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또 다른 기록, 발굴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또 다른 기록, 발굴
-All-
제목
작성자
Total
54
,
Page
3
/ 6
Page unit
10
20
30
50
apply
단양 적성 고분군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31
충청북도 곳곳에는 다수의 매장문화재가 산재하고 있으나 이들 문화유산들의 체계적인 조사연구보존정비활용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충청북도에서는 도내 매장문화재 중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매장문화재를 발굴선정하여 기초조사지표조사발(시)굴조사 등의 방법으로 학술조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2023년도에는 남한강과 단양 적성(사적) 인근에 위치한 단양 하방리 고분군을 선정하였고, 고분군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를 포함한 종합 학술조사를 통해 고분군에 대한 전체적인 분포범위나 현황 등 지정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고 중원역사문화권과 연관되는 역사문화관광자원을 확보하고자 이번 조사가 계획되었다.단양 하방리 고분군은 단양 적성(사적)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데 단발적인 조사만 이루어졌을 뿐,...
등록일
2024-12-03 17:39:03
충북 유형문화유산 괴산 각연사 석조귀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9
각연사 석조귀부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8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가지 약 40일간의 일정으로 진행하였다. 발굴조사의 대상지역은 각연사의 동쪽에 해당되며, 종래 사역으로 추정되면서 텃밭으로 경작되던 곳으로 이곳에는 비신과 이수가 결실된 귀부가 노출되어 있었다. 발굴면적은 이 귀부를 중심으로 약 210여평이다. 조사의 목적은 결실된 귀부의 비신과 이수를 찾고 귀부 주변 유구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발굴조사 결과 귀부의 비삭으로 추정되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가 확인되어 귀부의 보호각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귀부와 건물지는 축조방향이 남향으로 일치하고 있고, 건물지의 어칸 중앙에 귀부가 놓여 있으므로 귀부와 건물은 동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귀부 아래의 남쪽은 다소 교란...
등록일
2024-12-03 17:27:54
충주 청룡사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5
충주 청룡사지는 1990년에 중원군에서 이 사지에 대하여 종합적인 조사를 통하여 유적과 유물에 대한 향후의 보존과 정비 복원을 위한 학술자료를 얻고자 지표조사를 실사하여 보고서까지 펴낸 바 있다. 이 땅을 소유한 우암정사 측에서 사찰의 복원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에 발굴조사를 의뢰하면서 충주 청룡사지 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충주 청룡사지는 행정구역상으로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랑리 오량동마을 561번지 일대에 위치한다. 본 유적에 이르는 행로는 소태면 소재지에서 동북방향의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따라 약 1.5km 진행하면 지장암과 오량마을로 통하는 갈림길에 이르게 된다.이곳에서 서북쪽으로 확장된 비포장 도로를 약1km 올라가면 근년에 만들어진 청룡사지 앞에 주차장이 나타난다. 이곳의 북...
등록일
2024-12-03 16:30:30
충북 기념물 충주 문주리 요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4
1985년 봄에 발갈이를 하던 유기봉(柳基鳳)씨에 의해 우연히 확인된 이 와요지는 다음 해인 1986년 11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 충주공업전문대학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조선시대의 기와 생산유적이다.문주리 팔봉마을의 와요지(瓦窯址)는 남북 12m 폭 180cm에 불과한 작은 유적에 해당하고, 또 유적의 존재시기도 조선시대 후기로 보여진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유적이 이무런 가치가 없는 유적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곳에 팔봉서원이라는 조선시대 사림문화의 터전이 있었고, 그것이 충주지역에서는 가장 먼저인 1582년 후에 설립된 후, 90년 후인 1672년에는 왕의 사액(賜額)을 받았던 점을 생각할 때, 우리는 이 와요지(瓦窯址)가 가지는 성격을 주목하여야 한다.이러한 시기에 이곳 팔봉에 서원이...
등록일
2024-12-03 14:29:00
청주 운천동 사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5
1980년대 한국토지개발공사는 운천동 일대에 택지조성 사업을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는 1984년 11월부터 1985년 5월까지 택지조성 사업부지를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운천동 사지는 행정구역으로는 청주시 운천동 376번지에 있다. 이 일대는 최용문씨의 집을 비롯하여 열녀각이 있고 주위는 논과 밭으로 경작되고 있었다. 열녀각이 위치한 둔덕 주변에는 간혹 와편이 지표에서 수집되기도 하여 향토사학을 연구하는 분들이 자주 답사를 하던 대상지가 되기도 하였다. 1970년도에 출토된 유물들은 동종, 금고, 향로, 금동여래입상 등으로 모두 통일신라말기의 조성으로 보여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지금은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982년 3월에는 이 사지의 서쪽으로 150m의 산직말(...
