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충주 조동리 유적
시도지정 > 충북 기념물 충주 조동리 유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忠州 早洞里 遺蹟
영문명 Archaeological Site in Jodong-ri, Chungju
지정일/등록일 2002-10-25
관할시군 충주시
이칭/별칭 기념 126, 충주조동리선사유적, 忠州早洞里先史遺蹟

문화재 설명정보

조동리 유적은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조돈마을에 위치하는 남한강변의 선사유적이다.
이 유적은 1990년 9월 10일 내린 중부지방의 집중호우로 조돈마을 앞 한강변의 강 안 퇴적층이 1~2m 두께로 깎이어 나가는 과정에서 확인되었으나 유적에 대한 조사가 바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6년이 지나서야 진행되어 홍수대비 둑 축조공사의 구제발굴형태로 1996·1997·2000년 3차례에 걸쳐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조사되었다.
조동리 유적은 크게 3지구로 구분되는데 발굴조사된 곳은 처음 유구가 확인된 Ⅰ지구뿐이다. Ⅱ지구는 Ⅰ지구에서 동쪽으로 200m 떨어진 곳으로 지표아래 1m지점에서 청동기시대 집터가 확인되었다. Ⅲ지구는 Ⅰ지구에서 하류쪽으로 3㎞쯤 떨어진 곳으로 민무늬토기와 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
Ⅰ지구를 조사한 결과 퇴적층위는 해발 76.5~70m에 약 6~7m 두께이며, 13층으로 세분할 수 있다. 1층은 표토층이고, 2층이 청동기층, 3·4층이 신석기층으로 확인되며, 그 이하는 홍수 등으로 인한 단순퇴적층으로 밝혀졌다. 신석기층은 상하 2층으로 구분되는데 아래층에서는 5,295±545B.P.라는 연대값이 나왔다. 청동기층은 3층으로 구분되며 아래청동기층에서 2,715±75B.P., 가운데청동기층 2300±250B.P., 윗청동기층 2,300B.P.·2,060B.P.라는 절대연대 값을 각각 확인하였다.
1·2차 발굴조사에서는 청동기문화층에서 네모꼴 집터 9기(네모꼴 1기, 긴 네모꼴 6기, 둥근꼴 2기), 불땐자리 31기, 움 13기, 돌무지유구 1기, 도랑 6기 등의 생활유구를 찾았다. 출토유물로는 붉은 굽잔토기를 비롯하여 민무늬토기, 팽이형토기, 구멍무늬토기 등 다양한 토기문화를 확인하였다. 집터유구는 대부분 긴네모꼴을 기본으로 서로 겹치지 않고 평면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이는 거의 같은 시기에 생활했던 것으로 해석되며 가운데청동기층이 주 무대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3차 발굴조사에서는 불땐자리 20기, 움 5기, 웅덩이 1기, 도랑 1기 등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조동리 유적에서 확인된 유구 가운데 중요한 것은 청동기시대의 집터이다. 모두 9기가 확인되었는데 유적의 중심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내부 시설물로는 기둥구멍(3·7·8호)과 불땐자리(1·4·7·9호)가 있으나 출입시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7호 집터의 경우 상수리나무를 가공한 판자로 벽체를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불땐자리는 51기(이 중 1기는 근대의 것)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바닥을 약간파고 돌무지형태로 둥글게 쌓은 형식이 대부분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움은 18기가 확인되었는데 깨진 토기나 석기조각 등이 나와 주목받지 못했으나, 움에서 나온 흙을 물체질 한 결과 많은 낟알이 검출되어 저장기능을 했음을 확인하였다.
낟알은 집터와 움, 불땐자리에서 약 1,000톨이 넘게 확인되었다. 탄화된 곡물로 쌀, 보리, 밀, 귀리, 수수와 복숭아씨 등이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51호 불땐자리에서 출토된 벼낟알과 숯이다. 절대연대측정결과 각각 6,140B.P., 6,200B.P.의 연대값을 얻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농경의 기원 문제를 말해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충주 조동리 유적은 서울 암사동유적이나 여주 흔암리유적과 더불어 한강유역 최대의 선사유적으로 평가된다. 이를 활용하기 위하여 충주시에서는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을 건립하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Located at Jodon Village in Jodong-ri, Dongnyang-myeon, Chungju-si, Chungcheongbuk-do close to the Namhangang River, this prehistoric archaeological site was brought to light when the river bank sedimentary layer near Jodon Village was cut off as a result of heavy rainfall in September 1990.
The grains of rice and pieces of coal unearthed from the site were found to date back to 6,140 BP-6,200 BP as a result of Absolute Age Determination (i.e. absolute dat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an age on a specified chronology in archaeology and geology), and are regarded as precious materials that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farm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ite, along with the archaeological sites in Amsa-dong, Seoul and Heunam-ri, Yeoju, is sai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historic sites located along the Hangang River.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26 호
기념 126, 충주조동리선사유적, 忠州早洞里先史遺蹟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유적분포지 > 유적분포지
선사시대
충주시
2002-10-25
-
유사(有史) 이전의 유적>주거지
-
-
-
집터9기, 움18기, 도랑7기, 불땐자리 51기, 돌무지유구 1기
-
일원
8,811.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1368-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1368-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충북대학교박물관, 2001,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I)』.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학교박물관, 2002,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II)』.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주박물관, 2005,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 도록』.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