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아키비움 근원을 기록하다
Webhard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아키비움 검색
Archive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증/기탁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Archive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Archive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Archive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Archive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아키비움 소개
Archive
소개
이용방법
공지사항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증/기탁 안내
로그인
검색
아키비움 검색
상세검색
지역별 검색
충북일원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기타
시대별 검색
선사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근현대
시대미상
-
종목별 검색
국가지정
시도지정
시군지정
지정해제
비지정
기증/기탁
충북실록
기타
매체별 검색
이미지
동영상
음원
문서
도면
3D
원시자료
충북유산
고시정보
보수정비
학술자료
현상변경
활용사업
위원회
충북실록
충청북도지
실록지도
디지털연표
충북 이야기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아키비움 소개
소개
이용방법
공지사항
자료통계
원문자료 신청
분쟁조정 신청
기증/기탁 안내
닫기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
충북 이야기
HOME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검색
매체별 검색
충북유산
충북실록
충북 이야기
아키비움 소개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유산의 보존
그때, 그 시절의 충북
또 다른 기록, 발굴
문화유산의 과거여행
문화유산의 보존
도서정보
법규정보
언론보도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닫기
프린트
게시물 검색
문화유산의 보존
-All-
제목
작성자
Total
81
,
Page
1
/ 9
Page unit
10
20
30
50
apply
보은 가경구년명 철종 금석문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법주사 가경9년명 동종(法住寺 嘉慶九年銘銅鐘)은 전체높이 166.5cm로 법주사에 소장된 범종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며, 조선 후기에 제작된 종들 가운데서도 대형에 속한다. 현재 대웅보전에 있는 이 종은 전각에 놓여 있었다기보다는 종각이나 종루에 걸어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연대는 1804년(순조 4)이다.이 종은 쌍룡의 용뉴와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종신을 갖추고 있다. 용뉴에 표현된 쌍룡은 여의주를 물고 서로 반대편을 보고 있는데, 몸통이 연결되는 종 고리의 정상에는 여의주를 움켜쥔 발을 표현하였다. 상대에는 연꽃잎무늬를, 하대에는 덩굴무늬를 새겼다.종신은 크게 3줄의 돌기대를 둘러 총 4면으로 나누었다. 위로부터 첫 번째 면에는 범자문과 천인상을 새겼는데, 천인상은 소종(小鍾)과 당목...
등록일
2024-12-12 11:44:10
단양 권섭 묘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9
단양 권섭 묘비(權燮 墓碑)는 권섭(權燮; 1671-1759)의 생애와 가계를 기록한 비로, 1869년(고종 6)에 세워졌다.권섭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조원(調元), 호(號)는 옥소(玉所) 또는 백취옹(百趣翁)이다. 1684년(숙종 10)에 아버지인 권상명(權尙明; 1652-1684)이 세상을 떠나자 큰아버지인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가르침을 받았다.권섭은 관직에 진출하기 보다는 문학 활동과 집필에 집중하였는데, 대표작으로는「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 ,「영삼별곡(寧三別曲)」 ,「도통가(道統歌)」 등이 있다.비문은 비신의 네 면에 새겨져 있다.전면에는 제명이 세로 세 줄 13자의 글씨로 간결하게 새겨져 있다. 나머지 세 면에는 각각 독립된 세 가지 비문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면의 해...
등록일
2024-12-12 11:34:41
제천 덕주산성 동문 정밀안전진단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
본 과업은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제 현상들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구조해석을 통한 안전성평가로부터 구조물에 내재되어 있던 기능장애나 이상변형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서 대상구조물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안을 수립하고 훼손 원인 등을 공학적으로 파악하여 문화재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향후 보수공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성문하부 육축을 중심으로, 석재가 서로 이격된 부분이나, 균열이 발생한 부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4주 간격으로 현장 계측하여, 균열 및 이격의 증가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측정된 결과를 활용하여 성문 구조물의 전체적인 변형과 거동을 파악한다. 측정에는 버니어켈리퍼스를 이용하였다. 총 7개소에 대하여 약 5개월간 변화추의를 분석한 결과 ...
