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음성 수정산성
시도지정 > 충북 기념물 음성 수정산성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陰城 水精山城
영문명 Sujeongsanseong Fortress, Eumseong
지정일/등록일 1999-12-31
관할시군 음성군
이칭/별칭 기념 111

문화재 설명정보

음성 수정산성은 충청북도 음성군 읍내리 일원에 위치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해발 396.3m의 수정산 정상부에 축조되었다. 성의 북쪽에는 음성의 진산(鎭山)인 가섭산(迦葉山)이 있고, 남쪽으로는 음성천(陰城川)이 동쪽으로 흘러 충주로 향하는 달천(達川)과 합류한다. 이곳은 동쪽의 충주 방면·서쪽의 일죽 방면·남서쪽의 증평 방면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입지에 있다.
수정산성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에 잘 남아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수정산에 위치한 고산성(古山城)은 둘레 1,271척 높이 10척 규모의 석축성으로 내부에 우물 하나가 있으며 당시에는 이미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의 문헌기록에서도 대체로 같은 내용을 전하고 있으나, 1871년에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 지도에는 무너진 성벽구간을 토축성벽으로 오인하여 수정산 토성(水精山 土城)이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한편 이곳의 구전(口傳)으로는 고려 고종(高宗) 때의 장군 박서(朴犀)가 음성백(陰城伯)으로 있으면서 수정산에 석성을 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학술조사는 1997년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현 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의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4차례 이루어졌다. 이후 성벽구간을 복원정비하기 위하여 2002년과 2003년에 청주대학교 박물관의 주관으로 두 차례 시굴조사가 시행되었으며, 2013년에는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산성의 현황과 성벽 구조 및 활용시기에 관한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의 전체 둘레는 577m이고, 잔존상태가 좋은 구간에서는 약 6~7m 높이로 남아있다. 삼각형 모양의 평면 형태를 띠고 있으며, 지형 상 산성의 주된 방어방향은 서쪽의 음성 방면으로 보인다. 문지(門址)는 동문·서문·북문 3개소로 추정되고 있다. 성 내부에는 폭 4~5m의 내환도(內環道)가 성벽을 따라 개설되어 있고, 건물지도 3동 이상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2차 시굴조사를 통해 앞선 시기에 토루가 먼저 사용되다가 석축 성벽이 조성되었고, 성벽 축조방식은 내벽과 외벽을 함께 쌓는 내외협축(內外夾築)이었음이 밝혀졌다. 성벽은 주로 화강암 석재를 사용하여 축조되었으며, 경사도는 약 71~81°로 비교적 가파른 편이다. 성의 세 모서리와 동벽부에서는 일종의 치성(雉城)처럼 성벽을 앞으로 길게 돌출시킨 특징이 확인된다.
수정산성에서는 주로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 전기의 토기와 기와 편이 출토되었다. 특히 연꽃무늬막새[蓮花紋瓦當]와 도장무늬토기[印花紋土器] 등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 많이 수습되었다. 이밖에 2013년 발굴조사 때 발견된 굽다리접시[高杯] 편은 신라의 한강유역 경영과 관련한 7세기 전반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수정산성은 출토유물과 성벽 축조순서 등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사용되었고, 중부 지방의 각지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통제하는 기능을 담당했던 중요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Sujeongsanseong, located at an area stretching from Eumnae-ri to Pyeonggok-ri of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is a stone fortress built in the so-called temoe style, to enclose a mountain summit. The fortress extends to approximately 577m in circumference. The height of the wall in its best preserved section is about 6-7m. Since its construc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fortress was continuously in use into the Goryeo period. The fortress served the function of controlling roads leading to various part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11 호
기념 111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통일신라
음성군
1999-12-31
-
정치ㆍ국방에 관한 유적>성곽
-
석재
석축
퇴뫼식
-
일곽
17,598.7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산14-1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산14-1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청주대학교박물관, 2002, 『음성 수정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태일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청주대학교박물관, 2003, 『수정산성 2차 시굴조사 보고서』, 태일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음성 수정산성 2013년 발굴조사 보고서』, 일광.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8, 『음성 수정산성 2016년 발굴조사 보고서』, 가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호서문화유산연구원, 2019, 『음성 수정산성 음성군 음성읍 산14-1번지 수정산성 전망대상지 설치지역 내 시굴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