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Archive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록물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아키비움 안내
공지사항
아키비움 소개
이용방법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록물 수집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안내
홈페이지가이드
또 다른 기록, 발굴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법규정보
언론보도
도서정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또 다른 기록, 발굴
-All-
제목
작성자
Total
54
,
Page
4
/ 6
Page unit
10
20
30
50
apply
증평 향토유산 구계서원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시굴조사지역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차리 산8-1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해발 167.5m 지점의 서향사면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은 주변으로 사찰의 진입로와 경작지 조성으로 인하여 지형의 삭평 및 형질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시굴트렌치는 조사지역의 지형 여건을 고려하여 길이 8~12m, 너비 1.5~2m로 총 6기를 구획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시굴트렌치에서 유구 또는 유물 등 유적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조사지역의 지형 여건을 고려하여 총 6기의 시굴트렌치를 구획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결과, 모든 시굴트렌치에서 유구 또는 유물 등 유적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발굴조사 지역은 시굴조사 지역에서 북서쪽으로 약 50m정도 떨어져 위치하며 서쪽에 인접하여 남동~북서 방향으로 계곡부가...
등록일
2024-12-02 14:24:47
사적 충주 장미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2
충주 장미산성에 대한 문헌은『신증동국여지승람』부터 보인다. 거기에는장미산은 주의 서쪽 28리에 있고 옛 석성이 존재한다고 처음 쓰여졌다. 이로보아 그 존재는 조선 중기 이후부터 알 수 있다. 그리고 1989년『한국의 성곽과 봉수』는 현지 지표조사를 토대로 현상을 기술하고 문헌기록을 정리하였으나 그 내용은 소략한 편이다. 이후 1992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의 정밀지표조사가 학술적 접근의 시작이 된다. 우선 현황 측량을 실시하여 유적의 전체 둘레, 잔존 성벽 및 성내 시설물의 현황과 축성방법 등을 밝혔다. 아울러 성내에서 수습되는 유물의 양상을 검토하여 백제 한성기에 초축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기존의 조사자들이 제기한 고구려에 의한 축조설과는 대립되는 것이나 최근까지도 축조주체가 백제 또는 고...
등록일
2024-12-02 13:06:14
충북 기념물 청주 신항서원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3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이정골로 115-8(용정동 120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유적의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73135.13, 북위 363810.7301이다. 유적은 청주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써 1570년(선조 3)에 유정서원(有定書院)이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신항서원이라는 이름으로의 개칭은 1660년(현종 1)에 현종으로부터 사액을 하사받으면서 이루어졌다. 신항(莘巷)은 중국 송나라 주희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규약에서 따온 명칭이다. 신항서원은 1984년 12월 31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내부에는 2013년 11월 8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청주 신항서원 묘정비가 위치하고 있어 청주의 중요한 유적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등록일
2023-11-26 14:39:34
충북 기념물 보은 회인 사직단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9
보은 회인 사직단은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 산3-1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조선시대는 한양도성 뿐만 아니라 지방[州縣]에도 사직단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냈는데, 그 중 보은 회인 사직단은 충청도(忠淸道) 회인현(懷仁縣)에 설치되었던 사직단이다.조선시대 지방에 설치된 사직단은 약 342개소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문화재로 보고된 사직단과 사직단터는 서울시 종로구 사직동에 있는 중앙 사직단을 포함하여 38개뿐이다. 그 중 복원되거나 유지(遺址), 그리고 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재(實在)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직단은 13개이고,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8개뿐이다.우리나라의 사직단은 대부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방치되거나 훼손되었는데, 보은 회인 사직단은 광복 이후 주민들의 노력으로 사직단을 정비하여 현재까지...
등록일
2023-11-26 14:25:44
충북 기념물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3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발굴조사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추진 중인 『중원지역 제철기술 복원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392-5번지 일대이며 2006년 (재)중원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한 400-1번지 제철유적 확인 지점과는 약 100m 떨어진 동편에 해당된다. 본 조사지역은 남한강의 남쪽 강변에 자리 잡은 탄금대(명승)의 남쪽 사면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곳으로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고 빈 공간에 텃밭을 조성하여 밭경작을 하고 있었으며, 주변으로 축사로 이용되었던 폐건축물이 잔존한 곳이었다.조사지역 북쪽에 위치한 탄금대에는 북쪽 강변의 절벽에 잇대어 백제의 탄금대토성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곳에서철정 40매가 확인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1. 또한 400-1번지에...
