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
  • 한자명淸州 高靈申氏 名家寶蹟
  • 영문명Unknown
  • 지정일/등록일2021-11-05
  • 관할시군청주시
  • 이칭/별칭유형 409

문화재 설명정보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은 청주에 오랫동안 살아온 고령신씨 영성군파 문중에서 전해온 묵적[첩]이다. 아버지 신중엄(申仲淹, 1522∼1604)의 팔순 잔치에 아들 신식(申湜, 1551∼1623)·신설(申渫, 1561∼1631) 형제가 초대하거나 따로 시를 받아 묶은 『경수도첩(慶壽圖帖)』, 신식·신설 형제의 관력(官歷)과 관계된 『연경별장(燕京別章)』·『관동별장(關東別章)』·『해서별장(海西別章)』, 그리고 『경수도첩』에 누락된 글을 포함하여 당대 인사들과 주고받은 『만력간독첩(萬曆簡牘帖)』, 신설의 현손 신택(1662∼1729)이 허목(許穆, 1595∼1682)에게 받은 좌우명을 적은 『미수서적(眉叟書蹟)』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경수도첩』은 신중엄의 80세인 1601년(선조 34)부터 1604년까지 신식·신설 형제가 여섯 차례에 걸쳐 경수연을 베풀고 당대 인사들을 초청하여 축하시를 받아 묶은 첩이다. 경수연은 이 첩 말미의 제명도를 통해 횟수와 참석 인물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경별장』은 1585년(선조 18) 5월 명 성절사의 서장관 신식(申湜, 1551~1623)을 위한 전별시를 합첩하였다. 서문과 21편의 시가 실려있다. 서문은 1617년(광해군 9) 최유해(崔有海, 1587~1641)가 지었다. 이어 1585년 5월 최립(崔岦)·이항복(李恒福)·한응인(韓應寅)·정윤희(丁胤禧)·한준겸(韓浚謙)·이정립(李廷立)·이산해(李山海)·배삼익(裵三益)·송상현(宋象賢)·허성(許筬)·홍종록(洪宗祿)·정창연(鄭昌衍)·윤섬(尹暹)·이대해(李大海)·한준겸·미상(未詳)·황윤길(黃允吉)·변이중(邊以中)의 시가, 그해 9월 홍이상(洪履祥), 윤9월 이름을 알 수 없는 중국인의 시, 그리고 이듬해 가을 신식의 요구에 부응해 지은 홍적(洪迪)의 시가 있다.

『관동별장』은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서와 34인의 46수 전별시로, 1608년 충청도관찰사, 1610~1611년 강원도관찰사와 1612년 춘천부사로 부임할 때에 해당한다. 끝부분의 신흠의 송시는 1608년 신식이 충청감사로 부임할 때의 시로 가장 빠르다. 1618년 참형을 당한 허균(許筠, 1569~1618)의 시와 1623년 사형 당한 유몽인의 서문이 있어, 적어도 이 책은 1618년 이전 합첩한 것을 알 수 있다.

『해서별장』은 1602년(선조 35) 황해감사에 부임한 신설(申渫)을 위한 전별시 7편과 1711년(숙종 37) 부안현감으로 부임한 신택(申, 1662~1729)의 전별시 9편을 합친 것이다.

『만력간독첩(萬曆簡牘帖)』은 표제에서 알 수 있듯이 만력 연간 신식이 받은 간찰을 묶은 것으로, 일부는 『경수도첩』·『연경별장』·『관동별장』 등에 누락된 것들이다. 간찰 20, 시 5편 등이다. 이호민의 간찰에 이어 네가지 서체로 ‘천감공소(天鑑孔昭)’라 하였다.

『미수서적(眉叟書蹟)』은 1681년(숙종 7) 3월 신진사(申進士), 신택에게 준 허목의 글이다. 앞은 『중용』 제20장의 일부를 옮긴 글이다. 뒷장은 신택에게 민열(悶劣) 2책과 저서 1편을 붙여 보낸 간찰이다.
The Album of Calligraphic Works belongs to the Yeongseonggun branch of the Goryeong Sin clan, which has been settled in Cheongju for many years.
The album contains celebratory writings (gyeongsudocheop) received from guests invited by Sin Sik (1551-1623) and Sin Seol (1561-1631) to their father Sin Jung-eom’s eightieth birthday party; documents related to their official careers (Yeongyeongbyeoljang, Gwandongbyeoljang, and Haeseobyeoljang); letters exchanged with major figures of the time (Mallyeokgandokcheop); and a written motto (Misuseojeok) sent by Heo Mok (1595-1682), a renowned calligrapher of his time, to Sin Taek (1662-1729), a great-great-grandson of Shin Seol.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409 호
유형 409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류 > 서예
문화예술 > 서화 > 글씨 > 일반서예
조선시대
청주시
2021-11-05
-
전적ㆍ서적ㆍ고문서>전적류
-
지류
선장본(線裝本)
-
간독첩(30×40cm), 경수도첩(37×46cm), 관동별장(30×42cm), 미수서적(21.5×33.5cm), 연경별장(30×38cm), 해서별장(29×39cm)
6점(간독첩, 경수도첩, 관동별장, 미수서적, 연경별장, 해서별장)
-
대표 소재지 공개
28472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대표 보관장소 공개
28472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청주고인쇄박물관)/(운천동) (운천동)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23,『충청북도 도지정문화재 정기조사 결과보고서 청주시편』.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