등록일
2024-12-12 11:16:08
보은 법주사 복천암 극락보전 정밀실측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
복천암 극락보전은 정면3칸, 측면3칸으로 도리방향이 보방향보다 더 긴 장방형 건물로 면적은 기둥하부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84.65㎡(25.61평)이다. 맞배지붕 다포계 형식의 건물로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가 들여져 있고 중앙 어칸의 내진고주와 배면 어칸 벽체 사이에 불벽을 세워 불단을 조성하고 아미타삼존불을 안치하고 있다.자연석 덤벙주초 위에 배흘림과 민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을 사용하고 있으며 벽체는 전면과 개구부를 제외하고 외엮은 위에 회벽으로 마감하고 있다.건물의 실측치수는 정면(남측면)에서 도리방향 길이가 10,180mm이고 배면(북측면)에서 10,117mm로 평균 10,148mm이다. 보방향의 길이는 좌측면(서측면)에서 8,377mm이고 우측면(동측면)에서 8,305mm로 평균 8,341mm이다. 전면...
등록일
2024-12-12 10:10:09
옥천 창주서원 묘정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7
옥천 창주서원 묘정비(滄洲書院 廟庭碑)는 창주서원(滄洲書院)의 건립 배경과 명현(名賢)들을 추모하는 글 등을 기록한 비로, 1697년(숙종 23)에 세워졌다.창주서원은 순국한 조헌(趙憲; 1544-1592)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1608년(선조 41)에 사액(賜額)을 받은 표충사(表忠祠)를 전신으로 한다. 표충사는 1636년(인조 2)부터 조헌 묘소의 이장으로 인하여 여러 번 자리를 옮기다가, 1657년(효종 8) 지금의 자리에 세워졌다. 1682년(숙종 8)에 창주서원이라 사액을 받고, 1689년(숙종 15)에는 비문의 내용과 글씨를 받았다. 당시에는 바로 비를 세우지 못하였다가 1697년(숙종 23)에 청나라 강희제(康熙帝; 1661-1722)의 사액을 받게 되자 그간의 내력을 추가하여 비를 세...
등록일
2024-12-12 09:57:49
괴산 화양서원 묘정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12
괴산 화양서원 묘정비(華陽書院 廟庭碑)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을 제향(祭享)하는 화양서원(華陽書院)의 건립 과정을 기록한 비로, 1716년(숙종 42)에 세워졌다.화양서원은 송시열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기 위해 1696년(숙종 22)에 건립되었다. 창건되던 해에 사액(賜額)을 받고 1716년(숙종 42)에는 숙종(肅宗; 1674-1720)이 손수 글씨를 쓴 편액(扁額)을 하사받았다. 사액서원 중에서 가장 이름 있는 서원이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서원이 중심이 된 폐단이 심해지자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다.비문은 비신의 네 면에 새겨져 있다.전면의 상단에는 화양원정비(華陽院庭碑)라고 쓴 전액이 있다. 이 전액은 이른바 옥저전(玉箸篆)을 집자한 것이다.옥저전은 진(秦...
