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서선생아언목판」은 조선말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어록을 그의 제자인 김평묵(金平默,1819∼1891)과 유중교(柳重敎,1832∼1893)등이 후학들의 학문연마에 지침서가 될 수 있도록 편찬한 『화서아언(華西雅言)』을 간행하기 위하여 새긴 목판이다. 『화서아언』은 1867년(고종4)에 36편391조로 편찬하였으며 7년 뒤인 1874년에 판각한 목판으로 찍어 간행하였다. 한말에 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반외세를 주장하며 ‘위정척사론(爲正斥邪論)’을 펼친 이항로의 학문적 근간과 태도를 알 수 있는 문집으로 12권3책의 36편891조로 구성되어 있다. 목판의 형태는 사주단변(四周單邊) 광곽(匡郭) 33.7×20.7㎝의 크기로 계선이 있으며 본문은 10행20자이다. 주쌍행(註雙行)이며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전체크기는 가로49.4㎝,세로20.7㎝,두께1.5㎝내외이다. 목판은 총133판 265면으로 되어있으며 다음과 같은 판목으로 구성되었다.
자양영당에 소장된 「화서선생아언목판」은 조선말기 이항로의 위정척사론에 대한 연구와 한말시대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저서를 인출한 원전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19세기 후반목판의 전형적인 형태로, 총133매의 목판이 결락 없이 보존되고 있어 조선후기의 목판인쇄문화연구를 위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Hwaseo seonsaeng aeon mokpan are the printing blocks of Hwaseo aeon (Best Sayings by Hwaseo), a collection of the most memorable sayings by Yi Hang-ro (pen-name: Hwaseo, 1792~1868),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late Joseon. The book was compiled by two of his disciples, Kim Pyeong-muk (1819~1891) and Yu Jung-gyo (1832~1893), to offer guidance to future scholars on their scholarly pursuit. These woodblocks, preserved in Jayangyeongdang Shrine, were completed in the summer of 1874, seven years after the compilation of Hwaseo aeon. This set of printing blocks are deemed to have an important value for the understanding of woodblock printing in late Joseon, and also for research into “wijeong cheoksaron,” the anti-Catholic and anti-foreign doctrine that gained ground in this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