등록일
2024-12-03 13:46:21
청주 향토유형유산 청주 남석교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4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석교동 125-21번지 일원에 위치하나는 남석교는 전국적으로도 유명한 재래시장인 육거리시장 내의 도로 지하에 매몰되어 있는 돌다리 즉 석교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조선시대 이전의 석교들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옛 청주읍성의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성안길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가다보면 육거리시장에 이르게 되는데 이곳은 일제강점기까지 무심천이 흘렀던 하천지역이다. 남석교는 이 무심천에 가설되었던 다리이다. 가설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57년이라는 설이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 청주읍성의 축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량이라고 볼 때 대략 고려시대에 가설되었으며, 교량의 특성상 무심천의 범람 때마나 유실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수차례 수개축이 이...
등록일
2024-12-03 13:15:48
충북 기념물 청주 것대산 봉수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4
청주 것대산 봉수대 발굴조사는 1995년 청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차 조사가 이루어졌다. 당시 조사에서는 봉수대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민묘로 인하여 봉수대 동쪽 편의 한정된 구역에 대한 조사만이 이루어졌다. 1995년도 조사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봉수대의 평면형태는 능선 방향에 따라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서쪽 편은 둥글고 동쪽 편은 좀 더 뽀족한 평면을 이루어 거의 장란형(長卵形)에 가까운 모습이다. 장축의 최대 길이는 24.3m이고 단축의 최대 너비는 16.3m이다. 봉수대 외곽에는 봉수대 축대를 겸한 외벽은 높게 쌓고 내벽은 낮게 쌓아 외축내탁(外築內托)한 성벽 위에 여장을 쌓은 듯한 방호벽을 둘렀다. 이번에 전면 발굴하여 내외벽이 노출된 북쪽 방호벽을 살펴보면 외벽은 높이가 205~...
등록일
2024-12-03 11:29:48
사적 단양 온달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3
단양 온달산성은 남한강 상류 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 남쪽 해발 427m 성산의 정상부와 남한경변의 북쪽 사면을 둘러쌓은 둘레 682m의 석축산성이다. 1979년 사적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온달산성은 남한강이 크게 휘감아 곡류하는 남안에 경상도 지역과 소백산맥의 영로(嶺路)와 연결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입지조건으로 인하여 일찍부터 남한강의 수로방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던 것으로 주목되어 왔다.온달산성에 대한 학술조사는 지금까지 2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먼저 산성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는 1989년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하였으며, 북문지 및 북쪽 치성과 수구에 대한 시굴조사가 2003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1989년 지표조사에서는 온달산성에 대한 개략적인 현황이 조사되었는데,...
등록일
2024-12-03 10:40:47
충북 기념물 충주 남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7
충주 남산성에 대한 조사는 1984년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모두 6차례에 걸쳐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1984년 충주 남산성에 대한 지표조사는 충주공업전문대학(현 충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문화유적의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종합적인 개발사업의 참고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75 성벽 전체구간의 현황 실측을 통해 수구문과 4개소의 문지, 추정 우물지 3개소, 건물지 3개소 등이 확인되었다.1차 발굴조사는 1986년 성벽의 축조 방법과 구조를 밝혀 성벽 보수의 기본적 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동벽구간에 한정적으로 실시되었다. 충주대학교 박물관의 조사 결과 성벽 3개소에 대한 구조가 대체적으로 밝혀졌다. 동북쪽의 사면부에서는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가 있는 내외협축의 시설흔과 성내 배수로의 일부가 드러났으며 능선을 넘...
등록일
2024-12-03 09:17:22
사적 청주 상당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7
1982년에 처음으로 실시된 지표조사에서 연혁 및 기초사료조사, 병영으로서의 운영과 군비조사, 체성구조 및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 등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상당산성 사적 공원화사업의 일환으로 성벽과 서장대 및 성벽 보수구간에 대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서장대는 18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6칸 단층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남문박 유적지에서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편이 출토되어 이 지역이 신선기시대부터 생활의 터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편, 백제 초기의 타날문토기편, 통일신라시대의 인화문토기편, 사량부(沙梁部)명 기와편 등이 출토되어 관심이 집중되었다. 1999년에는 종합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상당산성도와 관련 성내 건물지 및 기타 시설물의 위치를 확인...
등록일
2024-12-02 15:22:32
1
2
3
4
5
6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