등록일
2023-11-26 13:29:58
충북 기념물 청주 영조 태실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8
청주 영조 태실(英祖 胎室)은 조선 영조(16941776)의 태실로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무성리 산6-1에 복원되어 있다. 이 유적은 1984년 12월 31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청원 영조 태실'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 출범에 따라 청주 영조 태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복원된 태실의 구조는 8개의 장대석을 8각으로 놓고, 각 모서리에는 우주석(隅柱石)을 세웠으며, 8면의 사이마다 아래위로 연잎을 새김한 사각의 동자주(童子柱, 짧은 기둥)를 세우고, 그 위에 장식과 보호를 겸한 육각형의 장대석을 가로 얹은 돌난간(欄干)을 설치하여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그 안쪽은 바닥전체 면에 팔각으로 전석(磚石)을 깔고, 그 중앙에 2단으로 된 정사각형의 하대석...
등록일
2023-11-25 16:27:25
충북 기념물 제천 월광사지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6
월광사는 통일신라시대 성주산문(聖住山門)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낭혜화상(朗慧和尙)의 제자인 원랑선사(816~883년)가 주석하면서 선종의 보급과 발전에 기여한 사찰이었다. 원랑선사 입적 후 890년에 세워진 월광사 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圓朗禪師大寶禪光塔碑)가 있어 유적의 명칭과 절대연대가 명확하여 통일신라시대의 불교문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유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제천시에서는 유적의 학술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충청대학박물관에 학술조사를 의뢰하였고, 1998년 유적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유적의 규모와 시대적 범위, 사상사적 위상이 일정부분 밝혀지게 되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사찰의 현상파악을 위해 우선 사지 전체와 건물지 및 석축 등에 대한 벌초와 잡목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세...
등록일
2023-11-22 13:06:58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8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높이 14.5m로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高의 신라 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부相輪部를 구성한 탑으로 지면 위에 둔덕을 조성하고 그 위에 탑을 쌓은 유례를 찾기 힘든 탑이다. 이 탑은 현재 중앙탑中央塔이란 별칭으로 불리지만 누가, 언제, 무슨 이유로 세웠는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인에 의해 석탑을 해체보수하면서 탑 내부에서 동경, 목제 칠합, 은제 사리합, 청동제 유개합 등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주변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1992~1993년(1992년 7월 18일부터 11월 30일, 1993년 8월 21일부터 11월 15일) 한국교원대학교박물관이 탑의 북쪽지역을 발굴하면서 본격적인 조사가 ...
등록일
2023-11-22 10:15:15
충북 기념물 옥천 이성산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4
옥천 이성산성은 1971년 단국대학교 박물관이 전국고적조사의 일환으로 옥천군 일대를 조사하면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당시 조사단을 이끌던 정영호는 이 조사를 바탕으로 산계리토성을 신라의 굴산성으로 비정한 바 있으며, 이후 산계리토성은 별다른 이견 없이 신라 굴산성으로 비정되어 왔다.이후 이성산성에 대한 조사는 청주대학교 박물관과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에 간략한 지표조사를 진행된 바 있으나 산성에 대한 정밀한 학술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채 그대로 방치되어 왔다. 2000년대 들어 이성산성의 보존과 관련하여 큰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즉 성벽주변에서 개발행위로 인하여 북쪽과 서쪽 성벽이 크게 훼손된 것이다. 이에 옥천군에서는 더 이상 성벽 훼손을 방지하고 산성의 정확한 평단면도 작성을 통하여 규모와 축조방식을 ...
등록일
2023-11-21 13:50:15
사적 청주 정북동 토성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822
1975년 이원근에 의해 토성이 처음 소개된 이후, 1984년 차용걸 교수에 의해 학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0년에는 정북동토성이 충청북도 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청주시에서는 날로 훼손되어 가는 토성의 성벽을 정비보완하고자 하여 1996년 11월 27일부터 1997년 6월4일까지 가장 훼손이 심한 서쪽의 성벽 일부와 서문터에 대한 발굴조사를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하였다. 이 조사에 의하면 성벽의 구축 방법에 있어서 벽체 부분은 안팎으로 나무기둥을 세워서 내부를 다지는 공법이 채택되고, 기단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벽체의 안팎에 다시 기둥을 세워 축조한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밝혀졌다. 서문터는 굴립주에 의한 문이 있었다가 후대에 냇돌 적심을 이용한 초석 기둥으로 되었음...
등록일
2022-08-16 18:04:07
1
2
3
4
5
6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