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한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송나라 정원(淨源)이 화엄경을 쉽게 풀이해 놓은『대방광불화엄경소』120권 가운데 제41권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8㎝, 가로 10.7㎝이다. 권의 첫머리에 있는 기록을 보면, 대각국사 의천이 정원과의 친분에 의해 가져온 송나라 목판을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찍어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린 변상도(變相圖)는 같은 해(1372년)에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은『주인왕호국반야경』권1∼4 (보물),『대방광불화엄경소』권42 (보물)와 판의 모든 조건이 비슷하여 이들의 간행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권의 첫머리에 화엄경 변상도가 처음 등장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The “Commentary on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Volume 41” is the 41st of 120 volumes annotated by Jing Yuan of the Song dynasty of China. Printed on mulberry paper using woodblocks, the folded copy of this book measures 10.7 cm in width and 31.8 cm in length. According to the record int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is book, the original woodblocks were made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and sent by Jing Yuan to State Preceptor Daegak of Goryeo. After that, the book was published in Korea in 1372, the 2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Gongmin of the Goryeo Dynasty, along with the frontispiece illustration of the main contents of the su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