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정후사
시군지정 > 증평 향토유산 정후사
  • 한자명靖厚祠
  • 영문명jeonghusa Shrine
  • 지정일/등록일2004-04-30
  • 관할시군증평군
  • 이칭/별칭증평 향토 3

문화재 설명정보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도당1리 금당마을의 정후사는 정후공(靖厚公) 연사종(延嗣宗:1366∼1434)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본래 1813년(조선 순조13) 연사종을 추향하고, 후손인 안음현감(安陰縣監) 연충수(延忠秀), 의민공(毅愍公) 연최적(延最績), 동중추(同中樞) 연세홍(延世鴻)을 배향한 양양재(羊羊齋)를 금당서원(金唐書院)이라 불렀다. 1869년(고종6)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됐다가 1915년 정후공의 영정만을 모신 정후사가 재건됐고, 해마다 음력 2월 28일 제향을 지내고 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반에 맛배지붕 목조기와집이며,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연사종-정후공은 고려말 조선초의 무신으로 자(字)는 불비(不非)이고, 본관은 곡산(谷山)이며 함흥출신이다. 1388년(고려 우왕14) 요동 정벌때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를 따라 종군했고, 조선이 건국되자 원종공신(原從功臣)과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10년(조선 태조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이 됐다. 이후 상장군(上將軍), 호조전서(戶曹典書: 정3품. 1405년 판서로 고침) 등을 지내고 곡성군(谷城君)에 봉해졌다. (증평군 향토유적대장)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03 호
증평 향토 3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사회생활 > 의례생활
조선시대
증평군
2004-04-30
건조물>목조건축물류/사우
목재
맞배지붕
가구식구조, 목구조
정면 3칸, 측면 1칸반
1동
대표 소재지 공개
27906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금당1길 22-13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도당리 산78
대표 보관장소 공개
27906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금당1길 22-13(도당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도당리 산78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19,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재돌봄사업단, 2020,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 활동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