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당곡리 십이장신당
시도지정 > 충북 민속문화유산 영동 당곡리 십이장신당
  • 한자명永同 堂谷里 十二將神堂
  • 영문명Sibijangsindang Shrine of Danggok-ri in Yeongdong
  • 지정일/등록일1976-12-23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민속 2

문화재 설명정보

영동 당곡리 십이장신당은 당곡리 성황당으로 관운장을 비롯한 12장군의 영정을 모시며 영동읍 당곡리 산32번지에 위치한다. 『전설지』에 신당은 상촌면 고자리 산너머당골에 있었는데 영동군수의 꿈에 관우가 현몽해 고곡리(현 당곡리)로 옮기라고 지시해 현 마을에 위치하게 되었다는 유래담이 전한다. 전설로 추정하면 조선시대 선조대로 연원을 삼을 수 있다.
본당은 16.5㎡ 규모로 전면 2칸, 측면 1칸의 마루와 신당으로 구성된 목조 기와집이다. 건물 왼쪽에 0.66㎡ 규모의 1칸짜리 맞배지붕 형태의 별당이 있다. 별당에는 관우의 적토마 그림을 봉안했다. 동제의 정확한 시원은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한다. 관우를 주신으로 하는 십이장신당이 임진왜란 때 명군에 의한 외세적 수용이 계기가 되어 1599년(선조32년) 남묘를 시작으로 관행제(官行祭)로 전국에 분포하다가, 대한제국에서 1908년 관왕묘 제사를 폐지하였는데, 당곡리 십이장신당은 당곡리로 이전한 후 민간신앙의 신격으로 자리잡아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십이장신당은 『삼국지(三國志)』의 주요 등장인물을 세 개의 화상으로 나누어 봉안했다. 각각의 화상에는 네 명의 장신이 그려져 있다. 좌측 화상에는 요화(寥化), 창위(菖偉), 마축(麻竺), 위연(魏延)이, 중앙 화상에는 장비(張飛), 제갈량(諸葛亮), 관우(關羽), 조운(趙趙)이, 우측 화상에는 마속(馬稷), 마초(馬超), 강유(姜維), 황충(黃忠)이 그려져 있다. 장군 중 관우를 주신으로 섬겨 ‘관우신당’, ‘관왕묘’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화상은 새로 그려 봉안한 것으로 원 그림은 도난당했다. “제갈량 관운장 있는 방향으로 손가락질만 해도 사흘 초악(하루걸이)을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영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당 오른편 별각은 ‘마방’ ‘마당’이라고 부른다. 안에는 관운장이 타고 다니던 적토마 화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본래는 목마가 전해졌으나 역시 도난당했다. 중국의 관왕묘 신격과 말 신앙이 복합적 형태로 민간 신앙과 습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십이장신당의 제사는 관행제에서 민간신앙의 동제로 신격이 변한 이후, 음력 정월 열나흘에 관왕묘의 위전(位田)을 부치는 사람이 유교식 기제사 순서로 올리고 있다. 위전은 주민이 희사한 땅으로 이 땅을 경작하는 사람이 십이장신당 관리 및 제의를 담당한다. 제장은 산제당, 십이장신당(큰당), 마방집, 새터 남근석, 당골 돌무더기 등의 다섯 곳이다. 동제에 선출된 제주는 제일 사흘 전부터 술, 담배, 부부관계 등을 금하고 매일 목욕재계한다.
당곡리 십이장신당은 관행제의가 민간신앙의 동제로 신격이 변환되어 전승되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indang (tiny shrine) located in Danggok-ri, Yeongdong is dedicated to sibijang (the twelve generals), including Gwanu (or Guan Yu), whose martial prowess was depicted in detail in the Chinese historical nove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he shrine consists of a prayer hall, i.e. a two-bay by single-bay wooden structure with a gable roof, and an annex. The tradition of worshipping Gwanu and his junior warriors was prevalent across Korea until 1908 when it was officially banned. In Danggok-ri, these generals of ancient times were worshipped as village guardians.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02 호
민속 2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성황당
종교신앙 > 민간신앙 > 무속신앙
조선시대
영동군
1976-12-23
-
신앙에 관한 것>제사
-
목재
맞배지붕
가구식구조, 목구조, 십이장신(요화, 창위, 마축, 위연, 장비, 제갈량, 관우, 조운, 마속, 마초, 강유, 황충)
정면2칸, 측면1칸
1동
728.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당곡리 산3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당곡리 산3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5, 『충청북도 문화재돌봄사업 결과보고서Ⅰ』.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7,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8,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