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립(鄭雴; 1554∼1640) 옥천 출신으로 본관은 하동(河東). 초명은 방(霶). 자는 군흡(君洽), 호는 고암(顧菴)이다. 1579년(선조 12)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성균관학유·전적·좌랑 등을 비롯하여 진해현감·경상도도사를 거쳐 1623년(인조 1) 춘추관기주관 겸 교리와 정랑·군자감정·판사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조헌(趙憲)·이충범(李忠範)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군량미를 보급하였으며, 진해현감으로 있을 때에는 유학을 진흥시키고 농업을 권장하는 등 선정을 베풀어 그 고을 사람들이 송덕비를 세웠다. 정립(鄭雴) 문적(文籍)은 정립의 일기인 고암기(顧菴記, 1586년(선조 19)부터 1592년(선조 25) 까지)와 1582년(선조 15)부터 1616년(광해군 8)까지 정립에게 발급된 고문서로, 정립의 관직생활 등 개인의 이력사항을 알 수 있는 사료임과 동시에 임진왜란 전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1582년(선조 15)에 발급된 개명첩은 예문관에서 내린 첩지로 진사 정방의 이름을 정립으로 바꾸는 것을 허가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경국대전』에는 개명하고자 하는 자는 이조에서 국왕께 아뢴 후, 예문관으로 이첩하여 명부에 기록한 뒤 문서를 발급하여준다고 되어 있다. 관문서(개명첩)가 목판본으로 제작된 드문 사례로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The Documents of Jeong Lip (1554-1640), a civil official during the reign of Prince Gwanghae, include his diary, “Goamgi” (1586-1592), and documents issued to him from 1582 to 1616. They are considered valuable materials not only because they contain his personal information and explain official life, but also because they shed light on the country’s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particular, the Gaemyeongcheop (a document related to the changing of one’s name) dated 1582 (the 1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is an official order issued by the Office of Royal Decrees, allowing him to change his name from Jeong Bang to Jeong Lip. According to the Gyeongguk daejeon (National Code), a person wishing to change his name had to report to the king via the Ministry of Personnel, after which the application would be transferred to the Office of Royal Decrees, whose officials would record it in the list and issue the approval document. This official document is a rare and valuable example of a document printed with woodbl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