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홍정명(洪廷命, 1692〜1748)의 지석이다. 홍정명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사흠(士欽), 휘는 정명(廷命)으로, 조선시대 후기 영조와 정조 대의 사간(司諫), 집의(執義)를 지낸 문신이며 학자이다. 지석 제작에 관한 명시된 기록은 없으나 홍정명의 아들 홍건(洪楗)과 손자 백석이 관여했을 것으로 짐작한다. 홍정명의 외손자인 이득신에 의하여 1785년(정조 9)에 찬술되었고, 지석문의 서사(書寫)는 1783년(정조 7)부터 1790년(정조 14) 사이에 당대의 저명한 서예가인 강세황에 의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석의 재질은 오석(烏石)이며, 크기는 가로 20.3〜20.7㎝, 세로 27.8〜28.2㎝, 두께 2.0〜3.6㎝ 내외이다. 지석문은 8면에 10행 17자 해서체로 음각되어 있으며 주로 홍정명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지석문 구성은 동시대의 전형적인 기술 방식을 따른다. 첫 번째 지석면의 내용은 표제(表題)는 품계(品階), 관직(官職), 본관(本貫), 성(姓), 묘지명(墓誌銘) 등의 순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지석면에는 홍정명 선조의 계보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지석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비해 선조의 관직과 품계뿐만 아니라, 전해지지 않은 행적까지 기록하고 있다. 세 번째 지석면에는 그의 성품과 행적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지석 내용에 의하면 공은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네 번째의 지석면에는 홍정명의 관직에 대해 기록하였는데, 가장 최근에 간행한 1987년의 『남양홍씨호은공족보(南陽洪氏湖隱公族譜)』보다 훨씬 더 상세하다. 다섯 번째 지석면에는 그의 생몰과 장례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지석문에 의하면 홍정명은 1692(숙종 18)년 2월 2일에 출생하여, 1748(영조24)에 향년 57세로 생을 마감하였고 그 12년 후 1760년에 부인 최씨와 합장 이장되었다. 여섯 번째 지석면에는 홍정명의 후손 계보도 3세까지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일곱 번째 지석면에는 이득신이 찬술한 명문이 수록되었다. 여덟 번째 지석면에는 이 지석문의 서자(書者)가 강세황임을 명시하였다. 홍정명 지석에 나타나는 내용들은 현재 홍정명의 문집이나 유고 및 그의 전기에 관련된 자료들이 전혀 전해지지 않아 전기(傳記)자료로서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18세기 사회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Buried memorial tablets from the tomb of the civilian official Hong Jeong-myeong (1692~1748) of the Joseon Dynasty consists of four pages. The monumental inscription, which is in intaglio and consists of 17 letters in all 10 lines over eight pages, deals mostly with the biography of Hong Jeong-myeong. Given the limited space, the content is inclusive of official positions and ranks of his ancestors as well as his deeds that are not written elsewhere. Since the anthology, posthumous work, or biography of Hong Jeong-myeong is presently not known, the memorial tablets are valuable in detailing not only his biographical information but also as a depiction of 18th-century societ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