also a renowned scholar-official.
The portrait of Heo Han is notable for the combined use of traditional composition to depict the face and modern photography to depict the body, which, together with the sitter’s pose and the background, suggests that it was mad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portrait of Heo Jeok, however, was painted in 1653 when he was 44 years old and reproduced in 1796, according to the postscript.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201 호
유형 201, 향오공 허한 부자 영정, 香塢公 許僩 父子 影幀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조선시대
충주시
2000-10-27
-
회화·조각>초상화
-
섬유
-
-
63×147㎝ 83.5×162㎝
2폭
-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