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보은 법주사 팔상전
국가지정 > 국보 보은 법주사 팔상전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報恩 法住寺 捌相殿
영문명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지정일/등록일 1962-12-20
관할시군 보은군
이칭/별칭 국보 55

문화재 설명정보

보은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근대 이전 유일한 목조탑으로 속리산 법주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팔상전이란 본래 팔상도를 봉안하는 곳으로,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8개의 장면으로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사전(寺傳)에 의하면 이 건물은 신라 진흥왕 때 의신조사에 의하여 초축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초축시의 탑의 규모와 형태는 알 수 없다. 1968년에 실시된 팔상전 해체 중수공사에서 당초 목탑의 1층 초석이 현재 평주 초석보다 훨씬 안쪽에 있어 본래 사방 3칸의 건물이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심초석에 마련된 네모꼴의 2단 사리공 안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특히 사리공 안에서 네 벽과 위를 덮었던 동판 5매가 발견되었는데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건립경위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동판에는 “만력24년정유9월일왜인진소(萬曆二十四年丁酉九月日倭人盡燒)”, “을사년3월염구일상고주입주(乙巳年三月念九日上高柱入柱)”, “조선국승대장유정비구(朝鮮國僧大將裕淨比丘)” 등의 글이 남아 있어 선조 30년인 1597년에 왜군에 의해 불타 버린 뒤 1605년에 유정비구(사명대사 유정)가 새롭게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1605년부터 시작된 공사는 1626년(인조 4)에 마무리 되었다.
팔상전의 규모는 지상에서 상륜 상단까지의 높이가 약 21m이며, 탑신 높이는 약 16m이다. 평면형식은 층마다 다른데 1·2층은 사방 5칸으로 되었으며, 3·4층은 사방 3칸, 5층에서는 사방 2칸으로 되었다. 지붕은 사모지붕이며 위에 올려진 상륜부는 조선시대 것으로는 가장 완벽하게 남아 있다.
평면의 중심에는 심주(찰주)가 설치되고 그 주변으로 사천주(심주를 중심으로 네 모서리에 상층까지 이어지는 기둥)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바깥으로 내진고주 및 평주가 설치되어 있다. 5층에는 귀틀을 설치하여 결구하였다. 공포형식은 1층부터 4층까지는 주심포식으로 하였으며, 5층은 다포식으로 하였다.
내부 벽체는 1층에서 3층까지만 보이며 광창과 포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형식은 사천주를 중심으로 고주, 평주를 세워 횡재로써 연결시켰다. 즉 팔상전은 5층에서는 목조탑의 기본형식인 귀틀을 이루고 1층부터 4층까지는 귀틀 없이 장주로서의 사천주 및 고주가 사용되며 퇴보로서 결구되어 있다.
팔상전은 평면형태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4면 모두가 처마곡선 잡기가 유리하며, 전체적으로 처마곡선이 비교적 풍만한 곡선을 보이고 있다. 즉, 팔상전의 의장은 평면적, 입면적 체감비로 안정적 입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처마곡선의 미를 잘 활용하고 있다.
팔상전은 체감비가 많은 외관을 갖고 있어 중국과 일본의 일반적인 목조탑 형식과 다른 점이 있으나 구조적으로 수평력에 대응하기 위해 훌륭하게 고안된 것이며 건물 외관이 오히려 안정감을 갖고 있어 5층 목탑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팔상전은 한국 목탑의 유일한 실례로서 그 건축적 가치가 크다.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is Korea’s only extant wooden pagoda from the pre-modern period. As its name suggests, Palsangjeon (“Hall of the Eight Phases”) was built to enshrine paintings depicting the eight major phases in the life of Shakyamuni. The original shrine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r. 540-576) of the Silla dynasty,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its size and form. The current building was built in 1626 (the 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of Joseon) to replace the original,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Imjin waeran (1592-1598), the war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followed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592. The pagoda is a five-story structure standing some twenty-one meters tall, although its interior is a single space. Its appearance is uniquely different from the wooden pagodas of China and Japan, and has a structure designed to deal with lateral force effectively and provide outstanding stability.
報恩法住寺捌相殿は、韓国に現存する唯一の木造5層塔建物である。捌相殿とは元々八相図を奉安するための場所で、八相図とは釈迦牟尼の生涯における8つの場面を描いた絵画のことである。この建物は、新羅・真興王時代に最初に建てられたと言われているが、当時の塔の規模や形態は不明である。現在の建物は、壬辰倭乱(文禄・慶長の役)のときに焼失したものを1626年(仁祖4)に再建したものである。捌相殿の高さは約21mであり、内部は吹き抜けの5階建てになっている。捌相殿は、外観の逓減率が大きく、中国や日本の一般的な木造塔形式とは異なるところがあるが、構造的に水平力に対応するために見事に工夫されたもので、むしろ安定感のある外観になっており、5層木造塔としての機能を十分に発揮してい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55 호
국보 55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주생활 > 건축물 > 사원건축
조선시대
보은군
1962-12-20
-
건조물>목조건축물류/전당
-
목재
주심포/다포계, 사모지붕, 5층(사천주를 중심으로 고주, 평주를 세움)
가구식구조, 목구조
-
1동
192.3
대표 소재지 공개
28908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대표 보관장소 공개
28908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법주사 팔상전)/(사내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한국의 사찰벽화(충청북도 충청남도)』, 천일문화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법주사 팔상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연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예그린건축사사무소, 2013,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2013, 『단청 보은 법주사 팔상전』.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법주사 팔상전 상륜부 보수공사 지적사항관련 결과보고서』.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제2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