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춘추민속관
시군지정 > 옥천 향토유산 춘추민속관
  • 한자명春秋民俗館
  • 영문명Chunchu Historic Hall
  • 지정일/등록일2010-01-20
  • 관할시군옥천군
  • 이칭/별칭옥천 향토 5

문화재 설명정보

이 고택은 사간원 정언을 지낸 김치신이 1760년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자신의 호를 따서 문향헌이라 불렀다.
구한말 그의 5대손이며 독립운동가인 김규홍 참봉이 살던 97칸의 큰 고택으로 문향헌은 ㅁ자 형태이며, 각채는 모두 85칸의 기와집과 12칸의 반초가, 반기와집이었다고 한다.
1910년대에 대한제국의 탁지부 출납국장 출신인 오상규가 매입하여 그의 차남인 오윤묵이 일부 중축하였으나 현재 ㅁ자형의 안채와 별채만 남고 선비의 상징인 아름드리 회화나무가 마당에 있어 운치를 자랑한다. 한때 대원군이 머물기도 한 이 고택은 박정희 대통령이 "육영수 생가"를 방문할 때 수행원의 숙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This ancient house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1760s by Kim Chi-sin, who served as the Fourth Censor of the Office of the Censor-General. He named the house “Munhyangheon” after his pen-name.
The house was originally a huge structure with a square layout, measuring 97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nd consisted of a tiled-roof house (85 kan) and a semi-thatched, semi-tiled-roof house (12 kan). It is known to have been occupied by the independence activist Kim Gyu-heung, a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Kim Chi-sin.
In the 1910s, Oh Sang-gyu, who served as Director of the Treasury at the Ministry of Finance during the Korean Empire, bought the house, while his second son Oh Yun-muk expanded it. At present, only its square-shaped anchae (inner house) and the byeolchae (detached house) remain, along with the beautiful pagoda tree growing in the courtyard.
It is also known that Regent Heungseon Daewongun once resided in the house, and that it served as accommodation for the retinue of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during his visit to the birth home of his wife, Yuk Young-soo, in Gyodong-ri, Okcheon.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05 호
옥천 향토 5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주생활 > 건축물 > 일반건축
조선시대
옥천군
2010-01-20
-
건조물>목조건축물류/고가
-
목재
팔작지붕
가구식구조, 목구조, 공간구조(안채, 별채)
-
2동
-
대표 소재지 공개
29030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향수3길 19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문정리 6-2
대표 보관장소 공개
29030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향수3길 19(문정리)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문정리 6-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