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경의기』는 1098년(숙종 3) 義天이 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한 책으로 조선 초 간경도감에서 번각하여 찍어낸 책이다. 『금강반야경의기』 권상·하는 2권 2책의 36×30.3㎝ 크기로, 목판에 새겨 저지에 찍어 묶은 선장본이다. 15행 22자의 권자본으로 광곽의 높이는 35.2㎝이며, 번각 후 책으로 묶었다. 권 상의 간기는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 선조조 어서원서자신어실현서(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 宣雕造 御書院書者臣御室賢書) 권 하의 간기는 수창사년무인세고려국대흥왕사봉 宣雕造 비서성지서동정신오대공서 강화엄경불일사대사사자사문신각지교감 강화엄경불일사대사사자사문신자현교감 □□□□□□□□□□사자사문□□□교감(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 宣雕造 秘書省指書同正臣吳代公書 講華嚴經佛日寺大師賜紫沙門臣覺之校勘 講華嚴經佛日寺大師賜紫沙門臣滋顯校勘 □□□□□□□□□□賜紫沙門□□□校勘)이다. 원 간기를 고려할 때 1098년 대각국사 의천이 주도한 교장본으로, 후대인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것으로 보인다. 문종의 넷째 아들로 출가하여 왕사와 국사를 지낸 의천이 개성 흥왕사에서 주도한 간행본으로 현존하는 사례가 드물다. 책의 지질과 인쇄 상태를 고려할 때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원래 권자본이었으나 번각 후 책으로 묶은 것으로 보인다. 비록 번각본이라 하더라도 고려 초 교장을 저본으로 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판본이 희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