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줄여서 ‘원각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승려들의 교과과목으로 채택되어 불교 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의 지눌이 깊이 신봉하여 ‘요의경’이라고 한 뒤 크게 유행하였다. 이 책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을 당나라 종밀(宗密)이 쉽게 풀이해 놓은 것 가운데 권 하 1책으로,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이다. 책장을 겹겹이 포개 몸통을 꿰맨 후 다른 종이로 겉을 감싸 표지로 삼았으며, 크기는 세로 34.2㎝, 가로 19㎝이다. 기록이 없어 정확한 간행연도를 알 수 없으나, 판의 새김이『대방광원각요소주경』권 상(1986년 지정),『대방광원각약소주경』권 상(1987년 지정)과 같아 송나라 판본을 보고 고려시대에 다시 새겨 찍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The Annotated Mahavaipulya purnabudha Sutra (The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Volume 2 was produced with the addition of explanatory notes written by the Buddhist monk Zongmi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It was carved on woodblocks and printed on mulberry paper. Each page was tied with thread and covered by a different sheet of paper. Measuring 19 cm in width and 34.2 cm in length, this book is identical in style to Volume 1 and Part 2 of Volume 1 of this sutra, which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in 1986 and 1987,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ssumed to have been made with Goryeo woodblocks that were engraved based on those from the Song Dynasty, although the exact date of its publication is unkn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