등록일
2024-12-12 09:48:45
음성 권제 묘비 금석문 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8
지재 권제 묘비(止齋 權踶墓碑)는 권제(權踶; 1387-1445)의 가계가 간략히 수록되어 있는 묘비로서, 1457년(세조 3)에 세워졌다.권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本貫)은 안동(安東), 자(字)는 중의(仲義), 호(號)는 지재(止齋), 시호(諡號)는 문경(文景)이다.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의 차남이다. 우찬성(右贊成)을 지내고, 정인지(鄭麟趾; 1396-1478)안지(安止; 1377-1464) 등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다.비문은 비신의 전면과 후면에 새겨져 있다.전면에는 세 가지 내용이 담겨 있다. 중앙에는 세로 세 줄로 제명이 있고, 우측 1행에는 사망한 날짜, 좌측 마지막 행에는 장례를 치른 날짜가 적혀 있다. 제명은 상단에 가로로 새긴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등록일
2024-12-12 09:34:44
제천 신륵사 극락전 사찰벽화 기록화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7
현재 극락전의 벽화와 단청은 외부 기둥사이의 외벽화, 내벽화, 공포사이의 포벽화, 천장의 빗반자와 천개반자, 외부 박공널판의 벽화로 나누어지며, 서까래부연개판착색에 단청이 남아 있다. 벽화와 단청은 근래에 이루어진 번와공사로 인해 손상이 심각한데, 원형에 대한 인식 없이 이루어진 개채와 보수로 인해 충북지역 벽화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신륵사 벽화의 원형을 살필 수 없음이 안타까울 따름이다.2006년에 충청대학박물관에서 발간한『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내외부 단청은 150점, 벽화는 136점으로 파악된다. 이는 개채된 단청과 벽화를 모두 포함한 수치로 단청은 외부 전면 39점, 외부 후면 33점, 외부 측면 좌우 32점이며, 내부는 천장에 13점, 전후 및 측면에 33점 등...
등록일
2024-12-10 11:35:18
영동 영국사 석종형승탑 정밀실측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
영국사 석종형 부도는 원구형 부도의 남쪽에 세워져 있다. 석종형 부도로서 기단부와 탑신부, 상륜부 등 갖추고 있는데 기단부는 상ㆍ중ㆍ하대로 구성되어 있고 한변의 길이가 1.5m인 방형지대석 위에 놓여있다. 지대석은 3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졌다. 하대석은 원형으로서 하단부 는 폭 12cm의 무문대를 굽처럼 돌리면서 1조의 선을 넣어 구분하였다. 그 위 에는 단엽(單葉) 16판(辦)의 복연(伏蓮)을 조각하였다. 상면에는 2단의 8각 각형받침을 각출하고 그 위에 8각 중대석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은 1석으로 된 8각형이다. 각 면에 장방형의 액을 마련하고 그 내면에는 원구형 부도에 조식된것과 동일한 조선시대의 전형적 양식인 넓적한 안상을 1좌씩 조식하였다. 상대석은 원형인데 하면만은 8각으로서 1단의 각형 괴임대를...
등록일
2024-12-10 11:09:25
영동 영국사 구형승탑 정밀실측조사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5
원각국사비 뒷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단과 탑신 및 상륜부를 구존(俱存)한 완형이며 확실한 주인공은 알 수가 없다. 기단부는 약간 기울어진 채 조성되어 있는데 상ㆍ중ㆍ하대로 구성되었다. 하대석은 방형으로 890㎜890㎜의 하대석을 조성하였으며 상면에는 네 모퉁이와 각 변에 널찍한 복연판(伏蓮辦)을 1좌(座)씩 조식하였다. 그리고 하대석 중심부에 방형의 각 형 받침을 1단 각출하여 중대석을 받도록 되어 있다. 중대석은 1석으로 된 방형으로 각 면에 조선시대 전형적인 넓적한 안상 1좌(座)씩을 조각하였다. 상대석 면에는 단엽 8판의 연꽃이 상하 2중으로 투박하게 조식되었다. 하단의 연꽃은 상대적으로 작게 표현되어 뚜렷하지 않다. 상단부의 연꽃은 간잎을 갖춘 연판이 조각 되었는데 간잎이 매우 큰 편이다. 탑신석은...
등록일
2024-12-10 11:05:17
1
2
3
4
5
6
7
8
9
배너모음
국가유산포털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수리종합정보시스템
국가유산공간정보서비스
이뮤지엄
충북문화유산활용사업
충청북도 전자도보
한국고전종합DB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충북학연구소
국가유산 지식이음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배너모음 이전
배너모음 재생
배너모음 정지
배너모음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