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제천 수암구택비
비지정 > [비지정] 유형문화유산 제천 수암구택비
  • 한자명堤川 遂菴舊宅碑
  • 영문명Unkonwn
  • 지정일/등록일2024-03-12
  • 관할시군제천시
  • 이칭/별칭충청북도 금석문 기초조사, 충북 금석문

문화재 설명정보

수암구택비는 황강영당 및 수암사 경내에 위치한다. 솟을대문으로 된 정문으로 들어가 오른편으로 바라보면, 두 기의 비석이 보인다. 그중 오른편의 것이 수암구택비이다.
비석은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단에 특별한 시설은 없다. 전면에는 뚜렷한 필체로 수암선생의 구택(舊宅)임을 나타내는 제목이 적혀 있다. 양측면으로는 수암 권상하 선생과 이 집의 관련 및 내력에 대해 적었다. 우측면 마지막 행을 보면 선생이 돌아가신 지 7년 뒤의 정미년에 이 비석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이 정미년은 1727년으로 짐작된다. 후면에는 습서(習書)가 보이는데, 자연 만물과 관련된 글자들을 주로 새겼다. 글씨의 크기와 두께 모두 제각각이며, 방향 또한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The Monument to the Historic House of Gwan Sang-ha consists of a cuboid body stone without any other elements. The front face of the monument bears its title in clear writing, while both sides are inscribed with the background history of Gwon Sang-ha and the house. In particular, the last line on its right side records that the monument was built in the “Jeongmi Year,” some seven years after the date of Gwon’s death, which is believed to be 1727. 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monument is inscribed with Chinese characters mainly associated with diverse aspects of the natural worl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nscriptions’ characters vary considerably, and their orientation is also very inconsistent.
<전면>
遂菴先生
舊宅之碑

<좌측면>
寒水齋庭有白石一片其一面雜書橫□
不成文理者小奴之有刻也盖多變與從
兄筆而先生遺墨叅錯乎其間是當年
舊蹟也安舊石盆于上階起此石立之其

<우측면>
上石之一面空處變手蹟之曰遂菴先生
舊宅之碑記其事于石隅之右以及左焉
先生歿後七年丁未春日從子變謹述從
子瑩謹書

<후면>
水火金木日月星辰□
山江
天天地
永和九年
江淮河漢
花竹松柳
通訓大夫行
壬戌 之秋七
松岩間
乾坤 先生筆
坎离
咸恒
子丑

夏商周
花竹
四季
赤白玄黃
石上坐刻
歲次○○
魚水相
風雲與合 先生筆
兄弟子女
牧丹皮
赤白玄
水美
玉人

수암선생(遂菴先生) 옛집[舊宅]에 세운 비(碑).

한수재(寒水齋)의 뜰에 흰돌 한 조각이 있는데 그 한 면에 잡스러운 글을 늘어놓았는데 문리(文理)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어린 종이 새긴 것이다. 대부분은 섭(燮)과 종형의 글이니 선생의 유묵(遺墨)과 혼동되겠는가. 그 사이가 그때의 자취가 남아있는 것이라면 어째서 섬돌에 옛 돌받침을 세우고 이 돌을 세웠겠는가. 그 윗돌 한 면 빈 곳에 섭(變)이 손수 수암선생구택지비(遂菴先生舊宅之碑)라 적었고, 그 일을 돌 모퉁이 오른쪽과 왼쪽에 적었다.

선생이 돌아가신 후 7년 정미(丁未) 봄날[春日]에 종자(從子) 섭(變)이 삼가 짓고, 종자 형(瑩)이 삼가 쓰다.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193 호
충청북도 금석문 기초조사, 충북 금석문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사회생활 > 기념 > 비
조선시대
제천시
2024-03-12
-
분묘ㆍ비 등>비
-
석재
-
-
-
1기
-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