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아키비움 검색
영동 중화사 현왕도
시도지정 > 충북 유형문화유산 영동 중화사 현왕도
  • 한자명永同 重華寺 現王圖
  • 영문명Unknown
  • 지정일/등록일2024-03-08
  • 관할시군영동군
  • 이칭/별칭

문화재 설명정보

현왕은 사람이 죽어 3일 만에 재판을 받는다는 사후 세계(명계冥界,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의 왕으로, 현왕도는 죽은 자(亡者)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그린 불화이다. <중화사 현왕도>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18세기 후반 현왕도로 제작 시기는 1790년이고 제작 화승은 영린, 위전, 태민이다.
이 작품은 현왕을 중심으로 심판대 앞에는 대륜성왕과 전륜성왕이 홀(조선시대 벼슬아치가 임금을 만날 때에 손에 쥐던 물건)을 들고 서 있으며, 두루마리를 들거나 펼치고 있는 판관과 녹사(기록에 관련된 일을 맡아보던 벼슬), 영지와 복숭아를 든 천녀와 천동이 표현되어 있다. 제작 당시의 채색과 필선이 선명하고 생동감이 있으며 다양한 문양을 넣어 화려함을 더하였다.
1790년에 조성된 <중화사 현왕도>는 조선 후기 현왕도 중 비교적 제작 시기가 앞서는 불화이자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분명하여 조선 후기 충청북도의 불교 미술의 면모를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이다.
The Buddhist Painting of the King of Hell, who judges the dead on the third day of their death, was created to pray for their reincarnation in paradise.
This recently discovered Buddhist Painting (The King of Hell) at Junghwasa Temple in Yeongdong was created in 1790 by the monk-artists Yeongrin, Wijeon, and Taemin.
The King of Hell is depicted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surrounded by two wise kings, each holding a scepter (Joseon officials would hold a scepter during an audience with the king); judges and officials (documentation-related officials), all of whom are holding a scroll; and two divine creatures, each holding a Reishi mushroom and a peach. The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vivid colors and brush strokes as well as splendid patterns.
The Buddhist Painting (The King of Hell) of Junghwasa Temple in Yeongdong, whose production date and creators are known, and exhibits aspects of Buddhist art in Chungcheongbuk-d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412 호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화
조선시대
영동군
2024-03-08
-
회화·조각>불화
영린·위전·태민
섬유
-
-
70.5×113.4㎝
1
-
대표 소재지 공개
29128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화신로 529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문헌


동영상

  • 자료가 없습니다.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