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충북 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우리의 기억이 100년 뒤 문화유산이 됩니다.

Digital Archives of Chungbuk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검색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국가지정 > 보물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문화유산 검색
한자명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영문명 Two Rock-carved Seated Buddhas in Wonpung-ri , Goesan
지정일/등록일 1963-01-21
관할시군 괴산군
이칭/별칭 보물 97, 괴산원풍리마애불좌상, 槐山院豊里磨崖佛坐像

문화재 설명정보

괴산군 연풍면에서 수안보 쪽으로 가는 도로 옆의 거대한 바위면에 조성된 불상이다. 바위의 한쪽 면을 감실형으로 파서 거불의 좌불상 2구를 나란히 높은 부조로 조각하였다. 마애불의 높이는 3.1m이며,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이곳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충청북도와 경상북도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로인 조령(鳥嶺)이 시작되는 곳이어서, 이곳에 불상이 위치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마애불의 앞면으로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 있어서 이곳에 절이 위치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감실은 특히 불상의 머리 윗부분이 깊게 파여져 있는데, 이 감실 윗부분에 원래 금속으로 만든 장식이 붙어 있었던 듯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감실 안의 불좌상 2구는 거의 같은 모습이나 부분적으로 코의 표현이나 대의를 입은 착의 형식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두 불상의 얼굴은 모두 넓적하며 머리 위로는 둥근 육계(肉髻)가 있다. 얼굴은 눈을 옆으로 길게 뜨고 입을 꽉 다물고 있어서 무표정한 모습이다. 당초 바라볼 때 왼쪽에 앉은 불상의 코는 고부조로 두껍게 조각된 반면, 오른쪽 상의 코는 오히려 안으로 깊이 파여 있었다. 이러한 특징이 처음부터 그렇게 조각된 것인지 또는 후대의 파손 때문인지는 현재로서 알 수 없다. 최근에는 이를 보수하여 양쪽 코 모두 고부조로 조각되었다. 얼굴 주변으로는 보주형 두광이 있는 화불이 각각 5구씩 얕게 조각되어 있다.
불신(佛身)은 목이 짧고 어깨가 넓으며 몸의 굴곡이 거의 표현되지 않아서 커다란 사각형의 윤곽을 보인다. 착의 형식은 왼쪽 상은 통견(通肩)으로 가슴을 둥글게 드러내고 속에 내의가 보이며, 오른쪽 상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편단우견(偏袒右肩)으로 한쪽으로 치켜 올라간 옷주름과 속에 편삼(偏衫)과 내의의 표현이 보인다. 손은 파손되어 전혀 볼 수 없고 결가부좌한 다리 부분의 표현도 불명확하다. 또한 이 마애불에서 특이한 점은 양 불상의 어깨 옆으로 부릅뜬 눈과 코가 강조되어 마치 가면처럼 보이는 얼굴이 조각되고 있는 점인데, 팔부중과 같은 신중상을 표현하고자 한 것인지 모르나 불명확하다.
이상의 표현으로 보건대 이 마애불상은 『법화경(法華經)』 「견보탑품(見寶塔品)」의 내용을 표현한 이불병좌상(二佛並坐像)으로 추정된다. 『법화경』 「견보탑품」은 석가모니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할 때 땅 속에서 과거불인 다보불이 앉아 있는 탑이 솟아나와 석가모니불의 설법이 뛰어남을 증명하며 그의 옆에 석가모니불을 앉게 했다는 내용이다. 이불병좌상은 중국에서는 불교 수용 초기인 북위시대에 다수 조성된 바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조성된 예가 거의 없어서 이 마애불상은 매우 특이한 예라 할 수 있다.
These two Buddhas seated side by side in a niche made by carving out a large rock are known to date to the Goryeo period (918~1392). Both figures display the same features, except for the shape of the nose and the style of their robe they are wearing. This type of representation of two Buddhas seated side by side originated from “The Treasure Stupa” in the Lotus Sutra, and enjoyed great popularity in Northern Wei (386~534)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China, but there are few extant examples of such images in Korea.
巨大な岩壁に龕を作って彫刻した、2体の坐仏像である。制作時期は高麗時代と推定される。2体の坐仏像はほとんど同じ姿をしており、鼻の表現や法衣の着衣形式において部分的に違いが見られるのみである。この磨崖仏は、『法華経』「見宝塔品」の内容を表現した二仏併坐像であると推定される。二仏併坐像は、中国では仏教受容の初期である北魏時代に多くつくられているが、韓国ではほとんどつくられておらず、この磨崖仏は非常に特殊な例といえる。

문화유산 상세정보

제 0097 호
보물 97, 괴산원풍리마애불좌상, 槐山院豊里磨崖佛坐像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고려시대
괴산군
1963-01-21
-
회화·조각>석불(부동산)
-
석재
좌상
-
감실3.63m X 3.63m, 높이13m
2구
2,867.0
대표 소재지 공개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
대표 보관장소 공개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산124-2

소유 관리 점유 정보

참고 문헌

대연건축사사무소, 2002, 『괴산 원풍리 마애불좌상 실측조사』.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충북문화유산지킴이, 2014, 『충북문화재 모니터링 점검보고서 下』.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제2권』. [아카이브 > 학술자료 수록]

이미지

음원

  • 자료가 없습니다.

문서

  • 자료가 없습니다.

도면

  • 자료가 없습니다.

3D

  • 자료가 없습니다.

원시자료

  • 자료가 없습니다.