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제천 원랑선사탑비 반출표석
비지정 > [비지정] 유형문화유산 제천 원랑선사탑비 반출표석
  • 한자명堤川 圓朗禪師塔碑 搬出標石
  • 영문명Unkonwn
  • 지정일/등록일2024-03-12
  • 관할시군제천시
  • 이칭/별칭충청북도 금석문 기초조사, 충북 금석문

문화재 설명정보

원랑선사탑비 반출표석은 한수면 송계리 15-1 일원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가 있던 곳이다. 월광사지에는 현재 여러 탑ㆍ탑비 관련 부재 석물이 남아 있다.
표석은 전체 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윗부분은 각면의 상단을 깎아 뿔모양으로 세웠다. 이 가운데, 두 면에 걸쳐 자획이 보이는데, 하단으로 갈수록 판독하기 쉽지 않다. 전면의 문장은 세로 총 2획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획은 월광사지의 주소, 2획은 탑비의 세부 제원과 위치가 적힌 것으로 보인다. 후면에는 일본의 연호인 다이쇼[大正]가 확인되는데, 아마도 반출된 시기로 짐작된다.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Stele for Master Wollang at the Wolgwangsa Temple Site, Jecheon, this stone marker has four sides, and its upper part has been trimmed by cutting the top of each side.
The inscriptions are visible across two sides, but they are less legible towards the bottom.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side consists of two columns, the first of which records the address of the Wolgwangsa Temple Site, while the secon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stele and its location. In addition, its rear side contains the Japanese era name “Taishō”, which is believed to be the date when this stone marker was taken out.
<전면>
忠淸北道堤川郡寒水面○○○
月光寺圓朗禪師太宝禪○○○○○○北

<후면>
大正十一年 …

충청북도제천군한수면○○○
월광사원랑선사태보선○○○○○○북

대정 11년 …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92 호
충청북도 금석문 기초조사, 충북 금석문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사회생활 > 기념 > 비
일제강점기
제천시
2024-03-12
-
분묘ㆍ비 등>비
-
석재
-
-
-
1기
-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